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안북도의 자치시

靑水市 / ㄑㄧㄥㄕㄨㄟˇㄕˋ / Cheongsu City

시청 소재지: 청수로 1 (청수동)

광역자치단체: 평안북도

하위 행정구역: 3구 13동

인구: 38,266명

면적: 175.83km²

인구 밀도: 217.6명/km²


1. 개요

평안북도의 자치시. 한반도 최초의 수력 발전소인 수풍댐이 있는 도시이다.


2. 역사

1943년 11월: 수풍댐이 건설되었다.

1944년: 의주군 광평면 청수리가 삭주군으로 편입되었고, 청수읍이 설치되었다.

1960년: 의주군 광성면이 삭주군으로 편입되었다.

1975년: 삭주군 수풍면이 수풍읍으로 승격되었다.

1981년: 삭주군 청수읍이 청수시로 승격되었다.

1985년: 삭주군 수풍읍이 청수시로 편입되었다.

1995년: 삭주군 광평면이 청수시로 편입되었다.


3. 경제

수풍댐 발전이 시의 경제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4. 교통

[청수시 교통 지도]

4.1. 철도

4.1.1. 일반철도

 * 평북선: (신안역) - 부풍역 - 수풍역 - 청수역 - (시종점)

 * 의주선: (가산역) - 광평역 - 청수역 - (시종점)

 * 압록강선: 부풍역 - 압록강역 - (시종점)

부풍역에서 구 수풍역까지 가는 지선인 수풍선이 있었으나, 수풍역이 수풍구 시가지 외곽으로 이전되면서 폐선되었다.

4.2. 도로

4.2.1. 고속도로

 * 의주온성고속도로: (가산 나들목) - 광평 나들목 - (창성 교차로)

4.2.2. 국도

 * 10번 국도

4.3. 국제노선

 * 청수철교: 청수역 - 상하구역[上河口站]

청수철교를 통해 봉상선(상하구~봉황성) 상하구역까지 직결된다.


5. 문화유산 및 관광

 * 수풍댐: 한반도 최대의 수력발전소. 일제강점기에서 1960년대 후반까지 한반도 전체에 전기를 공급할 정도로 규모가 매우 큰 발전소이다. 중화민국 요령성 관전현(寬甸縣)하고 걸쳐 있으며, 중국어로는 수풍수고[水豊水庫, ㄕㄨㄟˇㄈㄥㄕㄨㄟˇㄎㄨˋ]라고 한다.

 * 수풍수력발전박물관: 수풍구 신풍동 소재. 수풍댐에서 사용되는 발전기 레플리카와 일제강점기와 1960년대의 수풍댐 노동자들과 관련된 유물이 전시되어 있다.


6. 하위 행정구역

[청수시 일반구 지도]

[청수시 법정동 지도]

3개의 일반구를 두고 있다.

6.1. 청수구(靑水區)

 * 면적: 22km²

 * 인구: 12,450명

 * 관할 법정동: 청수(靑水), 노토탄(老土炭), 신포(新浦), 옥토(沃土)

청수시의 행정 중심지로, 청수시청이 청수동에 있다.

청수역에서 봉상선과 직결되는 청수철교가 있다.

6.2. 수풍구(水豊區)

 * 면적: 26.1km²
 * 인구: 20,364명

 * 관할 법정동: 수풍(水豊), 신풍(新豊), 연포(延浦)

청수시에서 경제력이 높은 지역으로, 한반도 최대의 수력 발전소인 수풍댐이 있다. 수풍댐에서 근무하는 노동자들과 그들의 가족들이 수풍구 인구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6.3. 광평구(廣坪區)

 * 면적: 133.35km²

 * 인구: 5,452명

 * 관할 법정동: 청성(淸城), 부평(富坪), 불정(黻汀), 상광(上廣), 판막(板幕), 하광(下廣)

원래 의주군에 속하였으나, 삭주군 청수읍(現 청수시 청수구)와 가까워 1960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삭주군으로 편입되었다.

한반도 5대 분지 지형인 광평분지가 상광동에 있다.

청성동에 광평 나들목이 있다.


알아둘 것

 * 봉상선(鳳上線, ㄈㄥㄕㄤˋㄒㄧㄢˋ): 중화민국 요령성 관전현에 위치한 상하구역[上河口站]에서 봉성현(鳳城縣)에 위치한 봉황성역[鳳凰城站]을 잇는 철도.

 * 한반도 5대 분지 지형

 - 광평분지(廣坪盆地): 평안북도 청수시 광평구 상광동 소재.

 - 방장분지(方丈盆地): 강원도 이천군 방장면 당우리, 사동리 소재.

 - 해안분지(亥安盆地): 강원도 양구군 해안면 소재. 원 역사와 달리 '펀치볼'이라는 별칭은 없다.

 - 나리분지(羅里盆地): 강원도 울릉군 북면 나리 소재.

 - 초계분지(草溪盆地): 경상남도 합천군 초계면 및 적중면 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