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광역시

義州市 / ㄧˋㄓㄡㄕˋ / Euiju City

시청 소재지: 인하구 시청로 32 (청전동)

하위 행정구역: 17구

인구: 2,530,602명

면적: 1438.46km²

인구 밀도: 1,723.3명/km²


1. 개요

대한민국의 광역시이자 관서 지방 제2의 도시.

대한민국 최대의 국경 도시이자 국제 무역 도시로, 대화(對華) 무역의 최대 거점 도시로 알려져 있다.


2. 역사

1914년

 - 의주군 광성면 민포동, 미륵동, 신의주동의 각 일부가 신의주부로 승격되었다.

 - 고읍면과 진리면이 합병되어 고진면이 출범하였다.

 - 고읍면 구장동, 동린동은 위연면, 용상동 일부는 남미륵동으로 편입되었다.

1929년 4월 1일: 광성면 마전동, 미륵동, 민포동 일부가 신의주부로 편입되었다.

1941년 4월 1일: 광성면, 고진면 전체가 신의주부로 편입되었다.

1949년 8월 15일: 신의주부가 신의주시로 개편되었다.

1950년: 신의주시의 일본식 지명이 청산되었고 동이 신설되었다.

 - 대화(大和) -> 강안(江岸)

 - 빈(濱) -> 압록(鴨綠)

 - 본(本) -> 중앙(中央)

 - 상반(常磐) -> 상반일(上攀一)

 - 영(榮) -> 상반이(上攀二)

 - 욱(旭) -> 상반삼(上攀三)

 - 앵(櫻) -> 상반사(上攀四)

 - 상반오(上攀五): 앵정(상반4동)에서 분리.

 - 약죽(若竹) -> 광성(光城)

 - 하(霞) -> 북마전(北麻田)

 - 동압(東鴨): 마전동에서 분리.

 - 녹(綠) -> 역전(驛前)

1951년: 위원면 구장동, 동린동이 신의주시로 편입되었다.

1952년: 상반동에 있었던 평안북도청이 정주군(現 정주부)으로 이전되었다.

1960년

 - 평안북도의 읍면의 모든 동들이 리로 전환되었다.

 - 용천군(現 용천현) 양광면이 의주군으로 편입되었다.

 - 광평면(現 청수시 광평구)이 삭주군으로 편입되었다.

 - 의주읍 다지리, 어적리와 수진면 용운리가 위화면으로 편입되었다.

 - 의주읍 청전동이 고성면으로 편입되었다.

1963년: 신의주시가 상반구, 광성구, 고진구로 분리되었다.

1972년

 - 고성면이 신의주시로 편입되었다. 동시에 고성면이 인하구로 개칭 및 승격되었다.

 - 상반구 임도동, 신도동이 인하구로 편입되었다.

1977년: 의주군 위원면·양광면에 의주국제공항이 개항되었다.

1981년: 의주읍, 송장면, 위화면이 신의주시로 편입되었고, 신의주시는 의주직할시로 개칭되고 평안북도에서 분리되었다. 의주군의 잔여 지역은 내원군(來遠郡)으로 개편되었다.

1982년: 내원군 위원면이 백마읍으로 승격되었다.

1985년: 의주시청(舊 신의주시청)이 상반동에서 청전동으로 이전되었다.

1992년: 비현면, 양광면이 각각 비현읍, 양광읍으로 승격되었다.

1995년: 의주직할시가 의주광역시로 개칭되었고 내원군이 의주광역시로 편입되었다. 내원군의 읍면들은 모두 일반구로 개편되었다.


3. 위치 및 지리

압록강과 맞대고 있는 관서 지방의 도시들 가운데 교통, 지리적으로 중화민국과 매우 가까운 위치에 있어 국제로 가는 관문 도시로 알려져 있다.

중화민국으로 가는 가도(街道)인 경의가도의 종점으로, 경의선의 종점인 상반지구(舊 신의주시)가 중화민국으로 가는 관문이다.


