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부 승강장>

경의선 : 일산-문산-개성-평양-신의주 방향


<서울역 역사>


<남부 승강장>

1-2번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원/천안 방향

3번 : 경부선 대전-동대구-부산/진주 방향

4번-12번 :

경부고속선 대전-동대구-부산 방향

경부선 수원-대전-부산 방향

경부선 대전-구포-부산 방향

경전선 마산-진주 방향

동해선 동대구-포항 방향

동해선 동대구-부전 방향

호남고속선 익산-광주송정-목포 방향

호남선 서대전-익산-목포 방향

전라선 익산-전주-여수엑스포 방향

충북선 청주-충주-제천 방향

경의선 임진강-도라산-평양-신의주 방향

경원선 의정부-백마고지-원산 방향

13-14번 : 강릉선 강릉-동해 방향



<지하>


1호선 청량리-소요산 방향

1호선 구로-인천 방향

4호선 사당-오이도 방향

4호선 노원-진접 방향

공항철도 인천공항2터미널 방향

GTX A  킨텍스-운정 방향

GTX A  수서-동탄 방향

GTX B  부평-인천대입구 방향

GTX B  청량리-마석 방향




한반도의 철도 교통은 서울역을 중심으로 X축으로 건설되었음. 

그 이남으로는 대전역, 익산역, 동대구역 등에서 다시, 이북으로는 평양역 등에서 이러한 집결지 역할을 다시 하게 됨. 


서울역이 사라진 북한은 청년이천선 등을 건설하여 북한의 철도 집결지를 평양역으로 최대한 끌어올 수 있도록 1960년대에 여러 철도를 건설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