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대들은 어떻게 봇을 깎을 것인가? 진짜로 살아 숨 쉬는 와이후를 만나고 싶지 않은가?

누구나가 꿈을 꾼다. 1000토큰이 넘는 최고의 와이후를 만들고 싶다고 하지만 어째서인가 막상 시작하면 너무나 어렵기만 하다.

나도 안다. 뭔가 아이디어가 떠올라 신나서 이름, 외모, 성격, 배경, 호불호 등등을 거침없이 써 내려가지만

어느 순간 창작력이 바닥이 나서 뭐를 더 넣어야 할지 몰라 불필요하고 중복되는 문장만 늘어가게 되고

막상 채팅을 시작해도 내가 원하는 맛이 안 나는 것만 같은 기분에 괜히 나만 봇을 못 깎는 것 같아 공유하기 망설여진다.


하지만 이제는 걱정 말아라! 이제 이거만 있으면 더는 고민할 필요가 없다.

캐릭터의 탄생, 문제적 캐릭터 심리 사전, 캐릭터 메이커, 캐릭터 만들기의 모든 것, 빌런의 공식, 히어로의 공식 등등

그대들을 위해 수많은 캐릭터 창작 가이드를 전부 읽어본 내가 직접 모든 것을 정리했다.

앞으로는 늘어난 터보의 토큰과 더불어 1000토큰 이상의 고퀄리티 봇의 시대다. 쭉 읽고 따라 해보자!


[


- 캐릭터 기본 정보


Name: 이름이다.

TIP: 다음을 참고하자. (https://babynames.com/ <- 영미권, https://st.benesse.ne.jp/ninshin/name/ <- 일본어권, 

https://baby-name.kr/ranking/ <- 한국어권)


Species: 종족이다.

TIP: 엘프나 서큐버스같은 아인이 아니면 굳이 휴먼 넣을 필요 없이 국적을 넣어주자.


Sex: 성별이다.


Age: 나이다.

TIP: 18세미만은 생략하거나 child, youngster, adolescent, youth 이렇게 애매하게 넣어주자.


Religion: 종교다. 사후세계에 대한 개념이나 심도 깊은 대화에 있어서의 틀을 잡아주고 신념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분을 보완해준다. 

TIP: 종교가 있다면 믿음의 정도도 설정해주자. (ex. 전통적, 진보적, 문화적등등) 

만약 없다면 어떤 무교인지도 설명해주자. (ex. 무신론, 불가지론, 인본주의등등)


Birthday: 생일이다.

TIP: 별자리와 함께 서술하면 설명되지 않은 캐릭터의 성격을 보조해 줄 수 있다.

서양에서 별자리 성격론은 동양의 혈액형 성격론만큼 유명하다.


Blood type: 혈액형이다. 용도는 별자리와 같다.


- 캐릭터 특성


Morality: 도덕성이다. 캐릭터가 선한 인물인지 악한 인물인지 정하자. 

이것을 명시하지 않으면 AI의 희망 가득한 도덕성을 강제 주입받게 될 수도 있다.

TIP: DND 9가지 성향을 참고하면 편하다.


Intelligence: 지능이다. 캐릭터가 똑똑한지 멍청한지 정하자. 

이것을 명시하지 않으면 AI의 뛰어난 지능을 물려받아 캐릭터에 맞지 않은 지나치게 똑똑한 모습을 보여줄 수도 있다.

TIP: 학력과 함께 설명하면 추가적인 디테일을 살릴 수 있다.


Health: 건강이다. 캐릭터가 튼튼한지 병약한지 정해주자. 신체를 사용하는 상황에서의 묘사가 개선되는 것을 볼 수 있다.

TIP: 일상물이 아닌 전투가 만연한 세계관의 캐릭터라면 싸움실력도 함께 적어주자.


Personality type: 성격 유형이다. 캐릭터의 성격의 틀을 잡고 설명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을 보조하는 역할로 쓰인다.

MBTI, Enneagram, Big 5 SLOAN type등등이 있다.

TIP: 밑에 있는 성격 특성을 먼저 정하고 그에 맞춰서 넣어주자.

어려우면 채찍에게 '이런 성격에 어울리는 ㅁㅁ를 추천해줘' 하는 식으로 짬 때리자.


Personality traits: 성격 특성이다.

아무거나 막 넣지 말고 캐릭터의 사고방식, 문제 해결법, 대인관계 태도, 결함, 정체성 이 5가지 고려하자.

TIP: 이걸 가장 먼저 짜는게 좋다.

예시를 들자면 고집스러운, 노력하는, 방어적인, 질투하는, 순수한 이런 식으로 츤데레 캐릭터를 구성할 수 있다.


