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생각 기준)
파란색 항목: 봇의 장르, 용도 등에 관계 없이 있으면 좋은 항목
초록색 항목: 넣으면 좋지만, 파란색 항목과 통합 가능하거나 봇/플레이 성향에 따라 빼도 무방한 항목
주황색 항목: 없어도 무방한 항목


### Basic Information
Name: (Given name, nickname, common Title, etc.)
Description: (One or two sentences that represent the core of the character)
Backstory: (History that shaped the character's current self; key events, family, education, important people, etc.)
Appearance: (Physical portrayal of the character; height, body shape, overall image, eye color, hair color and shape, physical features, attire, etc.)
Nationality/Ethnicity/Race: (Which influences the character's cultural background and identity)
Occupation:
Residence: (Neighborhoods, residential features, home environment, etc.)

### Core Identity
Overall Personality: (The key personality traits that have the most impact on a character's overall behavior.)
Beliefs and Values: (Which governs the character's behaviors and decisions; fundamental beliefs, values, moral compass, etc.)
Fears and Phobias:
Goals and Motivations: (A force that drive the character; ambitions, motivations, needs, goals, etc.)

### Behavioral Patterns
Decision-Making Process:
Communication Style: (Including speech patterns)
Social Engagement Techniques:
Personal Connections: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Coping Mechanisms:
Sexual Proclivities:

### Interests and Preferences
Daily Routines:
Hobbies:
Habits:
Likes/Dislikes:


### Skills and Belongings
Skills:
Weaknesses:
Belongings:
Prized possessions:


### Trivia
(Unique facts about the character, such as unusual hobbies, a secretive past, or remarkable achievements.)

### 기본 정보
이름: (예명, 닉네임, 일반적인 직함 등)
설명: (캐릭터의 핵심을 나타내는 한두 문장)
배경 스토리: (캐릭터의 현재 자아를 형성한 역사, 주요 사건, 가족, 교육, 중요한 인물 등)
외모: (캐릭터의 신체적 묘사; 키, 체형, 전체적인 이미지, 눈 색깔, 머리 색깔 및 모양, 신체적 특징, 복장 등)
국적/민족/종족: (캐릭터의 문화적 배경과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직업:
거주지:
(이웃, 주거지 특징, 가정 환경 등)

### 핵심 정체성
전반적인 성격: (캐릭터의 전반적인 행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주요 성격 특성).
신념 및 가치관: (캐릭터의 행동과 결정을 지배하는 근본적인 신념, 가치관, 도덕적 나침반 등)
두려움과 공포증:
목표와 동기: (캐릭터를 움직이는 힘; 야망, 동기, 욕구, 목표 등)

### 행동 패턴
의사 결정 과정:
커뮤니케이션 스타일:
(말하기 패턴 포함)
사회적 참여 기법:
개인적 관계
갈등 해결 전략:

대처 메커니즘:
성적 경향:

### 관심사 및 선호도
일상 루틴:
취미
습관
좋아하는 것/싫어하는 것:

### 기술 및 소지품
기술:
약점:
소지품:
소중한 소지품:

### 기타
(특이한 취미, 비밀스러운 과거, 주목할 만한 업적 등 캐릭터에 대한 독특한 사실)


간단한 부가설명


### 기본 정보 /말 그대로 기본 인적사항 항목.

이름: 풀네임, 직함, 남들이 부르는 호칭 등. 굳이 구분해서 적기보다는 통합해서 적어도 괜찮음.

설명: 봇의 전반적인 정체성을 나타내는 한두줄의 설명. 특히 컨셉이 확실한 봇 경우에는 이게 있으면 모델이 구현을 잘 해 줌.

배경 스토리: 지금의 봇의 정체성을 형성한 중요한 서사. 아래 항목들에게 개연성을 부여해주는 중요한 항목이라고 생각함.

