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뉴비용 가챠계획표: https://arca.live/b/bluearchive/82587321

1차 업데이트: https://arca.live/b/bluearchive/85485375


미래시 표 원본글: https://arca.live/b/bluearchive/86746102


-----------------------------------------------------------------


빨강 동그라미: 무조건 필수로 챙겨가 

파랑 동그라미: 청휘석 여유가 있다면 웬만하면 챙겨가, 하지만 빨강이 더 우선임

주황 동그라미: 무료 100연챠 줄때 얘를 노리셈



사실은 정월 5중픽업이 화요일에 열리기 전인 월요일 쯤에 이 글을 미리 쓰는게 더 좋았을텐데 
가챠 미리 돌린 사람들한테는 이미 늦은 정보기도 하고

그래도 지금이라도 쓰는게 나을거라고 생각했음 


수즈사, 수즈나, 체유카 등 복각 한정 필수캐릭들이 많기 때문에 이미 쟤들을 다 가지고 있는, 고인물들 기준으로는 청휘석을 더 여유있게 세이브하거나, 

토먼트 난이도를 노리고 메리스/바토키/레이사/수야코/수사키 등 다양한 신규 통상픽들을 유동적으로 가져갈 수 있음.

뭐 토먼트 난이도를 노릴 정도의 상위권 고인물들이라면 굳이 이 글을 보지 않고도 알아서 잘 가챠계획 판단할거라고 생각함. 


--------------------------------------------------------------------------------- 


요약:

0. 가져가야할 캐릭들이 한 시즌에 2명 3명씩 몰려 있는 경우가 아니면, 원하는 필수 픽업캐릭 명함이 나오면 바로 가챠를 중단하자. 

고의천장 굳이 칠 필요 없다. 예외적으로 페스 기간에만 1천장 고의천장을 쳐볼만 하다. 

또한 정말 성능이 최상급인 통상 서포터/버퍼 & 상급~최상급 성능의 한정/페스 캐릭터 위주로 픽을 가져가면 월정액러 기준으로 그럭저럭 가성비 있게 블아를 즐길 수 있다. 이런 대전제를 중심으로 해서 픽업 계획을 세우고 겜하면 롱런할 수 있음. 


1. 새해 카요코/ 새해 츠키 가져가. 

쌩천장쳤는데 둘 중 하나만 선택할 수 있다면 개인적으로는 버퍼, 서포터이자 명함으로도 제 밥값을 하는 새해 카요코를 택하는걸 권장함. 

하지만 새해 무츠키도 지역밀기/전술대항전/종합전술시험/총력전 등 여러 군데에서 두루두루 쓰는데다 한정픽이기 때문에 새해 무츠키를 택해도 좋음. 

☆☆☆추가: 지금 아예 리세마라로 시작하는 쌩뉴비한텐 새해 무츠키가 새해 카요코보다 훨씬 유용함

2. 돌 여유 있으면 체리노 웬만하면 가져가. 정말 다양한 데에서 범용적으로 자주 쓰이는 약방의 감초임. (2023. 10. 15 수정)

복각 예정 두번이나 있고, 통상캐고, 정 안되면 나중에 판매하는 3성 선택권으로도 먹을 수 있으니까 수급 기회가 많은건 그나마 다행임. 

3. 돌 여유 있으면 수영복 아즈사 가져가. 하지만 옛날만큼 절대적인 필수는 아니라고 판단됨.  (2023. 10. 15 수정)

인세인 1팟클 미래시 글(https://arca.live/b/bluearchive/88358300)에서도 보이듯이, 옛날에는 오만군데서 다쓴 수즈사지만 앞으로는 인세인 기준 난이도까지는 다른 딜러들 (메리스, 히나타 등등) 빌려서 깨는게 정배라 수즈사 활용처가 거의 없음. 차라리 정공전에서 쓰는 수시로가 더 자주 쓰일수도 있음. 

수즈사 스킵으로 바꿈 

4. 수영복 시로코 무조건 가져가. 

5. 무료 100뽑은 수영복 우이 배너를 돌려. 나머지 100뽑 채워서 수우이/수나타를 뽑을지 여부는 청휘석이랑 지갑 사정 보고 알아서 판단해 

6. 수영복 하나코 페스때 1천장 쳐서 수나코 가져가. 와카모도 없으면 와카모 가져가

수영복 호시노랑 미카는 천장쳐서 확정으로 먹을 수 있는 캐릭이 아니고 순전히 운빨에 의존해야 하므로 따로 동그라미는 안 쳤음. 

7. 수영복 이즈나 가져가.

8. 체육복 유우카 가져가. 