4. 도시 구조

도시 구조는 상반, 통군, 인하, 위화, 백마, 고관, 수진로 나눌 수 있다.

4.1. 구 의주직할시 지역

4.1.1. 상반(上攀)

구 신의주시 지역으로, 상반구·광성구·고진구가 상반 지역에 해당한다.

옛 의주의 중심으로, 읍치가 현재의 통군구로 옮겨진 이후에는 고읍(古邑)이라고 불렸다. 1905년 경의선 신의주역이 개업을 시작하면서 의주의 중심이 고읍면으로 환원(?)되면서 일제강점기 시기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4.1.2. 통군(統軍)

의주의 제2 중심지로, 현재의 상반구에 있었던 읍치가 현재의 통군구로 이전되면서 조선시대 조선시대 의주의 중심지가 되었다.

4.1.3. 인하(烟下)

상반에서 통군으로 가는 통로에 있는 지역.

4.1.4. 위화(威化)

압록강에 있는 하중도로 이루어진 지역. 중화민국의 국경과 인접하고 있다.

4.2. 구 내원군 지역

4.2.1. 백마(白馬)

의주시 남부 농어촌 지역으로, 백마구를 중심으로 양광구, 비현구, 월화구, 고관구가 백마 생활권에 속한다.

4.2.2. 고관(古館)

의주시 동부 농어촌 지역으로, 고관구를 중심으로 고녕삭구, 월화구가 고관 생활권에 속한다.

4.2.3. 수진(水鎭)

의주시 북부 농어촌 지역으로, 수진구를 중심으로 가산구, 옥상구가 수진 생활권에 속한다.


5. 교통

5.1. 도로

<의주시 도로 지도>

5.1.1. 국도

 * 1번 국도(전라남도 목포시 목포구 달동 ~ 의주시 상반구 상반동)

 * 10번 국도(의주시 상반구 상반동 ~ 함경북도 온성군 온성읍 동화리)

 * 64번 국도(의주시 송장구 운천동 ~ 함흥시 지경구 흥상동)

5.1.2. 고속도로

 * 경의고속도로: (양시 나들목) - 상반 교차로 - 상반 요금소 - 상반 나들목 - (시종점)

 * 의주온성고속도로: (시종점) - 의주 교차로 - 인하 나들목 - 의주 나들목 - 통군 교차로 - 수진 나들목 - 가산 나들목 - (광평 나들목)

 * 개천의주고속도로: (천마 나들목) - 고령삭 나들목 - 고관 나들목 - 통군 교차로 - (시종점)

5.2. 철도

<의주시 철도 지도(의주 도시철도 1호선 포함)>

중국이나 러시아를 비롯한 다른 국가로 가는 대부분의 국제 노선은 모두 신의주역에서 정차하고 있다.

5.2.1. 일반 철도

 * 경의선: (입암역) - 낙화역 - 광성역 - 연상역 - 신의주역 - (시종점, 한화우의교를 통해 안동역과 직결)

 * 의주선: (시종점) - 광성역 - 인하역 - 의주시청역 - 의주역 - 송장역 - 수진역 - 가산역 - (광평역)

 * 비현선: (시종점) - 광성역 - 석하역 - 백마역 - 의주국제공항역 - 비현역 - (남시역)

5.2.1. 고속철도

 * 경의고속철도: (양시역) - 신의주역 - (시종점, 한화우의교를 통해 안동역과 직결)

5.2.2. 도시철도

 * 의주 도시철도: 1호선(용암포 ~ 송장구청)이 운행되고 있다.

5.2.3. 광역전철

의주권 광역전철이 운행되고 있다.

 * 본선: (입암역) - 낙화역 - 광성역 - 인하역 - 의주시청역 - 의주역 - 송장역 - 수진역 - 가산역 - (시종점)

 * 광성지선: (시종점) - 광성역 - 연상역 - 신의주역 - (시종점)

 * 인하지선: (시종점) - 인하역 - 연상역 - 신의주역 - (시종점)

 * 비현지선: (시종점) - 광성역 - 석하역 - 백마역 - 의주국제공항역 - 비현역 - (남시역)

5.3. 항공

 * 의주국제공항: 양광구 용계동 소재.


