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옹이갤러리 채널


1. TNR로 인한 개체 수 감소는 캣맘들의 선동과 날조






(1) https://biology-web.nmsu.edu/~houde/Dauphine_&_Cooper_2009_Impacts_of_free-ranging_domestic_cats_on_birds_in_the_United_States.pdf

고양이가 새에게 끼치는 영향력에 대한 NICO DAUPHINÉ와 ROBERT J. COOPER의 연구에서 말하기를



"However, evidence for TNR program effectiveness at reducing cat populations remains largely anecdotal (Nutter 2006) and data collected from TNR efforts typically fails to meet standards necessary for its evaluation as a method of population control (Centonze and Levy 2002, Winter 2004). Meanwhile, a growing body of evidence suggests that TNR is not effective in reducing numbers of free-ranging cats under prevailing conditions (Barrow 2004, Longcore et al. in press)."



해석:TNR의 효과는 입증되지 않고 있으며 TNR 운동으로 시행된 데이터들은 평가 기준에도 미치지 못한다. 더욱이  캣맘들의 선동과 날조가 지속되고 있는 동안에도 고양이들이 만연한 상황[환경]에서는 TNR의 효과가 없음을 입증하는 논문들이 쏟아지고 있다.



"Andersen et al. (2004) used mathematical models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removal versus sterilization in reducing numbers of free-roaming cats. They reported effective cat population control through removal of at least 50% of the population or annual neutering of more than 75% of the population.They noted that: 'TNR programs are not likely to convert increasing cat populations into declining populations or even stable populations until the neutering rate is quite high.'"



해석:Andersen et al. (2004)는 수학적 모델을 이용하여 TNR과 살처분의 개체 수 감소의 유효성을 비교했고 살처분은 최소 전체 개체 수의 50%를 살처분할 때  TNR은 전체 개체 수를 매년 75% 이상 TNR 했을 때 효과가 있음을 보고했다. 그들은 TNR 프로그램은 늘어나고 있는 고양이들의 개체 수 감소로 변화시킬 가능성은 거의 없다.  심지어 높은 비율의 TNR로도 개체 수 유지조차 힘들것이라며 지적했다.




(2) https://www.avma.org/News/Journals/Collections/Documents/javma_222_1_42.pdf


이 연구 같지도 않은 연구는 캣맘충들이 그렇게 물고 빨고 사랑하시는 TNR의 효과를 입증한다며 내놓는 자료에서 말하기를



"The results of our study indicated that long-term reduction of free-roaming cat numbers is feasible by TNR. However, natural attrition of cats would be expected to result in a slow rate of population decline. Implementation of an aggressive program of adoption for socialized cats accelerates that decline."



해석: 캣맘피셜 연구결과 장기간의 고양이 감소는 TNR에 의해 실현이 가능할 것이라 보여진다. 그러나 고양이의 자연적인 개체 수 감소는 느린 속도로 감소될 것이라 예상되지만 적극적인 입양 프로그램의 시행은 개체 수 감소를 가속화 시킨다.



이게 도대체 무슨 말인가 하고 전문을 다시 읽어보니 이런 표가 보이더라




적극적인 입양 프로그램이 개체 수 감소를 가속화 시킨다는 부분부터 의심이 가긴 했지만 여윽시 캣맘, 선동과 날조가 없으면 캣맘이 아니죠.

안락사(11%)+분양(47%!!)+자연사(6%)+자연으로 돌아감(6%)+실종(15%)로 오히려 캣충들이 외치던 "TNR이 유일한 개체 수 감소 조절 방법이다"를 정면으로 반박해버리다 못해 중성화사업의 효용성 마저 스스로 팀킬해버림


더욱 재미있는 건



"free-roaming cats do not appear to have sufficient territorial activity to prevent new arrivals from permanently joining colonies."



해석:고양이들은 영역활동을 하지 않는 것 같다

[즉 쫒아내기 위함이 아닌 지배력의 확장일 뿐 ]



라며 자기 편인 캣대디가 만들어놓은 유사과학 [진공효과]와 반박 의견을 내놓음.

