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사지리 채널

(가교노챈에 적합한 글이지만 이 챈의 리젠을 위해 올려 봅니다)

1. 경부고속철도

대곡역 옆에 차량기지 설치하고 구내에서 영업 (입출고하는 열차를 바로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 - 3호선 환승 가능

차량기지 인입선은 능곡역에서 합류

능곡역에서 수색역까지는 경의선과 공용

수색역에서 지하로 파고들어 경의선 따라 서울역까지 진행

서울역은 지하를 파서 고속철 승강장 마련 (크게크게 지어서 용산역 종착시킬 필요 없게)

그 다음 지하로 (미군기지를 뚫든지 어떻게 해서) 사당역 밑에 고속철 승강장 설치 -> 2호선 연계

또 지하로 파서 경부선 수원역 밑에 나란히 고속철 승강장 마련

수원 이남에서 지하로 나와서 달리다가 경부선·장항선 천안역 위에다가 고가로 올려서 고속철 정차 (난공사 예상)

천안역에서 호남고속선 분기 (즉: 경부선은 두정-천안-소정리, 장항선은 천안-봉명, 경부고속선은 수원-천안-오송, 호남고속선은 천안-공주)

고개를 동쪽으로 틀어서 충북선 오송역 위를 수직으로 통과

(오송역을 설치한 이유: 원래는 충북선·경부선 연계를 위해 조치원에 놓으려고 했는데, 오송이 공사도 쉽고 청주에 조금아나마 더 가까운지라... 물론 분기역이 될 일은 없으니 안심) 사실 제가 충북선 연선에 살아서

그 다음 대전조 부근에서 경부선과 병행 (여기서 호남선 방면 분기선 설치), 대전역 (필수)정차

다음은 경부선·경북선 김천역 위에다가 고가로 고속선 설치 (기존선 연계로 김천·구미·상주... 등등등)

그 다음은 바-로 동대구역 직행(ㅇㅅㅇ)

동대구역에서 남쪽으로 확 꺾어서 부산으로 직행

부산 2·3호선 덕천역 부근부터 지하로 파고 들어감 + 덕천역 설치 (2·3호선 연계, 김해·양산·북부산 등등이 수요처)

지하로 쭉 가다가 부산진역 부근에서 지상으로 나와 마지막엔 부산역 정차(끄읕)


한 줄 요약: 대곡-서울-사당-수원-천안-오송-대전-김천-동대구-덕천-부산


2. 경부고속철도의 지선

일단 동해선 연선부터 보자면... 동대구 이후 지상으로 나와서 경부선 활용

대구선(가천-영천), 중앙선(영천-경주), 동해선(포항-울산) + 삼각선 전철화

(경주역은 문화재 고려 외곽으로 이설, 울산역은 현 태화강역 자리에 그대로 유지)

즉 동대구-(영천(무정차))-경주-울산-???-부산, 동대구-(영천은 무정차)-포항 이런 식의 열차 생성.

(영천에 정차하지도 않는데 돌아가는 게 살짝 아깝긴 하다만...)


다음 경전선.

여기서도 동대구역 이후 기존 경부선-경전선 활용 (동대구-밀양-진영-(창원중앙/창원/마산)-진주


3. 호남고속선

천안분기. (오송 말고!!!)

공주 시내 옆에 공주역.

그 다음 익산역으로 직행. 익산역에서 전라선 열차 분기. (필수정차)

다음은 (그냥 편하게) 정읍역.

다시 다음은 광주송정역.

단 하남역을 개량해 일부 열차가 광주역에 종착할 수 있도록 조치.

또 광주송정역 이후 목포행은 호남선 기존선을 이용.

호남고속선은 남쪽으로 쭉 내려가 광주송정-(영암?)-해남-(제주해저터널)-제주. (영암은 그 동안 철도역이 없었으니 괜찮지 않을까)

요약: 천안-공주-익산-정읍-광주송정-영암-해남-제주


4. 대전의 호남선 문제

현실과 비슷하게 호남선 서대전 경유 편성 조치 + 익산종착 말고 밑까지 내려가는 것으로.

경로는 (생략)-천안-오송-(대전조)-서대전-계룡-논산-익산-(생략)

물론 개태사 드리프트부터 어떻게 해야...


5. 전라선

그냥 익산부터 전라선으로 운행. (끝)


6. 인천발 KTX

수원역 남단에 수인선이랑 연결선 설치해서 수인선으로 KTX 진입 + 인천역에서 제2공항철도 이어서 영종도 건너가기

정차역은 인천국제공항-원인재(부지가 노답이긴 하다만...)-초지(안산에 무슨 역이 좋을지 모르겠어서 그냥 넣었어요)-천안-(생략)



유지챈 취지상 이런 것도 되...죠? 저퀄 망상글 지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