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전 인디게임 제작중인 제작자입니다.

현재 개발중인 게임에 쓰일 일러스트의 퀄리티를

높이고자 외주를 맡겼습니다.

계약서도 작성은 했는데 처음에 준비해간 저작권 양도계약서를 보시고는 작가님이 잘못된 계약서라 하셔서 다시 준비해서 계약서 작성을 했습니다.


문제는 여기서부터입니다.


1. 게임 일러스트 외주 단가는 100이 맞는가?

외주 단가가 게임 일러스트일 경우 단가가 다르다며 개당 100을 부르시고 단가표준표 라는걸 가져오셨길래 이쪽 업계가 그런가보다 했습니다.

하지만 개발비용을 저 혼자 대고 있다보니 개당 100을 낼 여력이 안돼서 50으로 합의보고 게임판매실적이 나오면 개당 30씩 더 드리기로 계약서 작성했습니다.


2. 저작권은 작가에게 귀속되며 게임사는 이를 임대하는 형태이다.

뭘 모르고 진행한 첫 계약서인데다 작가님이 예전과 달리 요즘엔 모든 외주작업물은 작가에게 저작권이 귀속된다고 하시는데 찾아보니 이게 아닌거같아서 질문드립니다.


3. 수정사항 발생하여 요청시 추가비용 발생이 맞는가?

가져오신 작업물이 마음에 안들어 수정요청을 드리면 항상 10~ 25정도의 수정비용이 따로 발생한다고 하셔서 수정하고픈것도 수정하지 못했습니다. 러프단계에서 검수를 받긴 했고 채색이 들어가면 수정이 불가능하다 하셔서 그렇게 진행하고 보니 결과물이 마음에 들지 않아서 수정요청을 드리고 싶어도 위의 이유로 수정을 진행하지 못했습니다.


4. 무기나 장신구 당 따로 가격 책정이 되는게 맞는가?

무기나 장신구가 복잡하면 복잡할 수록 추가 금액이 발생한다고 하셔서 이런 것들을 다 제외하고 진행했습니다. 막상 결과물을 받아보니 너무 밋밋한 느낌의 일러스트였던지라 금액을 더 내고서라도 추가하는게 맞나 싶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결국 예산 부족으로 진행하지 못했습니다.


5. 인간+마물 (인어,하피) 같은 것들은 하나의 일러여도 2개가 혼합됐기에 가격이 2배라는데 맞나요?

말그대로 인간 이외의 다른 종족이 섞인것이기에 가격이 다르다는 말씀에 그런가보다 하고 넘어갔는데,

다른 외주작업자들이 쓴 게시글을 읽다보니 그게 아닌거같다는 생각에 질문드립니다.


6. 외주 작업물 미사용시 작가에게 통보의무는 있는가?

해당 일러스트로 작업한지 8개월. 결국 내부회의에서 해당 작가님의 일러스트 전량을 쓰지않기로 하고 제작했던 스프라이트는 전량 폐기했는데 이럴 경우에 작가님께 말씀을 드려야할까요?


7. 가지고오신 작업물을 쓰지않았을때도 해당 게임으로 수익발생시 계약서상 명시된 30은 드려야할까요?

이 부분은 법률적 부분이라 질문드리기 좀 그렇습니다만 혹시 알고 계시는 분 계실까하여 질문드립니다.

작가님이 최종적으로 가져오신 작업물들이 스프라이트 제작위해 들어갔을때 마감처리가 덜 되어 있거나 일러스트내에 투명빈 공간이 있어서 검은 화면에서 구멍이 나는등의 문제가 있었고 위 사실을 작가님께 알렸는데 작가님은 최종검수때 말씀없었기에 문제없다는 입장이십니다.

수정하고자한다면 위의 추가비용을 지불해달라하셔서 해당사항까지 포함하여 일러스트 전량 폐기를 결정한건데 이게 추후에 문제가 될까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