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유물학개론 v1.1.4

서론

뉴비 시절 가장 힘들었던 게 45때 성유물 파밍하는 거였어. 5성은 나중까지 쓸 테니 남겨야 하는데 뭘 남기고 뭘 강화해야 할지 몰랐고 수백 개를 선별하다보니 성유물 비경 수십 판 도는 것보다 정신병 걸리는 지경이었음. 

성유물 파밍 중에 선별 부분에 대해선 정리된 글도 없어 보여서 공략글을 쓰게 되었고 성유물 선별 외에 내가 알고 있는 성유물 관련 정보 중 커뮤니티에서 많이 본 질문, 내가 뉴비 때 궁금했거나 알았으면 좋았던 것, 다른 사람이 내게 질문했던 걸 포함하여 전반적인 성유물을 다루는 성유물 학개론을 작성해보았음. 글이 어렵다면 채널 공지에 있는 다른 성유물 공략을 읽고 오면 좋을 거야.


목차

1. 성유물 기본정보

 1-1. 버리는 성유물 처리

 1-2. 4성 성유물 버려도 되나요

 1-3. 비슷한 성유물 비교하기

   1-3-1. 성유물 점수 구하기

   1-3-2. 치치 딜기댓값

   1-3-3. 마사노리

   1-3-4. 딜 계산기

 

2. 성유물 파밍하기

 2-1. 성유물 파밍을 45부터 하는 이유

 2-2. 성유물 파밍에 약한 레진을 다 박아도 괜찮을까?

 2-3. 성유물 비경을 돌 때 알아두면 좋은 것

 2-4. 자투리 성유물

 2-5. 성유물 강화

 2-6. 성유물 경험치

 

3. 성유물 선별

 3-1. 성유물과 확률

  3-1-1. 성유물 파밍계산기 

  3-1-2. 유효옵 기대강화횟수 확률테이블

 3-2. 꽃깃

 3-3. 시계성배왕관

  3-3-1. 자주 쓰이지 않는 주옵션의 사용처와 선별 방법

  3-3-2. 시계

  3-3-3. 성배

  3-3-4. 왕관

 

읽을 때 유의사항

옵션 관련 내용에서 약자 '원'은 '원소충전효율'의 약자로 사용되었고, 원마를 언급할 경우 따로 알 수 있게 표기하였음.

 

용어집

원마 = 원소마스터리 

원충 = 원소충전효율 

치치, 치명 = 치명타확률+치명타피해

공퍼, 방퍼, 체퍼 = 공격력% 방어력% 체력%

깡공, 깡방, 깡체 = 공격력 +19처럼 상수로 오르는 공방체 옵션

뚝 = 왕관

자속성배or자피증성배 = OO 원소 피해 증가. 성배 주옵션 중 성배를 장착할 캐릭터 원소에 맞는 성배

 

I. 성유물 기본 정보

• 비경에서 꽃/깃/시계/성배/왕관이 뜰 확률은 각각 20%로 동일하다.

• 주옵션과 부옵션은 옵션별로 뜰 확률이 서로 동일하지 않고 다르다.

• 성유물의 주옵션은 부옵션에서 등장하지 않는다. <ex : 꽃은 부옵에서 깡체가 등장하지 않음, 치확뚝은 부옵에서 치명타 확률이 등장하지 않음>

• 성유물의 기본 경험치 제공량은 1성 ~ 5성 각각 420/840/1260/2520/3780이다.

• 강화된 성유물을 재료로 사용할 시 기본 경험치 + '들어간 경험치의 80%'만큼 페이백되고, 강화로 인한 추가적인 모라 소모는 없다.

  <ex: 5성 성유물 기본 경험치 제공량/모라 소모량은 둘다 3780. 강화되면 경험치 제공량만 늘어나고 모라 소모량은 0강과 똑같은    3780.>

• 성유물 강화 시에 9% 확률로 경험치 2배, 1% 확률로 경험치 5배 보너스를 획득한다. 따라서 경험치 초과가 없다고 가정할 때, 기본 경험치 획득량은 113%이며, 페이백 시 받는 경험치는 90%이다. (1 x 1.13(=0.05 + 0.18 + 0.9) = 1.13 | 0.8 x 1.13 = 0.9)

• 4성 이하의 성유물은 인벤토리에서 좌측 하단 쓰레기통 모양을 통해 파괴하여 모라를 얻을 수 있으며, 모라 획득량은 강화재료로 사용했을 때 기본 경험치 획득량과 동일하다.

