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1 지역 = 중립을 지향하는 국가, 침략을 하는 국가에 대해서 규탄을 하고 대응을 하는 등, 침략 행위를 방지하는 평화의 균형축을 유지


C2 지역 = 영토를 먹고 말고 같은 문제로 간혹 문제가 생기는 지역, A1지역에서는 C2 지역으로 지원을 잘 안가고, C2 지역에서는 A1지역으로 지원을 잘 안간다. (B1은 예외)


A1지역 =  초기 루루슈의 전 국가를 대상으로 한 선전포고 이후, 백러의 전쟁 봉신이 되면서 규모가 커진 지역, C2 지역과 마찬가지로 A1지역에서는 C2로 지원을 잘 안가고, C2에서는 A1 지역으로 교역이나 지원을 잘 안간다. ( B1은 예외 )


B1지역 = 현재 분쟁이 발생하는 상당히 복잡한 지역, 켈릭스 봉신사건(현재 독립) -> 60년간 지속되는 독-폴 전쟁 (진행중)-> 이후 샤넬이라는 닉네임을 쓰는 유저가 최근 들어오면서 연달아 분쟁이 발생하는 지역


D1지역 = 약 100년이 넘게 우호적인 교류가 지속되고 있는 극동연합의 시작 지역,  A1과 C2 두곳 모두 교류를 하며 지원을 가는 편이다.


D2지역 = 거리가 멀어 상당히 평화롭다. 자유분방함을 즐기는 국가 ( 영토 개방이 좀더 빨랐으면 지금 영토가 아니라 저쪽에 프러시아를 세웠을수도 있다.  프러시아가 건국할 때는 D1쪽 제일 끝이 저기라 건국을 한 부분 )


B2지역 = D2와 비슷한 지역, 어딘가에 소속되는 것을 좋아하지 않으며 자유롭게 플레이 하는걸 선호하는 것 같아 보인다.




현재 구상 계획 1 . 번호 지역별로 도이칠란트령이라는 이름을 붙이는 것으로, 도이칠란트의 패권을 인정해주는 대신, 도이칠란트령이 붙은 지역에 포함되는 국가에 대한 도이칠란트의 개입이나 불가침 조약 ( 국명 변경을 할 필요는 X, 편의 분류상 저렇게 언급하고 부르는 개념 ), *단, 행정이나 군사권 같은 권한 부분에서는 실권 X, 이름이나 호칭만 저렇게 바꾸고 언급하는 것 


예시 )

A1 - 도이칠란트령 A1 극동 지역 

C1 - 도이칠란트령 C1 극동 지역

C2 - 도이칠란트령 C2 극동 지역

B1 - 도이칠란트령 B1 극동 지역

D1 - 도이칠란트령 D1 극동 지역 

D2 - 도이칠란트령 D2 극동 지역 

B2 - 도이칠란트령 B2 극동 지역 



현재 구상 계획 2. 극동 경제 연합에서, 극동 경제 연합의 무역으로 인해 각 나라에 발생하는 수익 1%를 도이칠란트에게 극동 방위비로 납부하는 방법 (*단, 이경우 이름을 저렇게 바꾸는 등의 부분은 없다. )



현재 구상 계획 1과 2 중에서 하나를 고려해보고 있습니다. 


사실 이렇게 까지 하는 이유는, A1지역과 C2지역이 서로서로 지원을 안해주는 문제 때문입니다. 흑해에서 군사를 지원해달라고 하면 백색 러시아가 나몰라 ~ 이래버리고, D1만 지원을 가고, 백색 러시아에서 사건이 일어나면  남부 지역에서는 또 신경을 안쓰고 D1만 지원을 갑니다.


A1과 C2가 서로 연계만 되면, 엄청난 파괴력을 낼수가 있지만, 문제는 두 세계가 연계가 잘 안됩니다.


즉, 강대국이 A1을 공격한다고 하면 C2는 나몰라라 할테니 A1+D1이 싸워야 하고

C2가 강대국의 공격을 받으면 A1은 나몰라 이러면 또 C2+D1이 싸워야 합니다.


D1에서 지원을 가면 어느정도 규모가 커지고 사실 막을수 있긴 하지만, 이런식으로 지원가고 서로 싸우고 소모전을 할 바에는, 애초에  A1과 C2가 서로서로 지원도 안되니 도이칠란트령으로 저렇게 바꾸던, 수익을 일부 주는 등 해서,  아애 도이칠란트로 하여금 저쪽에 강대국이 못오게 막고, 향후 발생할수 있는 도이칠란트 - 극동 양국간의 분쟁을 막는게 좋다고 생각을 했습니다.




어디까지나 현재 구상만 해본 계획으로 이렇게 한다는 것은 아니고,  여러분의 의견을 듣고자 합니다. 


방금전에 올린 글에서 대부분 찬성을 하셨기에 


도이칠란트 패권을 어떻게 인정을 해주며, ( 구상계획 1번, 2번 ) 그 대신 어떤 방법으로 평화를 얻을지에 대해 논의하는 부분입니다.


다른 방법을 이야기 해주셔도 되고, 의견을 들어보고 도이칠란트 쪽에는 이야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previlage4

@갈매기

@folun

@장택상

@지오스

@EscA 

@키위위

@Juliy

@위원회

@코뮌

@전주특별자치시

@Kelicks_Republic

@ECR_MAKI

@무타구치레늄 

@UN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