9) 추가: 수우이/수나타 픽업기간부터 판매하는 3성 통상캐 선택권은 미네(그러니까 미카 이전에 나온 3성캐들)까지 선택 가능하니, 이로하와 체리노 같은 캐릭은 선택가능해도 정요코, 수로코 등은 못 선택함. 


--------------------------------------------------------------------------------- 

위의 요약글이랑 미래시 표에 동그라미 그려진것만 보고, 밑의 장문 주저리주저리 써놓은건 스킵해도 무방. 





이 가이드는 궁극적으로는 언젠가는 뉴비가 성장해서 익스트림~인세인 난이도를 깨는걸 목표로 잡는걸 가정하고 작성됨. 

파워인플레가 심해졌기에 인세인 난이도까지도 웬만하면 1~2파티 선에서 컷할 수 있기에, 가성비 좋게 필수 통상/한정/페스캐들만 선별적으로 몇개만 골라가서 뽑아도 인세인 난이도까지는 가성비 픽으로도 무난하게 깰 수 있을거라 예상됨. 

토먼트를 목표로 하면 필요 파티 수와 학생 풀과 육성 요구치가 기하급수적으로 많이 늘어나기 때문에 청휘석 가성비가 매우 떨어짐.

물론 겜한지 125일만에 시가지 예로니무스 토먼트 2팟클을 한 예외도 있지만 (https://arca.live/b/bluearchive/85452687)
어디까지나 극히 예외적인 케이스이기 때문에 이 가챠 가이드는 익스트림~인세인 난이도를 최종 목표로 잡고 가이드를 짬. 


또한, 해당 미래시 표에는 가장 최근의 진동타입 이치카/카스미가 반영이 안되어있긴 한데, 둘다 통상캐릭에다 아직 신규캐릭 성능평가가 안나왔으므로 굳이 언급을 하진 않겠음. 


왜 이 캐릭터를 뽑아야하는지에 대한 설명은 1편과 2편에서 이미 좀 다뤘기 때문에 변경점과 추가점에 대해서만 간략히 설명하고자 함. 



1. 정월 카요코정월 무츠키 중에서 왜 정요코가 더 우선이냐? 


이 겜 총력전의 구조 상 성장 가성비를 따지자면 다음의 3가지 원칙이 중요함. 

A. 고성능 버퍼와 서포터내가 가지고 있는 것이 좋다. (아코, 히마리, 정우카, 정요코, 수시노, 우이 등등등등) 

B. 익스트림~인세인 난이도를 깨기 위해서 고인물의 조력자를 빌릴 때는 필요한 메인딜러를 그때그때 빌리는 것이 가성비가 좋다. 

C. 메인딜러를 쓸만한 수준까지 뉴비가 키우려면 인게임 재화 측면에서 정말 가성비가 나쁘다.

여기서 인게임 재화란 경험치 보고서, 크레딧, 오파츠, BD, 기술노트, 엘리그마, 장비 설계도, 강화석 등 모든 재화를 의미함. 


버퍼들은 명함 쌩3성을 뽑고나면 EX 레벨과 주요한 서브스킬 레벨 하나 정도만 최대한 MAX치를 찍고 나서, 레벨 채워주면 밥값을 하는 친구들임 

그런데 메인딜러들은 요즘 블아 트렌드로 봐서는 전무 3성에 모든 장비랑 스킬을 만렙을 최대한 찍은게 아니면, 즉 육성 최대 한계치까지 꽉 채운게 아니면 뭔가 부족할 정도로 육성 요구치가 많이 빡쎄짐. 

물론 인세인 난이도를 클리어하는데 이정도까지 메인딜러를 빡쎄게 키울 필요까진 없지만, 적어도 플래티넘을 노리는 할배 유저들의 대다수는 자신이 할 수 있는 영역의 최대한도까지 키운다는게 블아의 게임 메커니즘이다. 


그러므로 뉴요코만 있는 계정이 뉴츠키만 있는 계정보다 신비 총력전(고즈, 시로쿠로, 페로로지라)에서 더 수월하게 굴러갈 것이라는 게 내 주관임.

물론 둘다 있는것이 베스트지만. 

시로쿠로에서는 잘 큰 메이드 아리스나 이즈나를 빌려서 뉴요코의 버프를 발라 힘을 몰빵하고, 

페로로지라에서는 잘 큰 히나타를 빌려서 뉴요코의 버프를 발라 힘을 몰빵해서 보스들을 깨는 운영이 가능하다. 


