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37조 도(직할시), 시(구역), 군인민회의는 지방주권기관이다.

제145조 도(직할시), 시(구역), 군인민위원회는 해당 인민회의 휴회중의 지방주권기관이며 해당 지방주권의 행정적집행기관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헌법", 2019.

* 사실 이 조항은 1972년 사회주의헌법 제정 때부터 존재해 옴.



도와 도소재지를 보면 북쪽에 평안남도―평성, 평안북도―신의주, 황해북도―사리원, 황해남도―해주, 자강도―강계, 량강도―혜산, 함경북도―청진, 함경남도―함흥, 강원도―원산, 특별시―라선시, 남포시가 있고...

- "누가 많이 알가(력사, 지리편)", 2010.


공화국북반부의 행정구역

공화국북반부에는 3개의 특별시(평양시, 라선시, 남포시)와 9개의 도(평안남도, 평안북도, 자강도, 량강도, 함경북도, 함경남도, 황해북도, 황해남도, 강원도)가 있다.

평양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도이다.

도(특별시)밑에는 시, 군(구역, 구, 지구)이 있으며 그밑에 리(읍, 구, 동)가 있다.

- "지리(중학교 제2학년용)", 2012.


행정구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구역체계는 9개의 도와 1개의 직할시, 2개의 특별시, 200여개의 시(구역), 군, 수천개의 리, 로동자구, 동 등으로 되여있다.

- 북한 외무성, 2017.6.17


Administrative Districts

The DPRK’s administrative system consists of nine provinces, one municipality, two special municipalities, 200-odd cities (districts) and counties, thousands of ris, and workers’ districts and dongs.

- 북한 외무성,  2017.7.2.


행정구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9개의 도와 3개의 직할시로 되여있습니다.

도: 평안남도, 평안북도, 황해남도, 황해북도, 함경남도, 함경북도, 자강도, 량강도, 강원도

직할시: 평양시, 라선시, 남포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주요경제지대들", 2018.


--- 2019 개성시 승격 ---


행정구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구역체계는 9개의 도와 1개의 직할시, 3개의 특별시, 200여개의 시(구역), 군, 수천개의 리, 로동자구, 동 등으로 되여있다.

- 북한 외무성,  2020.5.17


ADMINISTRATIVE DISTRICTS

The DPRK’s administrative system consists of nine provinces, four special municipalities, 200-odd cities (districts) and counties, thousands of ris, and workers’ districts and dongs.

- 북한 외무성,  2020.7.13


행정구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구역체계는 9개의 도와 4개의 특별시, 200여개의 시(구역), 군, 수천개의 리, 로동자구, 동 등으로 되여있다.

- 북한 외무성,  2020.8.16



직할시랑 특별시 용어가 혼재된 것은 물론이고, 직할시-특별시 위계 유무, 직할시(혹은 특별시)의 범위에 대해서도 자료마다 말이 안 맞음.


일단 Wayback Machine으로 돌려본 외무성 홈페이지는 업데이트가 좀 늦는 듯한 느낌이 있음.


개성시 승격이 2019년이었는데도 2020년이 되어서야 업데이트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