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의 북서쪽 농촌 지대를 지키고 있는 임곡동... 구 광산군 임곡면을 행정동으로 계승하여, 면소재지였던 법정동 임곡동을 비롯한 여러 법정동을 거느리고 있다. 이하 행정동 임곡동은 '임곡'이라고 칭한다.


임곡은 위치상 광산구의 북쪽 끝에 위치하는데, 광산구에서 가장 먼저 개발된 송정리는 비교적 남쪽에 위치하고 그 북쪽으로 새로운 시가지들이 뻗어나갔기 때문인지 임곡은 광산구의 타 농촌동에 비하면 버스의 행선지가 다양한 편이다. 아래는 노선 경로에 대한 설명인데, 임곡 외 구간은 편의상 대충 퉁쳐서 적었다.

임곡89: 덕흥동종점~양동시장~광주역~하남대로~장수교차로~연동삼거리~임곡동~오산동 와산(진출입)~광산동 오룡동마을

임곡90: 동곡동~광주송정역~호남대~삼도동소재지~본량동소재지~임곡동~사호동 원사호

임곡91: 첨단종점~보훈병원후문~비아동~안청동~진곡동~연동삼거리~신룡동 신촌(진출입)~임곡동~오산동 와산

임곡290: 도산동종점~광주송정역~광주여대~하남지구~장수교차로~등임동, 송산유원지종점(진출입)~연동삼거리~임곡동~오산동 와산

그리고 이걸 임곡에서 다른 지역으로 나갈 때의 행선지대로 다시 정리하면...

임곡89: 양동시장

임곡90: 송정리 (삼도, 본량 경유)

임곡91: 첨단

임곡290: 송정리


일단 주민센터 소재지인 법정동 임곡동은 이 네 노선이 전부 지나가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골라타면 된다. 또한 임곡역~연동삼거리 구간의 임곡로 연선에서는 임곡90을 제외한 세 노선을 탈 수 있어서 행선지 개수는 변함이 없다. 하지만...

광산동: 우리는 임곡89만 다녀서 양동시장 방면으로만 갈 수 있어요

사호동: 우리는 임곡90만 다녀서 송정리 방면으로만 갈 수 있어요

신룡동 신촌: 우리는 임곡91만 다녀서 첨단 방면으로만 갈 수 있어요

등임동 안쪽 마을들: 우리는 임곡290만 다녀서 송정리 방면으로만 갈 수 있어요

벽파정마을과 그 이남 고봉로 연선: 우리는 임곡81과 임곡290만 다녀서 양동시장과 송정리 방면으로만 갈 수 잇어요

이렇게 마을마다 갈 수 있는 곳들에 차이가 생기는 걸 볼 수 있다(...).


임곡90을 제외한 3개 노선이 임곡 깊숙이 가기 위해 합류하는 곳이 연동삼거리이다. 연동삼거리 이남에서 첨단을 못 가는 거는 연동삼거리에서 임곡91 혼자 다른 길을 타며 연동삼거리 이남이면 꽤 남쪽으로 온 위치라서 납득이 되긴 하는데... 3개 노선이 하나로 모이는 연동삼거리 이북 구간에선 결국 어느 마을을 가려고 해도 한 길을 타야 하는데, 과연 진짜로 마을마다 생활권이 다 달라서 저렇게 나눠놔도 별 탈이 없는 건지, 아니면 꼬우면 환승하라는 마인드로 그냥 아무 노선이나 잡아다가 하나씩 나눠준 것인지가 의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