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

• 군사는 징병제와 모병제로 나뉘며 그 기준은 총 인구 수로 결정한다.
• 인구 1억 5천 미만의 국가는 징병제, 1억 5천 이상의 국가는 모병제로 규정하나, 징병제 국가는 모병제 전환을 할 수 있다.
• 징병제 국가는 평시에 총인구의 3%, 전시에는 5%를 전력으로 사용할 수 있다.
• 모병제 국가는 평시에 150만, 전시에는 300만을 전력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1억 5천만 기준 총 인구가 5천만 초과시 10만을 더 할 수 있다.
• 전시에 추가되는 병력은 침략국일 때는 사용이 불가능하며, 오로지 방어에만 사용이 가능하다.


준군사제도
• 인구 5천만 이상 국가는 준군사제도를 갖출 수 있으며, 보안대 또는 향방으로 정의된다.
• 준군사조직은 군사조직과 별도의 티어로 본다.
• 준군사조직은 총인구 5천만기준 30만으로 설립이 가능하며, 인구가 5천만 단위로 증가할시 20만씩 증가한다.
• 준군사조직은 수비에만 사용이 가능하며, 침략행위에는 사용할 수 없다.


연합군
• 각 국가는 연합군을 결성할 권리가 있으며 최소 3개국부터 가능하다.
• 연합군은 150만으로 제한하며 각국의 군사조직과는 별도의 티어로 넣는다.
• 연합군 공격 사용시에는 연합군 구성국들의 투표를 통해 만장일치를 달성해야한다.


전쟁규정
• 전쟁은 관리자의 재량으로 하되, 관리자는 아래 내용으로 판단을 한다. 
◾사태의 긴급성 : 당장 무력으로 대응하지 않으면 국가 안보에 현저한 문제가 생기는 것이 분명해야한다.
◾행동의 필요성 :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정치, 외교, 경제, 문화 등 사용 가능한 수단을 총동원하여도 소용이 없거니와 이를 총동원할 시간적 여유조차 없을 경우
◾수단의 정당성 : 위의 두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 필요 이상의 군사적핸동을 하지 않아야한다.


전쟁 중 이벤트
• 전쟁 중 이벤트는 전술과 관련되며, 다음과 같다.
• A국과 B국이 전쟁 중, B국이 청야전술을 사용하여 모든 농지가 황폐화가 되었을 시, A국 군에는 전쟁 중 이벤트로 기아가 발생 할 수 있다.
• 전쟁 중 이벤트는 이벤트 관리자와 전쟁 관리자 양방 협의 후, 실행한다.


전쟁 시스템
• 전쟁은 턴제와 실시간제 두 가지를 복합적으로 채용한다.
• 전쟁시 편제를 등록해야하며, 미등록시 전쟁은 이뤄지지 않는다.
• 전쟁시 한 번에 한 지역에서 전투가 가능하다.
• 전투는 모두 30턴으로 제한하며, 30턴이 끝난 후에 양 측의 피해와 상황을 종합하여 전쟁관리자가 승패를 판단한다.
• 1턴의 시간은 2시간으로 규정하며, 1턴동안 대응을 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상대에게 기회가 넘어간다.
• 최초 1턴 이후, 2번째 턴은 대응까지 24시간의 시간이 주어지며, 시간안에 반응 할시 전쟁지속, 반응하지 않을 시 전쟁무효화가 된다.
• 2번째 턴 이후, 양 측 모두 3턴씩 대응하지 않을 경우, 휴전 처리가 되며 전쟁을 시작할 시 재전쟁선언을 해야하며 상대가 응해야한다.
• 휴전이 3회 이상 지속되고, 휴전선언 이후 24시간동안 재전쟁선언을 하지 않으면 전쟁은 무효화된다.
• 5턴 이상 대응 하지 않으면 그 전투는 자동으로 패전처리가 된다.
• 전쟁 한 번에 한 프로빈스 점령으로 제한한다.

연합전쟁시스템
• 1대 다수의 전쟁이 성립될 경우, 다수는 연합군으로 참전해야한다.
• 그외는 전쟁시스템 규정을 따르며, 점령후 프로빈스는 연합끼리 의논하여 가져야한다. 또한 몰아주기는 금지되며 최소 한 프로빈스씩 차지해야한다.

아직 초안이라 부족한 부분이 많습니다. 좋은 아이디어 추천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