6. 교육

 * 평북대학교 의주캠퍼스

 * 의주대학교

 * 만성대학교

 * 압록대학교


7. 경제

대한민국 최대의 국경도시인만큼 중화민국과의 교역이 의주시의 경제를 차지하고 있다. 압록강 지역에 분포하는 의주-용천 공업지대는 멕시코의 마킬라도라와 비슷하게 가공 형태의 무역을 허용하는 산업 단지로, 만주 및 몽골 지역에서 생산한 자원을 조립, 제조하고 가공해 완성품을 중국으로 수출하고 있다.

상반 지역은 중국과의 교류, 만성 지역은 행정을 담당하고 있으며, 구 내원군 지역은 농업이나 공항 수요로 먹고살고 있다.


8. 국가유산 및 관광

 * 통군정(統軍亭): 통군구 향교동 소재. 관서팔경에 속하는 국가유산이다.

 * 의주읍성(義州邑城): 통군구 향교동 소재. 성내에 문묘, 통군정, 의주읍성 남문이 남아있다.

 * 백마산성(白馬山城): 백마구 백마동 소재. 축성연대는 알 수 없으며, 1632년(인조 10년) 임경업이 보수했고 1753년(영조 29년) 외성을 쌓았다.

 * 송천동·미산동 청동기 시대 유적: 1954년 수진면 송천리(現 수진구 송천동)에서 발굴된 유적으로, 1959년 재발굴 조사 때 신석기와 청동기 시대를 걸친 유적임이 확인되었다.

 * 석숭산(石崇山, 524m): 송장구 송산동, 수진구 와룡동 소재. 의주의 금강산이라는 별칭으로 불리고 있다.

 * 위화도 회군 박물관: 위화구 하단동 소재. 고려 말기의 사건인 위화도 회군을 주제로 한 박물관.

 * 한화우의교(韓華友誼橋): 상반구 역전동 소재. 원 역사의 조중우의교(압록강철교)에 해당하는 철교. 의주시 신의주역과 요령성 안동시 안동역(원 역사의 단동역)을 연결하고 있다. 중국어로는 화한우의교(華韓友誼橋, ㄏㄨㄚˊㄏㄢˊㄧㄡˇㄧˊㄑㄧㄠˊ)라고 부른다.

 * 의주 화교촌: 상반구 중앙동, 상반일동 소재. 관서 지역에 위치한 화교촌 가운데 평양 화교촌과 함께 번화가로 유명하다.

 * 손기정 기념관: 광성구 민포동 소재.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금메달리스트 손기정을 기념하고 있다. 손기정이 대왕참나무 묘목으로 일장기를 가린 사진과 동아일보에서 일장기가 삭제된 사진이 전시되어 있다. 손기정의 대왕참나무 묘목은 기념관 옆에 심어져 있으며, 손기정 월계관 기념수라는 이름으로 의주시 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9. 방송

 * KBS 의주방송총국: 의주시, 용천현, 청수시, 철산군이 가청권에 속한다.

 * 의주문화방송: 의주시, 용천현, 청수시, 철산군이 가청권에 속한다.

 * SBS 네트워크 민영방송인 정주방송의 가청권에 속한다.

 * 동양방송 준키국인 관서방송 가청권에 속한다.


10. 외교

대사관은 존재하지 않으나, 국제 도시인만큼 각국에서 온 영사관이 존재한다.

 * 주 대한민국 의주 중화민국 영사관(中華民國駐大韓民國義州領使館)

 * 주 대한민국 의주 주권 국가 연합 영사관(Генера́льное Ко́нсульство Союз Суверенных Государств в Республике Корея Уиджу)

 * 주 대한민국 의주 일본국 영사관(在大韓民国義州日本国領事館)

 * 주 대한민국 의주 일본인민공화국 영사관(在大韓民國義州日本人民共和國領事館)

 * 주한 의주 미국 영사관(U.S. Consulate Uiju)


11. 하위 행정구역

<의주시 일반구 지도>

 * 광역시 일반구 제도는 대만의 직할시 일반구 제도 참고함.