외모: 나는 별로 신경을 안 쓰는 부분이기는 하지만 대부분의 챈럼들이 공들여 작성할 파트. 항목을 세부 분류하는 것도 괜찮긴 하지만, 사실 외모에 관련된 부분, 특히 키-몸무게-전반적인 몸매 뭐 이런 것들은 연관된 정보기 때문에 같이 서술해주면 좋은 것 같음. 이건 테스트를 돌려 보면서 세부항목을 분리할 지 말 지 판단하면 좋을듯

국적/민족/종족: 봇에 따라서 취사선택을 잘 해 주면 됢. 예를 들어서 그냥 현대 배경 봇이라면 굳이 종족 같은 걸 적어 줄 필요는 없겠지만, 판타지 봇이라면 종족을 명시해주는 게 중요할 것임. 그리고 한국 배경의 한국인 봇이라면 민족이 크게 중요하지 않겠지만, 이민자 정체성이 중요한 봇이라면 민족을 명시하는 게 필요함. 현대 배경이라면 모델들이 대체로 국적/민족성 등을 잘 반영해주기도 하고... 그런데 사실 이 부분은 Description이나 Background에 통합 가능하기 때문에 역시나 취사선택을 해 주면 됨.

직업/거주지: 역시나 봇에 따라서 취사선택해 주면 됨. 개인적으로 거주지 같은 경우에는 RP의 배경으로 쓰기에도 쏠쏠한 편이라 꼭 넣어주는 편이긴 함.

### 핵심 정체성 /아래에 있을 행동 패턴 섹션의 밑바탕이 될 핵심 정체성. 개인적으로는 가장 공들여 적는 항목임.

전반적인 성격: 간단한 주요 성격 특성. 뒤에 있는 '행동 패턴'항목들이 봇의 성격을 잘 표현해 줄 것이기 때문에 이 항목에 너무 모든 정보를 담을 필요는 없다고 생각함. 키워드 나열 방식도 무방할 것 같음.

신념 및 가치관: 약간 진지한 배경의 진지한 봇이라면 필수라고 생각하지만, 가벼운 봇이나 쿰용 봇에 굳이 이런 걸 넣어서 토큰을 소모할 필요는 없다고 봄.

두려움과 공포증: 여기서 말하는 두려움이랑 공포증은 아이구 거미 무서워 이런 수준이 아니라 거미 보면 손발이 줄줄 눈물이 벌벌 수준을 말하는 거라, 역시나 봇에 따라서는 별로 필요가 없다고 봄. 가벼운 비선호에 대한 거라면 Likes/Dislikes 항목에 간단하게 적어주는 게 낫겠지. 하지만 피폐봇이라거나 하면 중요성이 급격하게 높아지는 항목이라고 본다.

목표와 동기: 개인적으로는 있으면 봇이 훨씬 능동적이고 생동감 넘쳐진다고 생각하는 항목임. 사소한 것이라도 사람들은 각자의 내적 동기에 따라 움직이기 마련이니까, 목표나 동기를 잡아 주면 반응이나 행동에 일관성도 생기고 여러모로 필요한 것 같음. 

### 행동 패턴 /이 시트의 특징적인 부분. 기존 시트들의 '성격' 부분을 완전히 빼 버리고, 대신 일반/특수 상황에서의 캐릭터의 행동 패턴을 넣었음. 내 예측일 뿐이지만 이렇게 하면 봇의 다양한 행동을 유도하는 효과도 있는 것 같음.

의사 결정 과정: 말 그대로 봇의 의사결정 과정. 본능에 따르는지, 논리에 의존하는지, 다른 사람의 판단을 따르는지... 뭐 그런 것들을 적을 수 있음. 우리의 모든 행동은 크고 작은 의사결정의 연속이기 때문에 개인적으로는 필수적인 항목 아닌가 싶음.

커뮤니케이션 스타일: 말 그대로 봇의 의사소통 스타일. 말을 많이 하는지 적게 하는지, 스스로를 많이 드러내는 편인지 아닌지, 적극적인지 소극적인지, 말투나 발화 패턴은 어떤지... 포괄적인 부분을 다룰 수 있고, 우리는 봇과 커뮤니케이션하는 게 목적이니까 그만큼 중요한 항목이라고 봄.

