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사용되는 기초구역번호 기준(기초구역번호는 10000의 자리에 별도의 의미가 없음)

01000 서울 강북 우이동 일대

10000 경기 김포 월곶면 성동리, 보구곶리 일대

21000 인천 계양구 둑실동 일대

30000 세종 소정면 소정리, 운당리 일대

40000 경북 성주군 벽진면 용암리, 봉학리 일대

50000 경남 함양군 서상면 중남리, 상남리 일대

61000 광주 북구 용전동, 월출동 일대


1988~2015간 사용된 2세대 우편번호 기준

고속도로 노선번호땜에 제일 익숙할듯

100-011 서울 중구 충무로1가

200-010 강원 춘천 옥천동

300-010 대전 동구 원동

400-011 인천 중구 중앙로1가

500-010 광주 북구 임동

600-011 부산 중구 중앙동1가

700-010 대구 중구 포정동


참고로 1970~1988간 사용된 1세대 우편번호에서는

100 서울중앙우체국

200 춘천우체국

300 대전우체국

400 4자 기피로 결번 (인천은 160)

500 광주우체국

600 부산우체국

700-11 501군사우체국 (대구는 630)


+ 집배코드(등기에서 기초구역번호를 보완하는 코드) 기준

100 서울중앙우체국

200 춘천우체국

300 대전우체국

400 인천우체국

500 광주우체국

600 부산우체국

700 대구우체국

802 군산우체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