뉴츠키는 한정픽이고 뉴요코는 통상픽이라는 차이가 있긴 하다만 '원하는 캐릭을 저격해서 먹는' 통언뜬의 확률이 한없이 너무너무 낮기 때문에 그냥 웬만하면 뉴요코를 지금 데려가는것이 나중에 통언뜬이나 선택권을 기다리는 것 보다는 훨씬 나을 것이다. 


다만 뉴츠키는 신비 총력전에선 조금 딸려도 지역밀기/전술대항전/이벤트 챌린지 맵/종합전술시험 등 다양한 컨텐츠에서 범용적으로 쓰기 때문에 안그래도 한정픽인 뉴츠키를 데려가는게 더 맞다는 의견도 있고, 매우 일리가 있음. https://arca.live/b/bluearchive/87257388 


어디까지나 자기 선택의 영역임. 

걍 고민 안하고 둘다 데려가는게 베스트인데 쌍천장만 치지 말기를 기도하는 수밖에. 




2. 이로하는 왜 제외했나? & 체리노를 왜 더 추천하나?

리세마라에서는 0티어급인게 이로하인게 맞고 갓 입문한 초보가 들고갔을때 가장 게임을 편하게 만들어주는 캐릭이 이로하인건 여전히 맞다. 

그래서 불인의 마음 이벤트때 입문하는 쌩뉴비들은 리세마라로 이로하를 반드시 먹고 가길 강력히 추천함. 

다만 미카나 그 이전 즈음에 입문한 뉴비들은 이로하 픽업 즈음이면 설령 이로하가 없이 출발했어도 웬만한 스테이지들은 수동컨으로 밀 수 있을 정도로 성장했기 때문에, 

이로하 스타트의 최대 장점인 '저렙에 빠르게 고레벨 스테이지를 밀어서 카페 랭크업을 더 빨리해서 더 많은 AP를 뉴비때부터 더 이른 시기에 얻는다'가 많이 퇴색됨. 

전술대항전에서도, 페로로지라 신비총력전에서도 좋은 픽인건 맞지만 시즌이 바뀌고 히나타 등 다른 픽들이 떡상하면서 필수급에서는 내려왔기에 생각보다 쓸 데가 많지 않기에, 이제와서 굳이 돈 주고 뽑을 필요까진 없다고 생각함. 

바로 뒤에 픽업으로 따라오는 체리노가 데카그라마톤/관통 지역 밀기/군수공장 특별의뢰/헤세드를 비롯한 각종 다양한 총력전 에서 범용성 넓게 쓰이기 때문에 이로하보다는 체리노를 훨씬 추천함. 


체리노는 없을땐 생각보다 엄청 불편하진 않은데 일단 있으면 상상 이상으로 다양한 데에서 쓰는 약방의 감초같은 존재라서 돈 여유가 있다면 체리노를 웬만하면 데려가는걸 추천함.




3. 수영복 아즈사의 티어를 왜 한단계 내렸나?  수영복 아즈사는 왜 스킵하나?

A. 뒤에 따라오는 필수캐들의 라인업이 수로코/수나코/수즈나/체유카 4연타가 있기에 이 때 대비해서 청휘석을 최대한 존버해야한다. 

운이 아스나급으로 좋으면 수로코 수즈나 체유카 다 10연챠에 먹을 수 있겠지만 최악의 경우 4천장을 처야할수도 있기에 변수가 너무 많다. 

B. 딜러들의 파워 인플레가 심해지면서 이제 신비 총력전 보스들의 익스트림~인세인 난이도를 '클리어' 하는 목적으로만 따지면 수즈사보다는 와카모, 히나타, 메리스를 자기가 키우거나 빌려서 정요코/아코/히마리의 버프를 발라 죽창을 꽂는것이 대세가 될 예정이다. 

https://arca.live/b/bluearchive/88358300

그래도 방깎 서포터 역할과 신비총력전 메인딜러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범용성 좋은 만능픽이며,

플래티넘에 너무 신경쓰지 않는다면 꼭 전무를 달지 않아도 쌩 3성으로 가성비 좋은 서포터로 얼마든지 활용 가능한 픽이므로 웬만하면 데려가는걸 추천. 통상이라 선택권도 있고 복각도 2번 예정되어 있는 체리노와 다르게 한정픽인데다가 이번이 두번째 복각임. 언제 기회 올지 모르니 수즈사 데려가셈. 

수영복 마시로는 좋은 캐릭이지만 전술대항전에 한정된 느낌이 있다. 그리고 전술대항전 성능은 가챠 계획의 주 포인트가 아님. 