진공효과로 다른 고양이들을 쫓아내서 유지된다는 그들의 의견과 다르게 먹이 제공으로 영역이 수용할수있는 한계치를  넘기고 군집이 생겨나고 그곳의 모든 고양이가 가진 질병이 공유됨



상기 내용들을 짧게 요약하자면 TNR은 아직도 그 어떤 논문지에서도 효과가 입증되었다는 소식이 들려오지 않고 있으며 오히려 효과가 없음을 알려주는 논문과 연구결과들만 쌓이고 그 어느 기관에서도 TNR 효용성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190102 현재진행형]



상식적으로 생각해보자 고양이는 연간 3회의 임신이 가능하고 4~5회의 발정주기를 가지고 있으며 임신 중에 또 임신이 가능한데 개체마다 다를 수 있으나 생후 5개월이면 발정이 시작된다. TNR로 개체 수 조절이 현실적으로 가능할 거란 생각이 드냐? 가능하다면 과연 얼마나 많은 인력과 비용이 투입되어야 할까?



TNR 운동은 ACA라는 세계 최대 고양이 단체에서 전 세계적으로 전파하고 있는데 그 목적이 불순하다 못해 악의적인 수준이다

엄청난 양의 선동과 날조가 시도 없이 생산된다고 보면 된다. 


그들의 이념을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TNR로 고양이들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오랜 시간 인간과의 공존을 통해 고양이들을 생태계의 일원?으로 인정하게 만드는 거다.



무슨 문제냐고? 고양이들을 위해 이미 존재하는 생태계가 씹창나길 바라며 행동하기에 때문이다

고양이는 절대 현 생태계와 조화될 수 없는 외래 침입종이라는게 과학적 팩트이다.  생태계는 그들에게 고양이가 파괴해도 되는 일회용 놀이터일 뿐이다. 


지킬 것이 사라지게 되면 지킬 이유도 명분도 사라진다는 걸 잘 알기 때문이지.




2. 고양이들에 의한 공중보건의 위협과 상해




(1) https://web.archive.org/web/20130228033641/https://www.epa.gov:80/pestwise/news/pesp/pespwire-2013-02.pdf


미국 환경 보호국 EPA에서 내놓은 학교의 해충 관리 방안에서 말하기를



"TNR programs are not desirable for school grounds. Feral cats pose a health risk and should not live there. TNR does not address disease and predation."



해석:미국 환경 보호국 EPA는 TNR 프로그램은 학교 운동장에 바람직하지 않고 고양이들은 학생들의 건강상의 위험을 야기하기에 학교 근처에서 살면 안 된다. TNR은 질병과 약탈을 해결하지 못한다.



캣맘들은 감염되면 위험한 건 맞지만 확률이 낮다면서 선동하지? 그러나 그 확률이라는 것도 면역력이 충분한 건강한 성인들에게 적용될 수도 있는 거지 면연력이 덜 형성되었거나 약해진 어린이나 노약자들에게는 확실한 위협이 된다.




(2)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5120395/


미국 고양이의 광견병과 질병전파에 대한 논문으로 정말 좋은 내용이 많지만 너무 길어서 추림



"In 2010, 303 rabid cats were reported through national surveillance, compared to only 69 dogs (Blanton et al., 2011)."



해석:2010년 광견병에 걸린 고양이는 303마리인데 비해 개는 오직 69마리.



"A study comparing an area with supplemental feral cat feeding to one without it found that the area with feeding had reduced abundance of native rodent and bird populations... Despite their ability to affect native bird and mammal populations, cats do not appear to significantly decrease populations of synanthropic pest species. (Hawkins et al., 1999)"



해석:고양이들에게 먹이를 급여한 곳과 하지 않은 곳을 비교했을 때 먹이를 급여한 곳에서의 야생 설치류와 조류의 개체 수 밀도가 감소했음을 발견했다...


고양이의 야생 조류와 포유류 개체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능력으로도 사람과 함께 생활하는 유해종의 의미있는 개체수 감소는 보여지지 않는다.



