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성 치후유의 정식 명칭은 역신베기 나나하라 치후유임


여기서 역신(疫神)이란 역병신의 줄임말인데


일본 신화에서 역병신은 뱀의 신체를 가진걸로 묘사가 되고 일본신화에서 제일 유명한 뱀이



머리 8개를 가진 야마타노오로치임


오로치 신화는 대충 요약하자면 매년 인신공양을 받으면서 평화롭게 살고 있었는데


지나가던 스사노오가 인신공양 예정이던 여인이랑 결혼하고 싶어서 오로치한테 칼찌 놓는다는 내용임


고대시절부터 머리 여러개 달린 뱀은 동서양 가리지 않고 꽤 많은 신화에서 나오는 소재인데


예로부터 물줄기나 큰 하천은 뱀이나 용으로 묘사되곤 하는데 하필 머리 여럿 달린 뱀을 괴물로 묘사한 이유가


하천이 범람할때마다 입은 피해를 인신공양으로 비유한거고, 홍수에 대한 두려움이 괴물 신화로 치환된거란 추측이 있음



카사에 나오는 야마타노오로치 캐릭은 일본에서 말하는 역신과 공통점이 많음


우선 둘다 뱀이 모티브이고


원본 신화에서 물과 뇌우를 관장했다는 묘사처럼 카사 버전 오로치도 인겜에서 비와 번개를 컨트롤하는 모습을 보여줌


마침 설정상으로도 오로치가 가뭄을 해결하기 위해 나타난 풍요의 여신이라고 묘사되는데


농경사회에서 뇌우를 관장하는 신이 어떤 취급을 받았는지 생각하면 오로치 = 카사버전 일본 신화 역신이라 볼수 있음


다만 야마타노오로치 신화 자체는 역신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데


그냥 유명한 뱀 이름이라는 이유 하나만으로 굳이 캐릭터 이름을 오로치라 지을 필요가 있었나 싶음




정리하자면 카사 세계관에서 역신베기 = 야마타노오로치 담당일찐이란 뜻임


그렇다면 자연스레 원본 신화에서 오로치를 벤 스사노오가 각성 버전 치후유의 모티브란 추측도 가능하지만


그렇다고 하기에는 딱히 스사노오와 치후유 사이에 접점도 없고 딱히 흥미로운 소재도 없음



대신 개별적인 디자인만 놓고 보면 파고들 요소가 꽤 있는데


한국에서 흔히 도깨비로 번역되곤 하는 오니는 일본 민속 설화에 나오는 사람 잡아 먹는 식인귀임


일본 사람들이 가진 타자에 대한 공포, 정확히는 외척에 대한 두려움을 형상화한 괴물이란 썰이 있는데 그건 중요한게 아니고


오니의 큰 특징중 하나가 머리에 달린 소의 뿔과 몸에 두른 호랑이 가죽임



각성 치후유를 봤을때 가장 인상적인 요소가 뿔이기도 하고


호피 샅바는 아니지만 목이랑 팔, 허벅지에 끼고 있는 털 가죽을 보면 전형적인 오니의 디자인 요소를 많이 차용한것 같음



그리고 뷰지 가리개로 쓰고 있는 저 가면이 뭔가해서 찾아봤는데


전국시대때 사무라이들이 끼고 다니던 면갑을 멘구 혹은 멘포라고 불렀고


저 멘구가 오니 얼굴을 모티브로 해서 만들었다고 하더라고



추가로 스킬 시전할때 나오는 대사가 뭘 뜻하는지 좀 더 생각해봤음


주로 나오는 키워드가 죽은 자와 산자의 경계에 있으며 / 두려워 할 죽음이 없다 -> 죽음을 초월 했으며


이승의 것이 아닌 존재를 배니 -> 불사의 존재를 밴다


대충 이런식으로 해석이 가능한데


스킬 모션을 자세히 보니까 평시에 이도류로 싸우는게 아니라 특수기나 궁극기를 사용할때만 검은 칼을 뽑는데



일반 칼로 적들 신나게 패다가 불사의 존재 만날때만 검붉은색 칼 뽑아서 막타 친다는게 세키로가 떠오르더라고


마침 이 게임의 주제가 불사 끊기인데다가 주인공이 힘에 취할수록 오니로 타락한다는 설정도 있음



설정상 이승의 존재가 아닌걸 밸때는 불사베기란 칼이 필요한데 이 불사베기의 비쥬얼이


이번 PV에 나온 스킬 이펙트랑 많이 비슷해서 어느정도 영향을 받지 않았을까 싶음




참고로 세키로는 척랑(隻狼)을 그대로 음독한건데 외짝 척에 늑대 랑을 사용해서 원래는 한쌍이어야 하는데 하나가 사라져서


외짝으로 하나만 남은 늑대라는 뜻임


여기서 세키로 주인공은 팔 하나가 없어진 장애인이어서 팔 하나 없는 늑대라는 의미에서 척랑이라 불리는거고



정말로 각성 치후유 모티브가 세키로고 외짝 척의 컨셉도 동일하게 적용 된거라면


오드아이와 한쪽에만 나있는 뿔을 통해 불완전함을 표현한거라고 생각함


그게 아니면 치후유와 치나츠는 쌍둥이여서 둘이 함께 존재해야 완성이 되는데


치나츠 없이 홀로서야 하는 각성 치후유는 불완전한 존재라는 메타포일수도 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