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충 이글이랑 이글을 섞어서 만든 끔찍한 혼종
당시 동래군 영역은 동래군, 당시 김해군/창원군 영역은 강서군, 부산부 영역은 시내동지역 으로 가정했을때

영역하위행정구역인구
부산광역시(전역)28정*, 10동, 17면3,358,763
시내 동지역28정, 10동364,977
동래군 지역12면2,851,682
강서군지역5면142,104

- 당시 하위행정구역은 면,정,동
- 매립지때문에 구분해놓은 2지역은 포함 안시킴

행정구역에 인구를 곁들이면 이렇게 됨

짙은파란색 : 특례시(분구) 가능한 인구 (50만 이상)
파란색 : 시승격이 가능한 인구 (5만 이상)
연두색 : 읍승격이 가능한 인구 (2만이상 5만미만)
연주황 : 면으로 남아있어야 하는 인구 (2만 미만)
분홍색 : 시내동지역 (당시 부산부 지역)


TMI : 북구없는 북면, 서구없는 서면, 남구없는 남면, 정직한 사상면


시내동지역 (당시 부산부 지역) 상세지도

출처 : https://lapis.nichibun.ac.jp/chizu/zoomify/mapview.php?m=002464816_o
여기 지도를 참조하여 만들었음 (동) 표시 없으면 정임
*  매립지의 경우 상황에 따라 다르게 적용
- 남빈정 남부 (현 남포동 4,5,6가) = 남빈(매립)으로 구분 [1914년 당시에는 존재하지 않았음]
- 본정 동부(현 중앙동 6,7가)= 본(매립)으로 구분 [일부가 존재, 경계선상으로는 본정과 구분되어 있었으나 색깔은 본정하고 같이칠해짐]
- 고도, 장전, 부민동, 영선동, 청학동, 초량동, 좌천동, 범일동 = 현재의 법정동을 참조하여, 추후에 매립된 지역까지 동/정을 늘림.
* 동삼동은 원본 지도에서는 아예 잘렸으나 지금도 법정동으로 있기에 칠해줌
* 부민의 경우 부민정, 부민동이 존재했으며, 부민동은 현재의 남부민동
* 풀네임을 적을 수 없을정도로 작은 정은 별도로 표기
* 현재의 법정동과 다른경우 오류가 있을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