11.1. 구 의주직할시 지역

인구는 2,425,937명.

인구 밀도는 8,421.4명/km².

11.1.1. 상반구(上攀區)

관할 동: 상반이(上攀二), 상반일(上攀一), 상반삼(上攀三), 상반사(上攀四), 상반오(上攀五), 진사(津沙), 운정(雲亭), 노송(老松), 초음(草陰), 강안(江岸), 압록(鴨綠), 압천(鴨川), 동압(東鴨), 매지(梅池), 광성(光城), 역전(驛前), 녹(麓), 미륵(彌勒), 마전(麻田), 동마전(東麻田), 서마전(西麻田), 북마전(北麻田), 본부(本部)

인구는 255,681명.

구 신의주시의 원도심이다.

구 의주군 고읍면 지역으로, 의주군의 중심지가 현재의 통군구로 옮기기 이전 의주의 중심지였다. 중국으로 가는 관문역인 신의주역이 역전동에 있다.

11.1.2. 광성구(光城區)

관할 동: 성외(城外), 동초(東草), 민포(敏浦), 남민(南敏), 백사(白砂), 서당(書堂), 송한(松鷴), 수문(水門), 신평(新坪), 연대(煙臺), 와이(瓦耳), 정심(正心), 창포(倉浦), 토성(土城), 풍서(豊西), 풍하(豊下), 화평(化坪), 유초(柳草), 동유초(東柳草)

인구는 327,484명.

구 의주군 광성면 지역으로, 고진구와 함께 구 신의주시의 후적지이다.

2007년 개통된 신압록강대교가 신평동에 있다.

민포동은 손기정 선수의 출생지로 알려져 있다.

11.1.3. 고진구(古津區)

관할 동: 석하(石下), 구장(九嶂), 낙원(樂園), 낙청(樂淸), 남미륵(南彌勒), 대석(大石), 동린(東麟), 서린(西麟), 선상(仙上), 선하(仙下), 용상(龍上), 용연(龍淵), 용하(龍下), 석상(石上), 석중(石中), 연제(煙諸), 유(柳), 동재(東齋), 남재(南齋), 중재(中齋), 탑상(塔上), 탑중(塔中), 탑하(塔下), 토교(土橋)

인구는 306,743명.

구 의주군 고진면 지역으로, 광성구와 함께 구 신의주시의 후적지이다.

의주 교차로와 의주 요금소가 토교동에 있다.

11.1.4. 인하구(烟下區)

관할 동: 인하(烟下), 가로(加老), 대산(臺山), 용문(龍門), 용산(龍山), 인상(烟上), 정주(正州), 신도(新島), 임도(荏島)

인구는 356,752명.

신도동과 임도동, 정주동, 인하동을 중심으로 개발되어 있다.

11.1.5. 통군구(統軍區)

관할 동: 동부(東部), 서부(西部), 구성(舊城), 남문(南門), 서호(西湖), 동외(東外), 홍서(弘西), 향교(鄕校)

인구는 209,681명.

조선시대 의주의 중심지.

11.1.6. 만성구(灣城區)

관할 동: 청전(靑田), 홍북(弘北), 홍남(弘南)

인구는 250,869명.

통군구의 후적지이자 의주시의 지리적 중심지.

11.1.7. 송장구(松長區)

관할 동: 금광(金光), 강정(江井), 남산(南山), 대문(大門), 사산(社山), 설매(雪梅), 소수(小水), 송산(松山), 연무(燕武), 영달(永達), 운천(雲川), 창원(昌元)

인구는 285,974명.

통군 지역의 후적지로, 64번 국도를 통해 고령삭구로 이어진다.

