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 관련 게시글 - https://arca.live/b/fakenation/575818 



철도 건설 상황 

도시명 현재 확장 상황 시작 연도 
베이징 시 (북중국)100km ( 건설기간 총 2년 )1900년 시작 ~
텐진 시 (북중국)100km ( 건설기간 총 2년 )1900년 시작 ~
허베이 성 (북중국)100km ( 건설기간 총 2년 )1900년 시작 ~
산둥 성 (북중국)100km ( 건설기간 총 2년 )
1900년 시작 ~
허난 성  (북중국)100km ( 건설기간 총 2년 )
1900년 시작 ~
산시 성  (북중국)100km ( 건설기간 총 2년 )
1900년 시작 ~
장쑤 성  (남중국)50km ( 건설기간 총 1년 )
1901년 시작 ~
안후이 성 ( 남중국)50km ( 건설기간 총 1년 )
1901년 시작 ~
장시성 ( 남중국 )50km ( 건설기간 총 1년 )
1901년 시작 ~
광동성 ( 남중국 )50km ( 건설기간 총 1년 )
1901년 시작 ~
지역 총합  : 10개 총 선로의 길이 : 800 km< 기간 > 
7개 =2년,
3개 =1년

*각 지역마다 연간 50km씩 확장한다. 다 합치면 1년 기준 500km씩 확장, 철강의 경우 제철소에서 생산량이 충분하므로 조달이 가능 ( 관리자에게 문의해서 가능하다고 답을 들은 부분 )


항구 건설 상황 

항구 이름 항구의 기능 시작 연도
허베이 성 제1 항구
동시 접안능력 40척/ 안벽 6000m / 물양장 1920km /  보관 물류 18,000 t
1900년 시작 ~
허베이 성 제 2항구
동시 접안능력 40척/ 안벽 6000m / 물양장 1920km /  보관 물류 18,000 t
1900년 시작 ~
텐진 시 제1 항구  
동시 접안능력 40척/ 안벽 6000m / 물양장 1920km /  보관 물류 18,000 t 
1900년 시작 ~
텐진 시 제2 항구  
동시 접안능력 40척/ 안벽 6000m / 물양장 1920km /  보관 물류 18,000 t 
1900년 시작 ~
텐진 시 제3 항구  
동시 접안능력 40척/ 안벽 6000m / 물양장 1920km /  보관 물류 18,000 t 
1900년 시작 ~
산둥 성 제1 항구동시 접안능력 40척/ 안벽 6000m / 물양장 1920km /  보관 물류 18,000 t 
1900년 시작 ~
산둥 성 제 2항구
동시 접안능력 40척/ 안벽 6000m / 물양장 1920km /  보관 물류 18,000 t 
1900년 시작 ~
허난 성 제1 항구
동시 접안능력 40척/ 안벽 6000m / 물양장 1920km /  보관 물류 18,000 t 
1900년 시작 ~
허난 성 제2 항구
동시 접안능력 40척/ 안벽 6000m / 물양장 1920km /  보관 물류 18,000 t 
1900년 시작 ~
산시 성 제1 항구
동시 접안능력 40척/ 안벽 6000m / 물양장 1920km /  보관 물류 18,000 t 
1900년 시작 ~
산시 성 제2 항구
동시 접안능력 40척/ 안벽 6000m / 물양장 1920km /  보관 물류 18,000 t
1900년 시작 ~
광동성 제1 항구
동시 접안능력 20척/ 안벽 3000m / 물양장 960km /  보관 물류 9,000 t
1901년 시작 ~
광동성 제2 항구
동시 접안능력 20척/ 안벽 3000m / 물양장 960km /  보관 물류 9,000 t
1901년 시작 ~
광동성 제3 항구
동시 접안능력 20척/ 안벽 3000m / 물양장 960km /  보관 물류 9,000 t
1901년 시작~
광동성 제4 항구
동시 접안능력 20척/ 안벽 3000m / 물양장 960km /  보관 물류 9,000 t
1901년 시작~
총합 : 15개 동시 접안능력 520척 ( 군함 기준 52척 )
동시 보관 가능 물류 : 19만 8000톤 
<기간>
11개 = 2년
4개 = 1년


*매년, 동시 접안능력 20척/ 안벽 3000m / 물양장 960km /  보관 물류 9,000 t 씩 올라가고, 10년까지 최대 성장이 가능하다. 군함의 경우, 10척을 군함 1척으로 계산을 한다. 예컨데 동시 접안능력이 20척이면, 군함은 그 10%인 2척인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