사회적 참여 기법: 일반적인 사회적 상황에서 봇이 어떻게 행동하는지에 대한 항목. 예를 들어 사람 많은 곳에서는 리더 역할을 맡는 편인지, 한발짝 물러서서 관찰자 역할을 유지하는 편인지 뭐 그런 것들을 다룸. 나랑만 얘기할 와이프 봇이라면 크게 필요 없을지도 모르지만, 스케일이 큰 세계관 봇이거나 평소에 봇을 어디에 던져놓고 반응 보는 걸 좋아한다면 있으면 좋은 항목 같음.

개인적 관계: 앞선 두 항목이 좀 일반적인 상호작용에 관련된 항목이었다면, 개인적인 관계에서 봇이 어떻게 행동하는지에 대해 서술하는 항목. 대부분의 경우에는 봇과 개인적인 관계를 맺는 게 목표일 테니까 필요한 항목이라고 생각.

갈등 해결 전략: 갈등 상황에서 봇이 어떻게 행동하는지에 대한 항목. 이 부분을 잘 적어 놓으면 희망드리프트가 적어지는 느낌이 있기도 했음. 갈등 해결 전략을 명시해 놓는것만으로도 RP에 갈등요소가 포함될 수 있다는 암시로 작용하는 게 아닌가 싶은데 아무튼 어떤 봇이든 갈등상황은 유발될 수 있고 꿀잼이니까 난 열심히 적음.

대처 메커니즘: 봇이 스트레스, 트라우마, 공포 같은 것에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대한 항목임. 갈등 해결 전략이 외부 갈등에 대한 거였다면 이건 내부 갈등에 대한 거라고 보면 될듯. 역시나 일상순애봇, 쿰용 봇, 힐링봇에 굳이 넣어서 토큰 낭비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함. 대신 피폐봇이라면 필수.

성적 경향: 설명을 생략한다

(외에도 이 항목에는 각 봇마다 발생할 수 있는 특수 상황에 대한 행동 패턴을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한니발 봇 경우에는 '누군가가 자신의 정체를 의심하기 시작했을 때' 항목을 넣었음. 역시나 이걸 적어놓는 것만으로 어느 정도 시나리오 유도 효과가 있는 것 같아서, 기존에 시나리오 가이드라인 같은 걸 썼던 제작자라면 채택해 볼 만 하다는 생각이 듦.)

### 관심사 및 선호도 /있어도 되고 없어도 되는데, 구체적인 봇을 원한다면 열심히 작성하게 되는 섹션인듯. 개인적으로는 디테일을 모델한테 맡기는 걸 좋아하기도 하고 봇카드 섹션이 너무 많아지는 것도 싫어서 그냥 재밌어보이는 몇 개 정도만 기타 항목에 쑤셔박아버림.
일상 루틴:
취미:
습관:
좋아하는 것/싫어하는 것:

### 기술 및 소지품 /있어도 되고 없어도 되고. 일상순애봇 같은 경우에는 굳이 없어도 되겠지만, 판타지 봇이나 전투 봇 같은 경우에는 필수적이겠지?
기술:
약점:
소지품:
소중한 소지품:

### 기타 /있되없되
(특이한 취미, 비밀스러운 과거, 주목할 만한 업적 등 캐릭터에 대한 독특한 사실)


당연한 말이지만 여기에 각자 좋아하는 항목 추가해서 써도 됨. 빼도 되는거고...

봇카드 양식에 정답은 없으니까 각자가 원하는 봇의 컨셉, 플레이 방향, 구현 정밀도 등등에 따라 바꾸는 게 좋다고 생각핢


엄청 강조하고 싶다면 시트 내에서 정보를 반복적으로 언급해도 좋겠지만, 웬만하면 정보가 유기적으로 잘 연결될 수 있게 짜임새 있게 넣으면 좋은 것 같긴 하더라

예를 들어 Description에서 '종원은 평범한 한국인 직장인입니다' 이래놨는데 또 굳이 Nationality: Korea 이럴 필요는 없다는거

가급적 정보끼리 겹치지 않도록 애쓰기는 했는데 그래도 뭔가 겹치는 부분이 나올 수는 있음 알아서 잘 조율하길


아무튼 개힘들다 수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