"Many other potential zoonotic and cat-specific diseases are harbored in feral cat populations in addition to rabies....Many of these diseases are prevalent at higher levels in feral cats compared to the owned pet population because outdoor access poses the greatest risk of infection (Little, 2011). Group-feeding of cats by colony caretakers puts cats at greater risk for contracting diseases whose transmission is augmented by increased animal density and contact rates among cats. Feline Respiratory Disease Complex (FRDC), a group of pathogens that lead to high morbidity in shelters, catteries, and colony feeding sites, is one such example (Cohn, 2011); however, other diseases are likely to be facilitated as well... Group feeding also increases risk for contracting rabies and other wildlife diseases by enabling greater contact along the interface between cat colonies and wildlife reservoirs ( Levy et al., 2003 ), (Olson et al., 2000) (Figure 1), (CDC, 2008a), (Fredebaugh et al., 2011)



해석:고양이는 광견병 이외에도 수많은 인수공통감염병과 종특성 질병 품고 있다. 야외 접촉기회는 가장 높은 감염의 위협을 야기하기에 이런 질병들은 고수준으로 애완고양이보다 페럴캣들에게 분포되어 있다. 먹이를 공급하여 집단을 형성시킨 캣맘은 고양이들의 밀도와 접촉률을 증가시켜 전파의 증대에 의해 고양이들에게 전염병에 대한 커다란 위협을 안겨준다. 이는 쉼터, catteries, 군집 피딩 현장에서 Feline Respiratory Disease Complex (FRDC) 병원균 집단의 높은 사망률[환자율]이 하나의 예이며 다른 질병들도 조장될 수 있다. 또한 집단 급여는 고양이 군집과 야생동물 보호구역의 접점을 통해 더 많은 접촉을 가능하게 하여 광견병과 야생동물 질병의 전염 가능성을 증가시킨다.[너구리나 쥐 등이 급여 장소로 오면서 접촉의 기회가 늘어난다는 의미]




(3) https://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373/en/


세계보건기구 WHO에서 내놓은 통계로



"Cat bites


Scope of the problem


Worldwide, cat bites account for 2–50% of injuries related to animal-bites. They are commonly second to dog bites in terms of incidence. In Italy for example, the incidence of cat-related injuries is 18 per 100 000 population, while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ere are an estimated 400 000 cat bites and 66 000 visits to hospital emergency departments every year."


해석:고양이는 개 다음으로 많이 문다.


고양이는 겁이 많아서 물지 않는다는 캣맘들의 선동 많이 본 거 같지? 그러나 현실은? 개다음으로 많이 문다. 중요한 건 고양이의 주요 공격수단인 할큄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거야, 할큄을 무는 것에 비해 가볍다 할 수 있지만 세균의 온상인 고양이에게 물리든 할퀴든 감염될 확률이 개에 비해 훨씬 높아서 위험하다.



(4) https://www.cdc.gov/plague/transmission/, https://www.cdc.gov/plague/resources/PlagueEcologyUS.pdf


흑사병에 대한 설명과 고양이와 개에 의한 흑사병 전파 경로에 대한 이 문헌에서 말하기를


"Cats usually become very ill from plague and can directly infect humans when they cough infectious droplets into the air. Dogs are less likely to be ill "



해석: 일반적으로 고양이는 흑사병에 감염되었을 때 몹시 아프며 기침을 통해 대기 중에 전염성 액적을 토하여 인간에게 직접적으로 감염시킬 수 있다. 개는 병에 걸릴 가능성이 낮다.



이해를 돕기 위해 보충하자면 개는 흑사병에 면역력이 있어서 감염도 잘 안 되고 감염이 되어도 별다른 이상 없이 치유될 정도로 미국에서는 개에 의해 인간이 직접적으로 감염된 사례는 2015년에 발생한 사건이 유일하다.



