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연히 출처는 이쪽.

* 부득이하게 13대 총선 때 인구는 1990년 인구를 썼고 21대 총선 때 인구는 같은 출처에서 확인할 수 있는 최신 인구인 2018년 인구를 쓴 점에 유의.

형식:

인구 수(전국 대비 인구 비율)

선거구 수(전국 대비 선거구 비율)


우선 민주화와 동시에 이루어진 소선거구제 재전환 직후의 1988년 13대 총선 당시의 상황을 보자:


* 당시 잘 나가던 지역들인 수도권과 부울경을 제외하면 다들 선거구 불균형의 수혜자라고 할 수 있겠음. 전국 대비 인구의 비율보다 선거구의 비율이 더 높으니...

* 이는 당연하지만 가파르게 줄어드는 인구를 선거구 조정이 못 따라가서 그런 케이스임. 반대로 수도권과 부울경은 상당한 손해를 보고 있었고 특히 수도권은 당시 적정 선거구의 80%도 채우지 못했음;;  동시기 적정 선거구의 175%를 보유하고 있던 강원도와 비교하면 엄청난 격차.

인구로는 큰 격차가 나는 전북과 강원(50만명 차이), 그리고 호남과 부울경(180만명 차이)이 같은 수의 선거구를 보유하고 있었던 것도 지금으로써는 이해하기 힘든 부분임.


다음은 최근에 있었던 21대 총선의 상황을 보자:


* 인구가 증가하긴 했지만 증가율이 전국 평균을 못 넘은 부울경은 손해를 보던 입장에서 수혜자로 바뀌는 해프닝을 겪었음ㅋㅋ

* 이와는 반대로 대전충남은 급속한 인구증가로 졸지에 수혜자에서 피해자가 되버림. 인구증가율은 분명 전국 평균 이상이었는데도 아예 선거구 비율 줄어버렸음...

계속된 선거구 조정으로 이제는 대부분의 지역들이 인구 비율과 선거구 비율이 얼추 비슷해진 모양새임. 말이 많이 나오는 수도권도 인구와 선거구의 괴리는 4%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