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미 워싱턴포스트(WP)와 인터뷰에서 경제적 손실을 우려해 러시아가 침공할 것이란 서방의 경고를 국민에게 제대로 알리지 않았다고 말한 것을 두고 후폭풍이 커지고 있다.

WP는 18일(이하 현지시간) 젤렌스키 대통령이 최근 인터뷰 발언으로 거센 역풍을 맞고 있다고 보도했다.

17일 젤렌스키 대통령은 WP 인터뷰에서 러시아 침공에 앞서 서방이 수차례 경고를 했는데도 이를 우크라이나 내부에 제대로 알리지 않았다는 지적에 "만약에 알렸다면 경제적 손실과 내부적인 혼란이 컸을 것"이라고 답했다. 그는 "만약 (침공) 징후를 미리 알렸다면 지난해 10월부터 매달 70억달러(약 9조3000억원)를 잃었을 것"이라고도 했다.

우크라이나 국민들이 국외로 빠져나가거나 자금이 이탈하는 등 경제가 붕괴됐을 것이란 게 젤렌스키 대통령의 얘기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더 나아가 "우리 중 일부는 (침공 직후) 떠났지만 수많은 이들이 여기 머물며 보금자리를 지키려 싸웠다"며 자신의 판단을 옹호했다. 러시아가 침공 초반 우크라이나의 거센 저항에 직면해 수도 키이우 점령에 실패했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었다.


젤렌스키 대통령의 발언에 우크라이나 내부에서는 거센 반발이 일었다. 젤렌스키 대통령이 국민의 안전보다 경제를 우위에 뒀다는 지적이었다. WP는 "젤렌스키의 인터뷰가 전쟁 발발 이후 전례 없는 대중의 비판을 초래하고 있다"고 전했다.


우크라이나 온라인 매체 '우크라인스카 프라우다'의 세브길 무사예배 편집장은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젤렌스키 대통령의 발언이 개인적으로 불쾌했다"며 "나는 도망치지 않았을 것이고 70억 달러 규모의 잠재적 피해는, 인명 손실, 러시아군의 신속한 남부지역 점령, 예상치 못하게 러시아 점령하에 놓이게 된 사람들의 두려움 등과 비교돼야 한다"고 비판했다.


또 다른 언론인도 페이스북을 통해 "솔직히 머리카락이 쭈뼛 섰다"면서 "마리우폴, 부차, 헤르손 상황을 알고 있으면서 어떻게 나라에 대피가 번졌을 것이라고 말할 수 있나"라고 반박했다.

마리우폴, 부차 등 지역은 러시아 침공으로 사실상 외부와 고립된 채 민간인 학살을 포함한 참상이 벌어진 곳이다.

젤렌스키 대통령을 지지하는 의견도 나왔다. 키이우 모힐라 경영대학원 발레리 피카 강사는 페이스북에서 "우크라이나인들은 미국의 경고를 언론 보도로 충분히 접할 수 있었다"며 "뉴스를 읽고 나서 짐을 싸지 않은 사람은 경고를 받지 않았다고 주장할 권리가 없다"고 지적했다.




https://www.google.com/amp/s/m.mt.co.kr/renew/view_amp.html%3fno=2022082011301599568



젤렌스키 게이야..


이건 좀 충격인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