4. 수영복 미야코/수영복 사키, 수영복 히나/수영복 이오리는 왜 통상 성능픽, 한정픽들인데 제외하나?
수야코와 수사키는 아직까지는 그레고리오 전용픽이라 봐야 하고, 수히나와 수오리는 예로니무스/카이텐 같은 폭발 총력전 토먼트에선 필요할지 모르나 인세인 난이도에선 전혀 필요가 없음. 

범용성 면에서 좋지 않은 픽들이기 때문에 뉴비용 가챠 가이드에선 제외함. 

토먼트랑 그레고리오 플레 도전할 고인물들이면 알아서 가져가겠지. 


 

5. 수영복 시로코를 왜 가져가야하나?
이 겜에서 코스트 관련으로 장난치는 캐릭터들은 (우이, 정우카, 히마리, 수시노, 체리노, 슌 등등) 에지간하면 최소 성능 보장에 개사기까지 가는 캐릭터들이다. 전술대항전 및 총력전 모두에서 범용적으로 잘 쓰일 픽임. 



6. 수영복 우이와 수영복 히나타는 둘다 한정픽에 무료 100뽑 지원이라는 어드밴티지까지 있고, 수영복 우이는 성능이 좋은 서포터일 것이 예상되는것도 맞다. 하지만 다른 필수픽들에 비해서 검증이 좀 덜 되었다는 느낌이 있음. 

일단 무료 100뽑으로 수영복 우이를 우선으로 노려보고, 100뽑으로 천장 채워서 개꼴리는 수영복 히나타까지 노릴지 말지는 자신의 가챠 결과와 지갑사정에 따라 알아서 판단하길 바람. 



7. 수영복 하나코 & 와카모는 딱히 설명은 필요 없고 일단 페스캐니까 1천장 질러서 하나는 픽업으로, 하나는 천장교환으로 먹는 쪽을 노려보셈. 

와카모는 안그래도 원래도 매우 좋은 신비 메인딜러가 애장품까지 받고 개떡상을 해버려서 무조건 가져가길 바람. 

수영복 호시노랑 미카가 없다면 여기서 0.3% 확률로 뜨는걸 노려볼 수도 있지만, 너무 무리해서 가챠 폭사해서 뒤의 한정 필수캐들 못가져가진 말고, 적당히 가챠 끊고 다다음 페스를 노리길 바람. 



8. 수영복 이즈나는 최소한 고즈랑 시로쿠로에서는 정말 없어서는 안되는 필수급 픽이고, 낮은 코스트 & 어이없는 1스킬 비눗방울 데미지 & 집중공격 & 치명 데미지 저항률 감소라는 여러 유틸리티를 고루 갖췄기 때문에 신비총력전이 아닌 다른 총력전에서도 서포터/서브딜러 조커픽으로 써먹을 수 있음. 

본질은 얘가 메인딜러 원툴이 아니라 용도에 따라 메인딜러도, 서브딜러나 서포터도 겸할 수 있는 만능 한정픽이기 때문에 가져가라는거고, 이는 수즈사랑 맥락이 비슷함. 

다만 야전 고즈에서는 퍼펙트 히나타를 빌리고 자기꺼 우이 & 체유카 & 정요코를 활용해서 1파티로 깨는게 정석이 되긴 해서 수즈나의 활용성이 좀 떨어질수도 있음. 그래도 웬만하면 있는게 좋은 픽이다. 

근데 (적어도 내 주관적인 생각으로는) 수즈사보다 수즈나가 더 좋기 때문에 수즈나의 우선순위를 더 높이 평가했음.  순수 주관의 영역이기 때문에 수즈나도 한티어 내려서 파랑색으로 칠함. 

수영복 치세는 호버크래프트에서 확실한 취직처를 얻긴 했지만 여전히 인세인까지만 노릴 센세들에겐 딱히 필요가 없는 픽이다. 수즈나 명함 나오면 그냥 바로 먹고 튀자. 




9. 체육복 유우카도 명함 3성으로 제 밥값 다 하는 가성비 유틸리티 탱커고, 이번 최종장 프레나파테스 결전에서 상당히 잘 써먹는걸 볼 수 있었다. 

당장 다음 있을 고즈 총력전에서도 핵심 픽인데, 체유카가 없는 뉴비 센세들과 작성자의 가이드용 부캐도 이런 면에서 다음주에 많이 고생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냥 다음주에 고즈 겪고나면 아 체유카 뽑아야겠구나, 생각이 들 거임. 

같이 픽업하는 한정픽인 체육복 마리는 범용성과 편의성이 매우 안좋은 캐릭이라 예로니무스 토먼트에서 체육복 유우카랑 같이 세트로 쓸 거 아니면 가챠에서 제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