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arca.live/b/apfsdscharts/19246310

전체적으로는 날탄챈 쪽 측정치를 참고함


M829A3/A4는 공개된 사진 중에 관통자까지 반갈죽된 게 없어서 내부 구조를 정확하게 알 수 없는 상태임. 그래서 무게를 추정해보기 위해서 여러 자료에 의존해서 추측해볼 수 있는 게 한계임


우선 교범에 depleted uranium penetrator with steel windshield fitted to the front라고 언급되어 있으니 이탈피 앞쪽으로 튀어나온 저 매끈하게 된 부분은 강철로 된 캡인 게 확실하고


M829A2의 탄심이 저렇게 앞으로 갈수록 지름이 줄어들면서 마치 하노이탑같은 모양이 되니까 M829A3 또한 저런 식일 가능성이 높음


M829A2의 경우에는 캡 맨 앞의 뾰족한 부분이 따로 나뉘어 있어서 끝 부분 근처에 이음매가 있는데 M829A3은 그렇지 않은 걸 볼 때 저렇게 층층이 쌓인 탄심 부분을 통짜 캡이 감싸는 형태로 추정됨



그래서 캡 내부는 아마도 저 셋 중 하나에 가까울 거라고 예상해봄



첫 번째를 기준으로 측정해 보면 가장 긴 가운데 부분을 길이 668 mm, 지름 24~26 mm로 놓았을 때 총 6.43~7.41 kg이 됨


이 값은 어디까지나 뇌피셜로 계산한 거라 어느정도 정확한지는 다른 자료를 통해서 어림짐작해볼 필요가 있음



AMPITAC Quarterly Volume 8, Number 4 75페이지에 따르면 M829A2는 M829A1의 알루미늄 이탈피보다 35% 가벼운 이탈피를 사용하고 M829A3에 사용된 복합재 이탈피는 거기에서 추가로 30% 경량화되었다고 언급하고 있음


즉 이탈피 무게는 M829A2가 M829A1의 65%, M829A3이 M829A1의 45.5% 라고 정리됨



Dan Fahey의 Facts, Myths and Propaganda In the Debate Over Depleted Uranium Weapons 13페이지에는 M829A1의 탄심 무게가 4.64 kg이라고 나와 있음


그리고 관통자와 이탈피를 합친 발사체(Projectile) 무게는 9 kg이니까 여기서 관통자 무게를 빼면 이탈피 무게를 알 수 있음. 


다만 저 4.64 kg이라는 건 캡과 안정익을 뺀 탄심만의 무게라서 관통자 무게가 어느 정도일지는 알 수 없으니 여기서는 편의상 캡하고 안정익을 없는 걸로 치고 이탈피가 4.36 kg이라고 정의하고, 여기에 위에서 정리한 값에 따라 계산하면 M829A2의 이탈피는 2.83 kg, M829A3의 이탈피는 1.98 kg이 됨


맨 위 브로셔에는 M829A3의 발사체 무게가 10 kg이라고 되어 있으니까 이탈피를 제외한 관통자의 무게는 아무리 가벼워도 8 kg 정도라는 결론이 나옴. 이마저도 이탈피 무게가 실제로는 계산한 값보다 작을 거라는 걸 감안하면 관통자는 그보다 좀 더 무겁다고 보는 게 맞고, 그렇다면 관통자에서 캡과 안정익을 제외한 탄심 부분이 최대 7.4 kg 정도 나간다고 추정해도 괜찮지 않을까 싶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