고양이는 쥐를 잡아서 흑사병을 예방한다는 아주 위험한 선동과 날조와는 반대로 오히려 흑사병 면역력도 없는 고양이가 쥐를 잡는 행위가 흑사병 전파에 공헌한다고 볼 수 있지 ^오^ 



참고로 고양이들은 쥐 개체 수 조절에 어떤 영향력 없다. 과거에도 없었지만 현재에는 더욱 없음.




(5)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1471492213000901



톡소포자충에 대한 위험성을 알려주는 연구지만 이미 여러 매체에서 톡소포자충의 위험성에 대해 방송했으니 다들 잘 알 거라 생각하고 해석은 하지 않음



다만 캣맘들이 톡소포자충은 건강에 큰 문제를 야기하지 않으며 고양이와는 관계없다는 선동과 날조를 미친 듯이 뿌리고 있으니 왜 관계될 수 밖에 없는지에 대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리적으로 접근해보겠음



자, 한 번 생각해보자 고양이는 톡소포자충의 종숙주야 종숙주가 어떻게 하면 관계가 없을 수 있을까? 그래 양보해서 인간에게 직접적인 감염과는 관련이 없다고 가정해보자 그럼 톡소포자충의 주요 감염 경로는 뭘까? 감염된 육류의 섭취, 감염된 토양에서 재배된 식물의 섭취, 감염된 토양과의 접촉.



결국 주요 감염 경로는 톡소포자충에 오염된 토양이라는 걸 알 수 있다. 그렇다면 토양은 어떻게 오염 되는 걸까? 답이 나오지 않냐? 광범위한 이동 범위를 가지고 있는 고양이의 똥에 의한 토양의 오염! 더 이상 무슨 말이 필요할까?



톡소포자충이 진정 위험한 이유는 고양이들이 선호하는 배변장소는 운동장, 놀이터, 공원 등으로 면역력이 약한 어린 아이들이 감염될 확률이 매우 높아지기 때문이지.




그래서 어떻게 해야 하냐고? 간단하다, 고양이에게 밥과 물을 주지 말고 유기견들처럼 포획해서 분양하고 분양이 안 되면 안락사시키면 된다. 이것만 지켜도 개체 수는 준다.




끝으로 고양이에게 밥과 물을 주는 행위가 얼마나 생태계를 위협하고 개체 수를 증가시키는지 왜 캣맘과 캣대디가 학살 동조 범인지에 대해선 알수있다



공존을 가장한 강요를 생명 존중이라는 그럴듯한 단어로 무장해 강요를 거부하는 정상인들을 비난하는 캣맘들이야 말로 단순히 자신의 쾌락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자연을 파괴하고 생태계를 유린하며 생명을 경시하는 극단적 이기주의에 찌들어 있는 사이코패스라는 걸 깨닫길 바란다.



정상적인 사람은 잘못된 행동임을 알려주면 수긍하거나 자리를 피하지만 캣맘들은 선동과 날조로 자신들의 행동을 어떻게든 정당화하려 한다. 어찌 이를 정신병자라 하지 않을 수 있을까? 더욱이 그들의 행보를 보면 권리만을 주장하고 책임을 회피하는 전형적인 페미들의 모습이 보이는데 어찌 이를 단순히 고양이를 좋아하는 사람들이라고만 볼 수 있을까?



햄스터 키우는 사람이 시궁창쥐도 햄스터라 억지부리면서  먹이를 주는 사이코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




3줄 요약



1. TNR은 개체 수 감소에 효과가 없으며 있다 한들 막대한 비용과 인력낭비 비현실적, 고양이에 의한 공중보건의 위협은 상상 그 이상



2. 밥과 물을 주는 행위는 개체 수 증가와 전염병 전파를 야기하며 공중보건을 위협한다. 특히 고양이의 배변에 의해 토양의 충란 오염과 톡소포자충의 감염은 특정 구역에선 심각한 수준



3. 고양이는 쥐줄이는데 어떤 영향력도 없으며 오히려 쥐가가진 질병을 인간에게 옮기는 매개체 역할만 한다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cat&no=1629187&exception_mode=recommend&page=1

응우옌 알바가 펑할까봐 가져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