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안북도의 자치군

慈城郡 / Jaseong County

군청 소재지: 자성읍 군청로 2 (읍내리)

광역자치단체: 평안북도

하위 행정구역: 2읍 4면

인구: 32,992명

면적: 1,806km²

인구 밀도: 18.3명/km²


1. 개요

평안북도의 자치군.

후창군과 함께 조선시대 북방 영토인 4군에 속하는 지역이다.


2. 역사

1960년

 - 평안북도 읍면의 모든 동들이 리로 전환되었다.

 - 이평면 평상리가 자성면으로 편입되었다.

1963년: 중강면이 중강진읍으로 승격 및 개칭되었다.

1979년: 자성면이 자성읍으로 승격되었다. 동시에 읍내리가 자성리로 개칭되었다.

2006년: 최윤덕 탄신 630주년을 맞이해 장토면이 우예면, 중강진읍이 여연읍으로 개칭 및 환원되었다.


3. 교통

3.1. 철도

3.1.1. 일반철도

 * 북부내륙선: (옥동역) - 삼풍역 - 자성역 - 이평역 - (화평역)

 * 함흥여연선: (후창역) - 여연역 - (종점)

3.2. 도로

3.2.1. 고속도로

 * 의주온성고속도로: (만포 나들목) - 삼풍 나들목 - 자성 교차로 - 자하 나들목 - 우예 나들목 - 여연 나들목 - (후창 나들목)

 * 함흥자성고속도로: (시종점) - 자성 교차로 - 자성 나들목 - 이평 나들목 - (화평 교차로)

3.2.2. 국도

 * 5번 국도

 * 10번 국도

 * 65번 국도

3.3. 국제노선

 * 여연대교(閭延大橋, ㄌㄩˊㄧㄢˊㄉㄚˋㄑㄧㄠˊ): 대한민국 평안북도 자성군 여연읍 - 중화민국 길림성 임강현 혼강진


4. 문화유산

 * 여연성지(閭延城址): 여연읍 중덕리 소재.

 * 우예성지(虞芮城址): 우예면 토성리 소재.


5. 문화

4군을 개척한 최윤덕이 자성군과 후창군에서 군부(郡父)로 추대받고 있다.


6. 기후

여연읍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추운 지역이자 연교차가 매우 큰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7. 하위 행정구역

[자성군 읍면 지도]

[자성군 리 지도]

7.1. 읍

7.1.1. 자성읍(慈城邑)

 * 관할 법정리: 자성(慈城), 상평(常坪), 평상(坪上), 호례(浩禮), 화전(花田)

인구는 10,476명.

군청과 읍사무소 소재지인 자성리는 원래 지명은 읍내리(邑內里)였으나, 1979년 읍으로 승격되면서 현재의 지명으로 개칭되었다. 이평면 쪽에서 자성강이 흘러나와 자하면을 거쳐 압록강으로 흘러든다.

10번 국도와 65번 국도가 이 곳에서 만난다.

7.1.2. 여연읍(閭延邑)

 * 관할 법정리: 중평(中坪), 건하(乾下), 만흥(晩興), 상장(上長), 중덕(中德), 중상(中上)

인구는 15,329명.

자성군의 북부 국경지대. 자성군청 여연출장소가 중평리에 있다.

별칭인 중강진으로 유명하며, 세종 때 여연읍의 전신인 여연군(閭延郡)이 설치되었다. 1939년 중강면(中江面)으로 개칭되었다. 이후 1963년에 중강진읍(中江津邑)으로 승격되고 개칭되었으며, 2006년에 옛 지명인 여연으로 환원되었다.

5번 국도의 종점이며, 중덕리에 길림성 임강현을 잇는 여연대교가 있다.

7.2. 면

7.2.1. 삼풍면(三豊面)

 * 관할 법정리: 인풍(仁豊), 신풍(新豊), 신흥(新興), 영풍(永豊), 운봉(雲峰), 조아(照牙)

인구는 2,592명.

자성군의 서부 국경지대.

'풍' 자가 들어가는 마을이 세 곳(인풍, 신풍, 영풍)이 있다 하여 '삼풍'면이라 명명됐다.

7.2.2. 이평면(梨坪面)

 * 관할 법정리: 진송(榛松), 이평(梨坪), 회중(檜中)

인구는 1,573명.

자성군의 남부 산악지역.

운동령을 통해 후창군과 연결된다.

7.2.3. 자하면(慈下面)

 * 관할 법정리: (), 서해(西海), 송암(松巖), 연풍(延豊)

인구는 1,265명.

자성군의 북부 국경지대.

7.2.4. 우예면(虞芮面)

 * 관할 법정리: 토성(土城), 벌(伐), 장성(長城), 호상(湖上), 호서(湖西), 호하(湖下)

인구는 1,757명.

자성군의 북부 국경지대.

세종 때 우예군(虞芮郡)이 설치되었다. 원래 지명은 장토면(長土面)이었으나, 2006년 현재의 지명으로 개칭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