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자료 링크는 댓글로 남길 것)

1. 한경면과 한림읍 관계는 생각보다 깊지 않다.

물론 고령화가 심한 지역이라 통근이랑은 별 상관이 없을 수는 있으나, OD수요예측이나 통근권 자료로 볼 때 한림이 그렇게 외부에서 들어오는 곳도 아니고, 한경면 역시 어디에 종속된 모습은 아님.


대중교통망으로 봐도 한경면은 북쪽-한림읍/남쪽-모슬포 방면으로 뚫려있고, 중산간은 둘다 별로 없는 모습임. 이렇게 보면 그냥 한경면은 안에서 노는거지 딱히 어디에 의존하는 모습은 아닌 것 같음.


2. 도청 사람들도 성산-표선 관계를 잘 모르는구나.

여기선 표선면이 성산읍에 종속된 형태가 나오는데, 세부적으로 뜯어보면 통근율(표선 > 성산)보다 역통근율(성산 > 표선)이 더 높고, 표선면을 "통근 출발보다 도착이 많은 위성도시"라는 이상한 개념으로 만들어 버리는 현상이 보이는데, 그냥 성산이 읍이고 표선이 면이라 대충 저렇게 쓴 걸로 보임. 


물론 내가 말해온 내용을 아는 사람들은 성산읍 서쪽의 신천, 신풍 등 표선쪽으로 더 많이 가는 동네들이 있어서 기본적인 교류가 더 많고, 그래서 표선-성산 교류가 많은 거라는 사실을 알거라고 봄.


3. 대정읍의 서귀포 중앙동 방면 통근

이건 나도 이유를 잘 모르겠음. 공무원들 때문인가?


4. 도심지에서 나오는 이상한 모양의 통근표들

서귀포 동지역은 구도심 행정동 전체가 사실상 한 생활권이라는 점을 생각해야 하고, 제주시는 공항 및 항만의 존재를 생각해야 할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