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arca.live/b/city/37230504?category=%EA%B0%80%EC%83%81&p=1


지도출처: 지도러님

* 일부 수정 (행정구역 등 일부 편집)

에메랄드색: 고속선 (4대 고속선 + 수서평택고속선 + 대동순천안주고속선)

노란색: 준고속선

빨간색: 일반 열차선 중 국가 4대 간선망 (경부선, 경의선, 경라선, 호남선)

*경라선: 경원선 + 함경선

파란색: 일반 열차선


지도에 대해서 약간의 설명이 필요한데


1) 이북 5도 체계에 맞춰 현재(2000년대 초반 시점) 북한 인프라가 그려져있는 지도를 찾으려드니 몇년 전에 아는 형한테 받은 2000년대 초반 지리부도를 쓸 수밖에 없었음. 내가 찾아봤을때 인터넷에 있는 지도 대부분이 양강도, 자강도 등 북괴식 행정 구역을 기반으로 철도와 도로망이 나타나있는지라 이북 5도식 행정구역을 기반으로 철도망의 정확한 위치를 그리려면 이 방법밖에 없었음. 2000년대 초반 지리부도를 기반으로 작업해서 남북한 통틀어서 현재와 선형이 일부(호남선, 중앙선 등등) 맞지 않을 수 있음. 폐선도 있음. 1990년대 후반에 북한이 붕괴 후 이미 통일되었고 이 선들이 폐선되지 않았다는 대체역사성 성격도 있으니 넓은 아량으로 이해해주길 바람.


2) 올린 지도는 현재 휴전선을 기준으로 해서 통일되었다는 가정하에 만들었기 때문에 맹조의 발톱 성공 시 버전도 만들고 있음. 그래봤자 평라선 선형만 일부 변경되는 선일 것 같긴 한데.


3) 교외선은 경의고속선과 경라고속선의 각 트래픽 분산과 이동 용이를 위해 준고속선으로 개량되었다는 설정. 경기 북부 지역의 인구가 많아질텐데 지역 거주민들이 황해도, 평안도로 이동하려는 수요가 만만치 않을테니. 반대로 고양-파주-개성 거주민들이 함경도 지역으로 이동하려는 수요도 결코 만만치 않을 것.


4) 경의-수서평택고속선-경라 고속선은 GTX를 통해 서로 지하로 연결되어있다는 설정. 


5) 지리부도가 잘못되어서 경라선(함경선) 함흥 구간에서 함흥역 근처 구간을 실제 위치보다 약간 아래(함흥 본궁 근처로)로 기입해버렸음. 지리부도 나와있는 위치대로 그렸고 위성 사진과 비교해보니 알게 되었음. 경주역이나 원주역처럼 그냥 이전 구역은 폐역시키고 새로 함흥역을 삐까번쩍하게 지었다는 설정으로 해결. 실제로 위성 사진을 보면 함흥역에서 흥남항 쪽으로 가는 구간 드리프트가 상당히 심하긴 함.


6) 경부-호남고속선 분기점은 천안아산역으로 설정함. 상상속에서라도 그랬으면 좋아서. 경라선때문에 청량리역이 아무래도 용산역 이상으로 발달할 듯 함.


7) 이전 글에서 설명한 것처럼 북한 지역에서 광역시는 평양, 함흥, 의주, 나진임.

    일반 시는 북한 치하의 시이면 인구가 기준 미달이어도 굳이 격하하지 않으나 이북 5도를 기준으로 했기에 합병되었을 순(예: 평성과 순천) 있음.

- 황해도: 사리원(황해도 제1도청 소재지), 해주(황해도 제2도청 소재지), 벽성, 황주, 연안, 배천, 송림

- 평안남도: 남포, 대동, 강서, 중화, 안주, 순천, 개천, 덕천

  * 평안남도청 소재지를 설정 못함

- 평안북도: 정주(제1도청 소재지), 용천, 구성, 강계(제2도청 소재지, 옛 자강도 배려 차원), 만포, 희천

- 함경남도: 원산(남부도청 소재지), 안변, 문천, 북청(제1도청 소재지), 신포, 단천, 혜산(제2도청 소재지, 옛 양강도 배려 차원)

- 함경북도: 성진, 청진(도청 소재지), 회령, 온성, 경원, 경흥


8) 남한 지역의 경우 철원, 연천은 아무래도 진작에 시가 되어있을 듯. 김포, 파주도 실제 역사보다 더 일찍 시로 승격되었을 수도. 강화군도 잘하면 강화구나 강화시로 발전?


9) 무산군, 장진군처럼 너무 넓어 행정력 행사에 어려움이 있는 군은 북한의 행정구역을 참고하여 분할했다고 설정. 그러나 어쨌든 이북5도 체계를 기본으로 했기에 행정구역 경계는 북한의 그것과 많이 다름


대충 이렇게 설정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