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안북도의 자치시

北鎭市 / Bukjin City

시청 소재지: 북진로 144 (삼산동)

광역자치단체: 평안북도

하위 행정구역: 2구 11동

인구: 12,561명

면적: 160.98km²

인구 밀도: 78명/km²


1. 개요

평안북도의 자치시. 대한민국에서 금광으로 유명한 도시다.


2. 역사

1939년 10월 1일: 운산군 북진면이 북진읍으로 승격되었다.

1981년: 운산군 북진읍이 북진시로 승격되면서 운산군에서 분리되었다.


3. 경제

과거에 대한민국과 중화민국의 합작 회사가 운영하는 금광이 시의 경제를 책임질 정도로 번성하였으나, 채산성 감소로 광업이 쇠퇴하였다. 현재 금광 체험을 비롯한 관광업과 서비스업이 시의 경제를 이루고 있다.


4. 인구

1970년대에서 1980년대 중후반까지 인구가 6~7만 명 대일 정도로 절정을 이루었으나, 광업이 쇠퇴하고 청년층 인구의 대부분이 정주나 평양 등지로 유출되면서 1만 명 대로 감소하였다.


5. 도시구조

북진시의 구도심인 진·교동 지역과 1970년대 지어진 신시가지인 삼산동 지역으로 나눌 수 있다.

전자는 금광 개발로 가장 먼저 발전한 지역으로 한화 합작인 금광 회사가 자리잡고 있고, 후자는 북진시의 도시 확장으로 지어졌으며, 주로 금광 노동자들과 그들의 가족들이 사는 주택 지구와 문화 시설, 행정 기관이 자리잡고 있다.


6. 교통

[북진시 교통로 지도]

선이 얇은 연노란색: 지방도

6.1. 철도

철도는 지나가지 않으며, 철도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거리상으로 가까운 구장현 묘향산읍에 위치한 묘향산역을 이용해야 한다.

6.2. 도로

국도와 고속도로는 지나가지 않으며, 창성군 신창면 신안리에서 운산군 위연면 당하리를 잇는 지방도가 북진시 전체를 지나가고 있다. 또한 초산군 판면 판평면에서 북진시 북진구 어자동을 잇는 지방도도 있다.


7. 문화유산 및 관광

 * 북진금광(北鎭金鑛): 북진시 북진구 대암동 소재. 시의 역사가 이 금광에 시작되었을 정도로 유명한 금광이다. 현재 소규모의 채굴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금광 체험이 시의 경제를 책임지고 있다.

 * 전 연개소문묘(傳 淵蓋蘇文墓): 북진시 삼산구 삼산동 소재.


8. 하위 행정구역

<북진시 일반구 지도>

<북진시 동 지도>

8.1. 북진구(北鎭區)

관할 법정동: 진(鎭), 교(橋), 대암(大巖), 어자(於自), 월양(月陽), 월은(月隱), 흥대(興臺)

인구: 4,294명

북진시의 구도심 지역.

대부분의 인구가 금광이 위치한 진동과 교동, 대암동에 모여 있다.

8.2. 삼산구(三山區)

관할 법정동: 삼산(三山), 초리(草里)

인구: 8,267명

북진시의 신시가지.

대부분의 인구가 삼산동에 모여 있으며, 북진구 진동에 있었던 시청이 1985년 삼산동으로 이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