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정령은 정의 바보 '정의의 빛' '아드리안' 이다.


아드리안의 유물은 '아스칼론' 이다.



'정의를 위해 악을 멸하고 선을 지키는 용살의 창. 


위대한 수호성인이 지니고 다녔던 창으로 악을 멸하고, 사악한 용을 무찌르는 성스러운 힘이 담겨 있다고 전해진다.'


<아드리안 유물 소개>



'성(聖) 게오르기우스' 또는 '성(聖) 조지'  는 기독교의 성인(聖人)으로 잉글랜드, 베네치아, 모스크바, 조지아, 카탈루냐, 기사, 군인 등 무수히 많은 것들의 수호성인이다.


수호성인이란 어떤 직업과 지역, 개인, 국가 등은 특정한 성인(聖人)을 보호자로 삼아 존경하는 것을 말한다.


아스칼론이 바로 '황금성인' 전설에서 게오르기우스가 용을 처치할 때 사용한 검이다.


대략적인 스토리는 다음과 같다.


게오르기우스가 어느 나라를 지나가던 중 한 여인을 만났는데, 그녀는 용의 제물이 되기 위해 기다리고 있었다.


그녀의 사연은 이랬는데,


그 나라는 어린 양을 용에게 제물로 바쳐왔는데, 바칠 양들이 더 없어서 사람을 제물로 바쳐야 했다.


나라에서 돌아가면서 딸들을 바쳤고, 공주의 순서가 되었는데 하녀가 대신 제물이 되기로 한 것이었다.


이에 게오르기우스는 하녀와 함께 기다리다가 용이 나타나자 싸웠고, 용을 제압한 후 아스칼론으로 숨통을 끊었다.


이후 왕은 그에게 감사를 표하며 보상을 제안했으나, 그는 거절하며 하느님의 교회들을 잘 돌보고 성직자들을 존경하며 가난한 사람들을 잘 돌보아 달라는 부탁을 남기고 유유히 떠났다고 한다.


아드리안의 유물 소개를 보면 아스칼론을 창이라고 표현하는데 원래 검이 맞다.


게오르기우스가 용을 쓰러뜨릴 당시 사용하던 무기가 창이었는데 창이 부셔지자 아스칼론을 꺼내 목을 베었다고 한다.


다만 서양권에서는 대부분 아스칼론의 이미지는 창으로 받아들여져, 게오르기우스의 그림을 보면 창을 든 것으로 그려진 것이 많다.


많은 서브컬쳐계에서는 원본에 따라 아스칼론을 검으로 표현하지만 에버소울에서는 서양권의 묘사를 채택 한 것 같다.


여담으로 아드리안이 천사의 모습을 하고 있는 이유가 있는데


<요한묵시록>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


'그때에 하늘에서 전쟁이 벌어졌습니다. 미카엘과 그의 천사들이 용과 싸운 것입니다.'


'용과 그의 부하들도 맞서 싸웠지만, 당해 내지 못하여, 하늘에서 더 이상 그들을 위한 자리가 없었습니다.'


'그리하여 그 큰 용, 그 옛날의 뱀, 악마라고도 하고 사탄이라고도 하는 자, 온 세계를 속이던 그자가 떨어졌습니다. 그가 땅으로 떨어졌습니다. 부하들도 함께 떨어졌습니다.'


그렇다 대천사 미카엘도 검을 들고 용과 싸운 묘사가 있었던 것이다.


기독교 설화의 그림에서 용과 싸우는 이를 그린 그림이 있다면, 둘 중 하나를 그린 것이라고 한다.


하나는 게오르기우스, 또 하나가 바로 대천사 미카엘이다.


실제로 독일에 있는 '본 대학교' 에는 용을 짓밟는 미카엘 대천사 조각상이 있는데, 이는 게오르기우스가 용을 밟고 있는 조각상과 아주 유사하다고 한다.


따라서 영웅과 대천사를 적절히 섞어 만든 정령이 바로 아드리안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