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본 글은 가상입니다.



이미 한 달도 전에 공지했던 것인데, 12월 10일자로 도면 작업을 완료해 11일자로 업로드합니다.

피드백은 댓글로 받습니다.


함경북도청

咸鏡北道廳/Hamgyeongbuk-do Provincial Government

소재지:

본청:함경북도 청진시 중구 11.26대로(청진 수복일) 20(舊 외포항동1가 1)

육진출장소:함경북도 회령시

동부출장소:함경북도 나진시 신안구

서부출장소:함경북도 길주시


<개요>

함경북도의 행정을 보는 건축물. 북한 지방의 도청들 중에서는 평북과 함께 전쟁 이후 새로 지어진 두 곳의 도청이기도 함. 북한 시절에는 함경북도 인민위원회였고, 이북5도청 산하 함북도청이 있었으나 통일 이후 함경북도 인민위원회는 빨치산화되었다 연변으로 이전했고, 현재 함경북도 영역은 길주 임시도청(현재 길주 임시도청은 길주시청 본관으로 쓰이고 있음)을 거쳐서 함경북도청이 전부 실효 지배 중. 한편 바로 왼쪽에는 구 청진시청인 청진 중구청사가 있는데, 여기는 함경북도청과 이질적인 건물 스타일이 특징.(청진시청은 1999년 강서로 이전함)

현재 공간 부족으로 인해 출장소를 설치한 것은 물론 청진 시내의 건물을 사용 중. 하지만 도청을 이전할 계획은 딱히 없습니다. 대신 청진의 신규 택지개발지구에 제2청사를 건설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중.


<본관>

<나남 시절 실제 함북도청사, 가상 설정상의 함북도청사는 이것이 3층임>

1952년 건설 당시부터 함경북도청이 있던 곳. 함경북도를 대표하는 건축물입니다.

일제강점기 당시에 나남에 도청이 있었으나 전소되었고(이는 원역사와 동일함), 북진통일 이후 유엔군정 시기(국련 시대) 당시 기존 나남 도청의 설계안을 가지고 3층으로 새로 건설해서 완공. 두 청사가 공존하는 평북(의주 의주역사관, 정주 평북도청)과 달리 나남 시절의 도청은 없어졌으므로 일부 사람들은 일제강점기 당시부터 이곳에 청사가 있었고 3층으로 증축한 것으로 오해하기도 합니다. 도지사실은 본관 2층에 존재. 등록문화재로 지정.


<도의회 청사>

함북도청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건물. 1958년 건설. 원래 도의회로 쓰였다 중앙별관으로 쓰였으나, 지방자치제 시행으로 도의회 건물로 재전환. 이 건물도 함경북도 기념물로 지정되어 있음.


<별관>

별관들은 모두 갈색 타일 외벽이나 흰색 콘크리트 외벽으로 되어 있습니다. 현재는 별관들을 리모델링하는 중. 각 별관은 3-2-1 순으로 쭉 이어져 있습니다.


<제1별관>

함북도청 동북쪽에 있는 건물. 1965년 건설되었고 원래 4층이었으나 1987년 6층으로 증축. 2010년 전면 리모델링을 실시해 커튼월이 씌워지는 등 이제는 새 건물처럼 보입니다.

<제2별관>

건물 자체가 ㄷ자형 형태로 되어있는 상황. 1971년 건설. 본관과 교량같이 이어진 연결통로가 1970년대 건설되어 현재까지 기능 중.

<제3별관>

1973년 건설. ㄴ자형 형태. 철거된 제4별관과 거의 쌍둥이었으나, 현재는 제4별관이 철거되었으므로 유일.


<신관>

<함북도청 신관>

함경북도청의 만성적인 공간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증축한 16층 건물입니다. 2005년 기존 제4별관(1970년, 노후화 문제가 심각해 2004년 12월 1일자로 폭파 철거됨)을 밀고 착공해, 2008년 완공되었습니다. 청진 원도심에서 가장 높은 건물 중 한 곳입니다.


<주차타워>

1999년 완공된 5층 건물. 주차 부족 문제에 따라 건설.


<임대 청사>

함경북도청의 공간 협소로 청진 시내의 일부 빌딩이나 청진시청(!)등을 빌려 활용 중.


<출장소>

함경북도청의 공간이 협소한데다 생활권이 어느 정도 분절된 특성상, 출장소가 3곳 존재함.

완전한 본청 관할은 청진/경성.

<육진출장소>

회령시.무산군.종성군.온성군을 관할함. 회령시 소재.

<동부출장소>

나진시.경원시를 관할함. 나진시 소재.

<서부출장소>

성진시.길주시.명천군을 관할함. 길주시 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