Belief/Value: 신념과 가치관이다.

일관성이 없는 캐릭터는 매력이 없고 이입하기도 쉽지 않다. 캐릭터 붕괴를 막아주는 저지선이라고 생각하자.

TIP: 가장 마지막에 작업하자. 이 캐릭터가 절대로 하지 않을 행동을 생각해보자. 속담이나 명언등을 참고하면 더욱 쉽다.


- 캐릭터 외모


Appearance: 외모다. 머리색, 눈색, 안경여부, 상징 아이템, 키, 얼굴, 몸매, 감정의 표출 여부, 향기등등을 적어주자.

TIP: 상징 아이템은 아주 중요하다. 셜록 홈즈하면 떠오르는 것은 모자와 담배지 얼굴이 아니다. 

겉으로 드러나는 외적 특성도 좋고 캐릭터가 항상 소지하고 다닐법한 소중한 물건도 좋다.


Body image: 외모에 대한 만족도이다. 전반적인 캐릭터의 자신감에 아주 큰 영향을 끼친다. 

똑같이 이쁘다고 말해도 어떤 캐릭터는 좋아하면서 부끄러워하고 어떤 캐릭터는 그래서 반했냐고 도발한다.


Fashion style: 패션 스타일이다. 매일 같은 옷만 입고 다니는 캐릭터는 현실성이 떨어진다.

대충 어떠한 종류의 옷을 선호한다고만 해주면 AI가 알아서 갈아입힌다.


- 캐릭터 배경


Family: 가족이다. 가족 구성원만 간략하게 적어주고 자세한 사항은 로어북으로 따로 추가해주자.

TIP: 가족의 소득계층을 적어두면 캐릭터의 성장배경에 디테일을 더할 수 있다.


Residence: 거주지이다. 장소, 지역, 크기, 건물 종류를 상세히 적어주자. 캐릭터의 활동 반경을 정해주고 배경묘사가 달라진다.


Job: 직업이다.

TIP: 수입과 함께 설명하면 캐릭터의 라이프 스타일에 디테일을 추가해 줄 수 있다.


Background: 배경이다. 솔직히 이렇게까지 디테일한 캐릭터 시트에서는 쓸게 많이 없다.

퍼스트 메시지로 부터 가장 최근의 과거를 간략하게 적어두는게 좋다.


Evaluation: 평가이다. 이 캐릭터의 대외적인 이미지와 주변 인물들로부터 어떤 평가를 받고 있는지 적어주자.

이는 유저의 상호작용의 특별함을 더할 수 있다.

TIP: 평가와 성격이 일치하지 않는 편이 보통은 매력있기 마련이다.


- 캐릭터 세부사항


Trauma/Fear: 트라우마와 공포다. 사연이 없는 캐릭터는 매력이 없다.

캐릭터는 어쩌다 이런 성격이 되었을까 하는 이유를 넣는 작업이라 보면 된다.

TIP: 성격 특성을 다 짰다면 두번째로 이걸 작업하자. 그 다음은 기본 정보를 작성하자.


Desire: 욕망이다. 트라우마는 결핍을 낳고 결핍은 욕망을 낳는다.

트라우마와 공포심을 극복하기 위해 무엇을 추구하게 되었는지 생각해보자.

TIP: 매슬로우의 욕구단계을 참고하면 쉽다.


Relationship: 대인관계이다. 나 같은 경우, 서사의 핵심인 갈등을 여기에 넣는다.

이 캐릭터가 어떠한 성격의 캐릭터들과 갈등을 일으키는지 적어주자.


Pride: 자부심이다. 잘하는 거 하나 없는 캐릭터를 좋아해 줄 사람은 아무도 없다.

캐릭터의 강점이라고 생각하면 편하지만 강점과 자부심이 꼭 일치할 필요는 없다.


Shameful secret: 부끄러운 비밀이다. 완벽한 캐릭터는 이입이 되지 않는다. 사실상 약점과 싫어하는 것의 역할을 한다고 보면 된다.

TIP: 단 치명적이어서는 안된다. 사소하고도 깜찍한 비밀만 추가해주자. (ex. 벌레를 무서워한다)


Like: 좋아하는 것이다. 좋아하는 음식, 취미와 관심사, 좋아하는 물건등등 사실상 캐릭터의 취향을 결정해 주는 것과 다름없다. 


Habit: 버릇이다. 단순하게 정하지 말고 이 캐릭터를 상징하는 행동이 들어가야 한다. 이게 없으면 묘사가 자칫 단조로워 질 수 있다.

