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인은 이상심리학 전공자가 아닙니다. 비전공자가 쓴 글이라고 생각해주세요.




치료 전




치료 후



조현병의 증상 진행에 따른 환자의 글 - 문장의 지리멸렬함에 주목


1.나는 이웃 사람이 자꾸만 독이 든 음식을 가져다주어 중독되었다. 그래서 여기저기 아프다. 하지만 이웃 사람이 너무나 친절히 대해주기 때문에 거절할 수가 없다

2.나는 내가 정신분열증인 것을 알고 있다. 어릴 때 귀걸이를 잃어 버린 후부터 그렇게 되었다.

- 인과관계를 파악하는 능력을 상실하기 시작함. 은유적으로 느슨하게나마 연결되는 인과로부터 아예 연결되지도 않는 인과로까지 진행됨.


3.남자와 여자 목소리로 환청과 환시가 들린다. 어떤 사이트에서 나에 대해 민원을 넣어서 그런 것 같다.

4.자기들은 시켜서 그랬다고 하며 자꾸 담배를 끊으라고 한다. 목욕하다 항문에서 칩(chip) 같은 것이 나와 제거했다. 목에도 남아 있는데 찾을 수 없다. 주로 삐 소리가 나고 하품하면 강해진다. 코에서 물방울이 터지는 것 같고 항문도 울퉁불퉁해졌다.

- 피해망상이 심화됨. 악몽에나 나올 법한 기괴한 환각을 느낌.


5.나때문에 딩딩당 핑핑팡이 봉덕동에 만들어졌다가 문깡으로 중딩부터 옮겼답니다.

6.인생 - 나는 인생이라는 글자를 어렵게 말한다. 인생에서는 절에서 도통을 치는 스님들이 부처님 앞에다가 촛불을 켜놓고 통통통 소리를 내며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을 메아리치며 통캭통캭에 들어가신 스님들의 노리노리를 들으며 부처님 보살을 외치던 스님들은 후스디후스디에서 머리를 깎고 머리를 감은 후 도니복을 입고 제사를 지낸 후 세상과 하직하고, 촛불을 키고, 녹음을 마시고, 중생을 올라간 스님들에 들어간 스님은 통캭통캭에 들어가기 위해서 후스디를 밟고 열채를 외치며 모자를 쓰고 통캭 통캭에 올라서기 위해서 공부를 스타킹하며 넥타이 하면서 여러모로 스님이 되어있는 친구들과 함께 불란서, 파리, 녹음을 부처님 동상 앞에서 둥둥둥 염주알을 돌리고 목탁을 치면서 시작하니까 중생에 들어가스 스님이 되었다고, 왜 그러느냐, 왜 안 그랬느냐 하는 소리를 들으니까 마음이 불안해지고 식은땀이 나며 목주를 마시니까 불쾌스러운 나머지 기분이 왝스러워서 서 있다가 차를 타고 집에 가니까 차가 부웅부웅 소리를 내며 달려서 봄 여름 가을 겨울 계절이 생각이 나는지 참 즐거울 하루의 하루날의 하루의 인생이었다.

7.너는 라일락하일락 나는 통카닥콩카닥이 부루루르르르 요기조기 싶다싶다 여기 조기 뽜지직꽈지직하는 대장간날개 쉬이이잉 사슬이 너무 오도로토토옹해서 푹자고 싶다가 오로로로롱하다. 왜 옹알이 알아듣다가 맛있게 먹었습니다 고마워요 대들보님 통카닥콩카닥 못하다가 너는 라일락하일락 아니다가 오토토토통만하다. 야로빠가. 우리 배가 꼬리르르락 위장 넣어줘. 라일락하일락

- 점차 단어마저 잃어버리고, 최소한의 문장구조(인과관계)마저 잃어버리게 됨.



조현병의 증상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뉨. 양성증상, 음성증상.

양성증상은 없어야 할 것이 새로 생기는 증상이고, 음성증상은 있어야 할 것이 없어지는 증상임.

양성증상 - 환각(환청, 환시, 환촉 등), 망상, 격양 및 긴장, 기이한 행동(반향어, 매너리즘,긴장성 혼미 등)

음성증상 - 무언어증, 무쾌감증, 무욕증 및 집중력 저하, 단조로운 정동 등

+ 기타 논리체계, 언어체계의 붕괴 등



조현병의 진단 방법은 DSM-5 기준 다음과 같다.

A. 다음 증상 중 둘(혹은 그 이상)이 1개월의 기간(성공적으로 치료가 되면 그 이하) 동안의 상당 부분의 시간에 존재하고, 이들 중 최소한 하나는 (1) 내지 (2) 혹은 (3)이어야 한다.
 - 1. 망상
 - 2. 환각
 - 3. 와해된 언어(ex. 빈번한 탈선 혹은 지리멸렬)
 - 4. 극도로 와해된 또는 긴장성 행동
 - 5. 음성 증상(ex. 감퇴된 감정 표현 혹은 무의욕증)
B. 장애의 발병 이래 상당 부분의 시간 동안 일, 대인관계 혹은 자기관리 같은 주요 영역의 한 가지 이상에서 기능 수준이 발병 전 성취된 수준 이하로 현저하게 저하된다(혹은 아동기 또는 청소년기에 발병하는 경우, 기대 수준의 대인관계적, 학문적, 직업적 기능을 성취하지 못함).
C. 장애의 지속적 징후가 최소 6개월 동안 계속된다. 이러한 6개월의 기간은 진단기준 A에 해당하는 증상(ex. 활성기 증상)이 있는 최소 1개월(성공적으로 치료가 되면 그 이하)을 포함해야 하고, 전구 증상이나 잔류 증상의 기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구기나 잔류기 동안 장애의 징후는 단지 음성 증상으로 나타나거나, 진단기준 A에 열거된 증상의 2가지 이상이 약화된 형태(ex. 이상한 믿음, 흔치 않은 지각 경험)로 나타날 수 있다.
D. 조현정동장애와 정신병적 양상을 동반한 우울 또는 양극성 장애는 배제된다. 왜냐하면 1)주요우울 또는 조증 삽화가 활성기 증상과 동시에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거나, 2)기분 삽화가 활성기 증상 동안 일어난다고 해도 병의 활성기 및 잔류기 전체 지속 기간의 일부에만 존재하기 때문이다.
E. 장애가 물질(ex. 남용약물, 치료약물)의 생리적 효과나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것이 아니다.
F. 자폐스펙트럼장애나 아동기 발병 의사소통장애의 병력이 있는 경우, 조현병의 추가 진단은 조현병의 다른 필요 증상에 더하여 뚜렷한 망상이나 환각이 최소 1개월(성공적으로 치료가 되면 그 이하) 동안 있을 때에만 내려진다.


요약 : 조현병 해당 증상을 보이는데, 약빨지 않았으며, 저지능이나 자폐스펙트럼 문제가 아니고, 발병 전후의 기능 수준 차이가 심할 경우



본인이 한창 왕따를 당했을 때 2년 정도만 더 방치되었더라면 조현병에 걸렸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을 늘상 함.

꿈에서 이미 논리체계가 붕괴되어 있었고, 환청, 환시, 각종 피해망상 등을 갖기 시작한 타이밍이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