1. 이벤트 등장 빈도

약 3년, 155주, 1088일 동안 108번의 이벤트가 있었으므로, 휴식기간 포함 평균 10일 주기로 이벤트가 있었다.

즉, 휴식기를 제외한 한 이벤트의 기간은 평균 8일 6시간으로 보면 됨.



2. 캐릭터의 이벤트 출연 빈도 - 캐릭터 비중의 양적 측면



※ 제 5회차 이벤트인 '별을 찾아서'는 인게임 및 베도리 모두 이벤트 맴버가 4명으로 되어있지만, 스토리상 코코로 역시 이벤트 맴버에 버금가는 비중을 보였으므로 5회차 이벤맴버에 코코로 역시 포함시킴.




최다 출연(24회) : 란, 아야, 이브, 미사키

최다 출연 밴드 : 파스파레


최소 출연(18회) : 사아야, 모카

최소 출연 밴드 : 포피파



1) 이브는 인식과 다르게 이벤트 최다출연자임.

2) 하로하피는 하코이벤이 최소임에도 총 출연 2위라는 점에서 쓰까이벤에서 얼마나 자주 출연했는지 알 수 있음.

3) 몇몇 캐릭터를 제외하면 출연 빈도차이가 그렇게 심하지는 않다고 보임.

etc.




3. 캐릭터별 배너 등장 빈도 및 4성 갯수- 캐릭터 비중의 질적 측면


배너는 대부분 해당 이벤트 스토리의 주인공이므로, 캐릭터가 얼마나 비중있게 나왔는지 알 수 있는 지표 중 하나가 됨.

4성도 대부분 이벤트 스토리의 주역 중 하나이므로, 캐릭터가 얼마나 비중있게 나왔는지 알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음.




가중치 적용 배너 최다 출연 (7.5회) : 히나

최다 배너 출연 밴드 : 파스파레


가중치 적용 배너 최소 출연 (1.5회) : 츠구미, 카오루

최소 배너 출연 밴드 : 애프터글로우

-----------------------------------

최다 4성(11개) : 유키나

최다 4성 보유 밴드 : 로젤리아


최소 4성(7개) : 츠구미, 카오루

최소 4성 보유 밴드 : 애프터글로우

-----------------------------------

종합 최다(16.5) : 히나

종합 최다 밴드 : 파스파레


종합 최소(8.5) : 츠구미, 카오루

종합 최소 밴드 : 애프터글로우



1) 배너는 앞서 본 출연 빈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양극화가 심하다.

2) 츠구미의 성적은 왜 츠구미에 공기밈이 붙었는지 어느 정도 알 수 있게 해줌. (같은 성적인 카오루는 워낙 컨셉이 뚜렷해서)

3) 로젤과 같이 벡스테이지 1,2 4성카드를 받은 앱글은 왜 4성갯수가 최소인지 이해불가.

4) 이브는 출연 공동 1위, 배너 공동 2위, 종합 공동 4위인데도 부시도밖에 안 남았다는 점을 볼 때, 이벤트에서 아무리 푸쉬해도 안 될 캐릭터는 안 되나 봄.

etc.




이제 얼마 뒤 모르포니카가 나오면 5밴드가 아닌 6밴드 체제가 되니까(여름에 나올 라스도 감안하면 7밴드), 5밴드 체제의 마지막날인 지금 정리해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