TIP: 역전재판의 인물들을 떠올려보면 한층 이해가 쉽다. (ex. 나루호도의 삿대질)


- 캐릭터 목표


Lack/Weakness: 결핍과 약점이다. Shameful secret과 달리, 캐릭터가 장기적인 목표를 쉽게 달성할 수 없는 치명적인 약점을 넣자.

목표를 쉽게 이루는 인물을 인간미가 없다. (ex. 나루토는 몸속의 구미라는 괴물이 봉인되어 있다.)


Thought/Lie: 생각과 거짓말이다. 캐릭터가 가진 딜레마 혹은 잘못된 믿음을 적어주자.

(ex. 나루토는 마을 사람들의 인정을 받고 싶지만 본심과 달리 관심을 받고 싶어 사고만 친다.)

TIP: 대화문으로 작성하고 but...으로 끝내서 깊이 생각할 여지를 남겨두자.


Short-term goal: 단기적 목표다. 현재 이 캐릭터가 몰두하고 있는 것이다. (ex. 나루토는 사스케를 되찾고 싶다.)


Long-term goal: 장기적 목표다. 이 캐릭터의 궁극적인 소망을 다룬다. (ex. 나루토는 호카게가 되고 싶다.)


Hindrance/Stress: 방해와 스트레스다. 캐릭터가 목표를 이루지 못해도 아무런 패널티가 없어선 아무런 흥미도 긴장감도 없다.

고기를 두들겨패야 맛있는 돈까스가 완성된다. (ex. 사스케를 빨리 구하지 못하면 오로치마루가 그를 흡수할 것이다.)

TIP: 남성 캐릭터의 경우 그에게 주어지는 과도한 기대와 책임감에 대해 집중하자.

반면 여성 캐릭터의 경우 그녀에게 주어지는 과도한 요구와 억압감에 집중을 하는게 좋다.


- 캐릭터 친밀도


Ideal partner: 이상형이다. 봇이 너무 철벽을 치거나 너무 헤퍼지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TIP: 보통 사람은 자신의 결함을 보완해주고 같은 가치관을 공유하고 있는 사람에게 끌린다.


Intimate persona: 친밀도에 따른 페르소나이다. 이 캐릭터가 관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서술해주자.

(ex. 친구, 여자친구, 부인, 엄마등등)


Sexuality: 섹슈얼리티다. 성적 경험, 성에 대환 관점, BDSM성향, 선호하는 플레이등등 너의 욕망을 전부 때려넣자.


- 기타


Speech: 말투다. 사실상 제 2의 성격이라고 보면 된다. 성격에서 아쉬웠던 부분을 보충해주자.

TIP: 가능한 마지막에 작업해 채찍에게 '이런 캐릭터에 어울리는 말투를 추천해줘' 하는 식으로 짬 때리자.


Favorite place: 좋아하는 장소다. 데이트의 특별함을 더 할 수 있다.

TIP: 단순하게 설정하지 말고 캐릭터에게 의미있는 장소 혹은 캐릭터가 자주 출몰할 것만 같은 장소를 곰곰히 생각하자.


Skill: 스킬이다. 일상적인 세계관에서는 스킵하자. 대충 이름만 적어두고 자세한건 로어북으로 따로 설명하자.


Equipment: 장비품이다. 설명은 스킬과 동일하다.


]


여기까지 잘 따라왔다면 마지막으로 퍼스트 메시지를 작업하자. 

그런데 사실상 AI의 지능이 좋아진 지금은 퍼스트 메시지의 역할이 크지 않다. 간략해도 좋으니 다음 사항을 명심하자.

시간대, 날씨, 장소, 복장, 자세, 풍경 등의 캐릭터와 주변의 세부사항을 묘사하고 캐릭터에게 꼭 임무를 부여하자.

아무리 매력적인 캐릭터를 깎아도 주어진 임무가 없어서야 이야기가 시작되지 않는다. 거창하지 않아도 좋다.

그리고 사칭 방지를 위해 꼭 캐릭터의 시점에서만 서술하자. 퍼스트 메시지에서 절대 유저나 다른 인물이 등장해서는 안 된다.


마지막으로 부끄러워하지 말자. 어차피 챗붕이들은 올려주면 감사하게 먹는다.

꼭 퀄리티가 높은 봇이 인기가 있다고도 할 수 없다. 때로는 퀄리티가 낮아도 열광적인 인기를 끌 수도 있다.

그리고 이것은 창작자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도 마찬가지다. 봇 리뷰만큼 창작자들을 감동시키는 것 또한 없다.

봇 얼굴에 똥을 싸질러도 재미있게 구경할 테니 부끄러워하지 말고 로그 좀 공유하자.

좋은 봇과 좋은 리뷰의 선순환, 이것이 양질의 채팅을 만들어낸다는 것을 명심하며 오늘도 즐거운 쿰을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