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2년 새 중국인의 국내 아파트 취득이 급증한 것으로 조사됐다. 2010년에는 385건에 그쳤지만, 올해는 10월까지 8866건으로 급증했다. 평균 추이로 환산한 올해 총 취득 건수는 1만639건으로 2010년 대비 무려 27.6배 뛰었다.

25일 이수형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연구팀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20103526건이었던 외국인의 국내 아파트 취득건수는 올해 1만7368건(연간환산 기준)으로 4배 증가했다.

이 교수팀은 산업통상자원부의 외국인 부동산 직접투자(FDI) 동향을 비롯해 법원의 부동산등기 자료, 한국은행의 지역별 국제투자대조표 자료를 통해 최근 12년 간 외국인의 국내 아파트 취득 동향을 분석했다.

특히, 국내 수도권 아파트에 투자가 집중됐다. 올해 외국인이 취득한 국내 수도권 아파트는 1만3579건이었다. 이 가운데 중국인의 취득건수는 8222건으로 조사됐다. 국내 수도권 아파트 총 거래량 중 외국인의 비중도 20101.5%에서 올해 5.1%로 상승했다.

연구팀은 "외국인 부동산 투자는 대외 상황에 따라 한국 경제에 리스크로 작용 가능하다"며 "외환위기는 한국 민간 부문의 단기 외채에 대한 모니터링 실패로 초래된 점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 "과거의 전철을 밟지 않으려면 부동산 투자의 형태로 유입되는 외국 자본에 대한 모니터링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중국인이 아파트 외 수도권 토지 보유 자체도 급증했다.

지난 7월 21일 ***의원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으로 중국인 소유의 서울땅은 공시가격으로만 1조1447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와 인천을 합할 경우 2조 2231억원에 달한다.

지난해를 기준으로 서울의 중국인 토지보유 현황을 2011년과 비교했을 때, 10년 새 필지는 11.1배, 면적은 3배, 가격(공시지가 기준)은 2.2배 올랐다.

맹성규 매경닷컴 기자([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