11.1.8. 위화구(威化區)

관할 동: 검동(黔東), 상단(上端), 하단(下端), 관마(官馬), 구리(九里), 다지(多智), 막사(莫沙), 어적(於赤)

인구는 432,753명.

의주의 일반구 가운데 유일하게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의주의 일반구 가운데 번성하고 있는 지역으로, 정주부 덕언구와 함께 부촌으로 명성을 떨치고 있다.

11.2. 구 내원군 지역

인구는 104,665명.

인구 밀도는 70명/km²

11.2.1. 백마구(白馬區)

관할 동: 서하(西下), 동상(東上), 백마(白馬), 사상(四上), 사하(四下), 삼하(三下), 상단(上端), 서(西), 정심(正心)

인구는 37,895명.

구 내원군의 중심으로, 내원군이었을 때 읍으로 승격되기 이전의 지명은 위원면(威遠面)이었다.

11.2.2. 가산구(加山區)

관할 동: 옥강(玉江), 도령(都嶺), 방산(方山), 이송(梨松), 천감(泉甘), 추(楸)

인구는 5,062명.

11.2.3. 고관구(古館區)

관할 동: 관(館), 관북(館北), 남산(藍山), 남창(南昌), 노(蘆), 동(東), 동상(東上), 상고(上古), 상단(上端), 서하(西下), 용화(龍化), 이화(梨花), 중고(中古), 중단(中端), 춘곡(春谷), 하단(下端)

인구는 3,843명.

11.2.4. 고녕삭구(古寧朔區)

관할 동: 구창(舊倉), 구북(舊北), 대하(大鰕), 동고(東古), 동암(東巖), 삼봉(三峰), 서고(西古), 원봉(圓峰), 일녕(一寧), 천마(天摩)

인구는 6,186명.

동고동에 있는 대차유령과 64번 국도를 통해 귀성현으로 이어진다.

11.2.5. 비현구(枇峴區)

관할 동: 체마(替馬), 광상(廣上), 광중(廣中), 광하(廣下), 구룡(龜龍), 기봉(岐峰), 노남(蘆南), 노북(蘆北), 노중(蘆中), 당후(堂後), 도봉(道峰), 마산(馬山), 산대(山臺), 영평(永平), 원(院), 장생(長生), 정산(亭山), 홍희(弘希)

인구는 12,716명.

구청 소재지인 체마동은 양광면 용유동과 함께 쌍둥이 도시를 형성하고 있다.

11.2.6. 수진구(水鎭區)

관할 동: 운천(雲川), 대수(大水), 덕현(德峴), 미산(美山), 석계(石溪), 송천(松川), 수구(水口), 와룡(臥龍), 용문(龍門), 원화(元化), 이화(梨花)

인구는 10,894명.

구 내원군 북부 지역의 중심지이다.

11.2.7. 옥상구(玉尙區)

관할 동: 당목(棠木), 남사(南社), 내옥(內玉), 북사(北社), 삼상(三上), 삼하(三下), 상경(上庚), 어상(於上), 어중(於中), 좌(佐), 하경(下庚)

인구는 3,586명.

11.2.8. 양광구(楊廣區)

관할 동: 충렬(忠烈), 미륵(彌勒), 봉덕(鳳德), 선화(善和), 용계(龍溪), 용덕(龍德), 용유(龍遊), 충무(忠武), 학현(鶴峴)

인구는 21,074명.

백마군을 잇는 구 내원군 제 2의 중심지.

용유동은 비현구 체마동과 함께 쌍둥이 도시를 형성하고 있다.

11.2.9. 월화구(月華區)

관할 동: 취봉(鷲峰), 마룡(馬龍), 마흥(麻興), 우천(牛川), 운천(雲川), 월하(月下), 장무(長武), 정산(亭山), 주음(奏音), 추(楸), 화하(化下), 화합상(化合上), 화합하(化合下), 회상(檜上), 회하(檜下)

인구는 3,409명.

의주에서 가장 낙후된 지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