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편으로 날아오는 요금고지서를 보다 보니까 받는 사람 우편번호 밑에 뭔가 알 수 없는 문자열들이 있길래 '카드회사(또는 통신사 등)에서 자체적으로 만든 분류기호겠거니' 했는데 그게 아니고 우정사업본부에서 만든 '집배코드'라는 거였음.


2015년에 기존의 6자리 우편번호가 폐지되고 5자리 '국가기초구역번호'가 도입되었음. 그런데 우정사업본부는 다량우편물 등의 감액 요건으로 기존에는 '우편번호별로 구분하여 제출할 것'을 요구했으나 2017년에 '집배코드별 구분' 요건을 추가하고, 2019년에는 우편번호 요건을 아예 폐지하고 집배코드로 단일화했음(집배코드 없이 우편번호만 적으면 감액 안 해준다는 말임)

집배코드는 '집중국-배달국-집배팀-집배구'의 순서로 부여됨. 그런데 첫번째 짤에서 보듯이 배달국 번호가 서울이 1로, 충청도가 3으로, 경남이 6으로 시작하는 걸 보고 '혹시 옛 우편번호의 앞자리를 재활용한 건가?' 하는 생각이 들었음. 찾아보니 백의 자리는 우정청별로 구분되는데, 실제 구 우편번호 체계와 일치함. 그러나 십의 자리와 일의 자리까지 예전 우편번호 그대로인 건 아님.


경인지방우정청 관할인 인천 지역 집배코드를 정리해 봤음. 배달구역은 경인지방우정청 「우편구역 관할 변경고시」를, 집배코드는 우체국 홈페이지 검색을, 구 우편번호는 위키백과와 http://book7.co.kr/book/cpupostsearch2.php 를 참조했음.

보면 배달구역이 행정구역과 항상 일치하는 것도 아니고, 배달국 번호와 옛 우편번호 앞자리도 불일치하는 경우가 많음. 참고로 강화와 옹진은 섬이 많기 때문에 읍면별로 배달국이 따로 있는 거고(일부러 극단적인 사례로 고름), 육지 지역은 보통 배달국 1~2개가 한 군을 커버하는 듯함.

사실 서울의 경우는 4개 구를 제외하고 배달국 번호와 옛 우편번호 앞자리가 일치함. 지역마다 다르다고 보면 될 듯.


그리고 배달국 여부는 우체국 급수랑 별 상관이 없는듯. 총괄우체국이 아닌 중동우체국 교동우체국 등도 배달국이고, 영흥우체국처럼 별정우체국(민간이 설립·운영)도 배달국으로 지정되어 있음.

체계를 전체적으로 보면 88년 이전의 초기 우편번호와 유사점이 있어 보임. 행정구역이 아니라 담당 우체국별로 번호를 부여했다는 점에서.

https://m.clien.net/service/board/park/12522459 에서는 "(새) 우편번호로는 배송지를 분류하기 어렵다"고 말하는데, 맞는 말 같음. 기초구역번호는 여러 분야에 두루 쓰이기 위한 거니까, 우체국 배송에 특화되었던 기존 우편번호보다는 우체국 입장에서 불편한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됨. 다만 "과거에 싸 놓은 똥" 얘기는 이명박근혜 정권에 대한 비판적 의미 같은데(나의 억측일지도 모르지만), 도로명주소 도입에 따라 우편번호가 바뀔 것이 필연이었다면 도로명주소 추진을 시작한 김영삼 이래의 모든 대통령에게 책임이 있다고 봐야 할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