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레일의 철도역

평양역

平壤驛/Pyeongyang station

역 등급;관리역(특1급)(평양평남본부)

주소:평양 중구 중앙대로 1

운영기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1948-1950.10)>유엔군사령부 철도국(1950.10-1952.9)>대한민국 교통부 철도국(1952.10-1963.8.31)>대한민국 철도청(1963.9.1-2004.12.31)>한국철도공사(2005-)


평양역에 들어가면 좋은 시설(예:스토리웨이 등)피드백 받습니다.


철도표

수색 방면
사리원
<
경의고속선
평양
신의주 방면
신안주
>
서울 방면
대동강
<
경의선
평양
신의주 방면
서평양
>
기점평남선
평양
평남온천 방면
보통강
>
기점평덕선
평양
구장 방면
대동강
>

평원선은 평양이 아닌 서포역 분기.

<열차 노선>

부산 방면
사리원
<
경부.경의고속선
KTX
신의주 방면
신안주
>
서울 방면
사리원
<
평원선
KTX
원산/나진 방면
순천
>
서울 방면
사리원
<
만포선
KTX
만포 방면
순천
>
남포 방면
강선
<
평남.평덕선
KTX
정주 방면
선교리
>
서울 방면
선교리
<
관서내륙선
KTX
신의주 방면
신안주
>
부산 방면
대동강
<
경부.경의선
ITX-새마을
신의주 방면
서평양
>
시점평원선
ITX-새마을
원산/나진 방면
서포
>
시점평남선
ITX-새마을
 평남온천 방면
보통강
>
시점만포선
ITX-새마을
 만포 방면
서평양
>
시점관서내륙선
ITX-새마을
 철원 방면
선교리
>
부산 방면
대동강
<
경부.경의선
무궁화호
신의주 방면
서평양
>
평남온천 방면
보통강
<
평남.평덕선
무궁화호
영변 방면
대동강
>
시점
평원선
무궁화호
 원산/나진 방면
서평양
>
시점
만포선
무궁화호
 만포 방면
서평양
>
흑교 방면
대동강역
<
경의선
광역전철
영유 방면
대타령역
>
기점평남선
광역전철
남포 방면
보통강
>
기점평원선
광역전철
순천 방면
서평양
>
기점평덕선
광역전철
강동 방면
대동강
>
남포 방면
강선
<
북부동서관광열차
N-train
나진 방면
서평양
>


<도시철도 노선>

중화 방면

평천로터리

<

평양

1호선

순안 방면

풍경궁

>

남역포 방면

남동대원

<

평양

2호선

동부신도시 방면

서성

>

기양 방면

북평천육거리

<

평양

3호선

상원 방면

선교리역

>

중서 방면

대동강역

<

평양

7호선

순안 방면

서성

>


피드백은 댓글로 받습니다(열차 노선, 역 건물 등)

<평양역에거 바라본 시내>

<개요>

북한 지역 최대 철도역. 대한민국 전체에서 교통량이 매우 먾은 역이며 이용객도 많습니다. 당연히 평양뿐만 아니라 관서 지방에서 가장 큰 철도역으로, 특1급의 관리역.

당장 이곳을 중심으로 하는 노선도 경의선, 평덕선, 평남선, 평원선, 경의고속선 5개가 있으며, 해당 지역의 철도용량은 매우 넘쳐나서 3복선으로도 부족한 실정.

현재 조차 업무 등은 북쪽의 평양조차장역으로 넘겨준 상태로, 과거보다는 기능이 축소된 상태.

서쪽에는 군부대가 소재하며, 이로 인해 군용 화물도 취급 중이나 군부대가 이전하고 대규모 업무지구로 재개발 예정이므로 미지의 서부역사도 재개발될 예정(서부역 건물 자체는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보존 예정). 이외 일반화물은 취급 중단(2011.11.1)되었으며 평양조차장역에서만 취급 중.

당연히 옆에 군사시설이 엄연히 있으므로 제4철도수송지원대(평안도/황해도 관할) 본부와 TMO도 소재 중.

다만 소규모 조차 업무/평양차량사업소는 평양역 에서 하는 중.

코레일 평양평남본부가 평양역 일대 소재 중.


<역사(건물)>

일제강점기 당시 역사는 국련 시대 당시였던 1950년대 구 북한 추종세력의 평양역 테러로 파괴되었고, 이후 임시역사를 사용하다가 1967년이 되어서야 정식 신 역사가 건설됨. 1990년대 후반부터 철도청은 이 역을 전면 리모델링하기로 확정하고 4층에서 6층으로 증축. 1998년 완료되었으며 한국 커튼월 철도역의 효시로 알려져 있음.

사실 흔히 알려진 동부 역사 외에 단층짜리 서부 역사도 있으나 군 전용이며, 민간인 출입은 엄격히 통제됨.


<노선>

당연하지만 북부지방 최대 철도역이자 평양 최대 철도역으로 모든 열차가 필수적으로 정차함.

당연히 KTX 정차역이며, 2004년부터 서기 시작함.

이 역은 해외로 가는 국제열차의 기점 중 한 곳이며, 한국철도공사에서도 국제열차를 운영 중.

ITX-새마을(일명 잉마을)과 무궁화호 열차가 정차하는 것이 특징이며, 과거 해방호(원역사의 통일호)도 다녔으나 2004년 해방호 자체가 폐지되면서 사라졌으며 DHC나 새마을호 역시 볼 수 있었으나 모두 폐지됨.


<경의선 광역전철>

경의선 광역전철이 존재하며, 노선색은 짙은 남색. 수도권 전철 경의선과는 별개로 운행.

1991년 개통되었으며, 초기에는 신저항이 운행하다가 현재는 신저항은 모두 퇴역하고 납작이가 톼역 중이며 퇴역한 납작이들은 모두 주둥이로 대체 중.

이외 동글이나 맵눈이도 다니는 중.

이외 평원선, 평남선, 평덕선 광역전철 등도 성황리에 운행 중.


<지하철>

1,2,3,7호선이 환승되며, 1979년 평양 지하철 최초로 개통됨 1호선이 이곳에 정차한 것을 시작으로 1982년 개통한 2호선, 1987년 개통한 3호선, 1996년 개통한 7호선이 전체 환승. 당연히 4개의 지하철 노선이 통째로 겹치므로 막장환승일 수 밖에 없으며, 수요도 매우 많음. 평양역이라고 하면 전산상 코레일 역과 겹치므로 전상상에는 다른 대도시 기차역과 비슷하게 '평양역역'으로 등록되어 있습니다.(1080년대까지는 평양역앞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였습니다)


<역사>

<통일 이전 역사 생략>

1979.10.17-평양 지하철 1호선 개통(최초 전동차:저항제어 전동차)

1979.11.1-대동강철교 복복선 증설 준공식

1982.3.1-평양 지하철 2호선 개통(최초 전동차:저항제어 전동차)

1987.11.1-평양 지하철 3호선 개통(최초 전동차:초퍼제어 전동차)

1995.3.1-대동강철교 3복선 증설 준공식

1996.9.1-평양 지하철 7호선 개통.(최초 전동차:VVVF 전동차)


<평양조차장역>

경의선 상에 위치한 경의선 상 유일한 조차장.

화물 업무를 주로 취급 중. 여객은 보지 않습니다.

당연히 1급 관리역으로, 파괴될 경우 평양 이북의 철도교통이 크게 마비됨. 대전, 제천, 함흥, 청진, 길주와 함께 6대 조차장 중 하나이며, 당연히 국가중요시설로 간주되어 허가받지 않은 민간인 출입은 금지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