 

버리는 성유물 처리

원신에서 안쓰는 성유물을 처리하는 방법은 파괴하기/강화재료/반환하기의 3가지가 있어.

이중 반환하기는 모험등급 45부터 합성대에서 진행할 수 있지. 반환은 종류 상관없이 5성 성유물 3개를 반환 리스트에 있는 5성 성유물 1개로 바꿀 수 있음. 

반환을 활용하면 쓰지 않는 5성 성유물을 재활용하여 악단/검투를 빠르게 파밍하거나 레진 소모없이 성유물을 파밍할 수 있는 거지. 가장 효율이 좋은 건 5성 성유물을 모두 반환에 사용하는 것이지만 이 경우 1성~4성 성유물로만 강화 재료를 충당해야하니 대부분 강화 재료 부족을 더 많이 겪게 돼. 

따라서 5성 성유물 반환 비중은 유저가 성유물 욕심과 편의성을 저울질해서 결정하면 돼. 나는 성유물 욕심이 그득그득해서 강화 재료는 폐지런과 존버로 해결하고 5성 성유물은 강화로 거의 소모하지 않고 모두 반환하고 있어.

성유물을 막 파밍하기 시작한 유저들은 대부분 이 중에 우선 서폿에게 좋은 '옛 왕실의 의식', '청록색 그림자'를 반환하고, 그 다음으로 육성계획에 따라 악단/검투/마녀/얼음/몰락을 반환해.


4성 성유물 버려도 되나요

5성 성유물을 파밍할 때 4성 성유물을 어떻게 처리할지 다뤄볼게.

최종적으로 4성 성유물은 파티의 원소마스터리를 올려주는 서폿 성유물 '교관'을 제외하고 모두 버려지게 돼. 보통 유저들은 원마교관 한 세트만 남겨놔. 4성은 기본적인 옵션 수치도 차이가 크고 최대 강화가 16강이며, 옵션 시작도 3~4줄인 5성과 달리 2~3줄이라 옵션이 너무 밀려서 세트옵션 아니면 버려질 수 밖에 없는 구조야.

하지만 5성 성유물 파밍을 시작하더라도 4성 성유물 중 옵션이 좋은 것, 당장 필요하지만 파밍하기가 힘든 공/원충시계, 자피증성배, 치치왕관같은 좋은 옵션의 성유물은 아직 같은 주옵션의 5성을 얻지 못했다면 쓰게되니 킵해두면 돼. 이중 4성 원충시계/자피증성배/치확왕관 이 셋을 5성 파밍을 시작해도 높은 확률로 계속 쓰게 될거야. 그러다 해당 주옵션의 5성 성유물이 늘어나다보면 자연스럽게 강화재료로 사용하게 돼.

 

비슷한 성유물 비교하기

성유물 파밍을 하다보면 어떤 세팅이 더 좋은지 비교할 일이 많은데 이럴 때 비교하기 위해 알아놓으면 좋은 3가지 방법과 딜 계산기 사이트를 소개해볼게.

성유물 점수 구하기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onshinproject&no=1524513 자세한 개념은 여기서.

성유물 점수 계산법은 성유물의 시스템적인 희귀도를 구하는 방법이야. 예를 들어 치확 10%, 치피 14%짜리 성유물과 치확 7%, 공 15%짜리 성유물이 있다고 하자. 공치치를 유효옵으로 본다면, 두 성유물의 점수는 둘다 51점으로 동일해. 실제 딜 기댓값이 어떨지와 별개로 성유물의 수준을 대략적으로 알 수 있는 방법이지. 이 방법이랑 밑의 치치딜기댓값 구하는 법과 캐릭과 옵션에 대한 잡지식만 있으면 여러 성유물을 대략적으로 빠르게 비교할 수 있는게 장점이야. 

성유물이 도달할 수 있는 최대점수는 4옵 시작/유효옵 4개/모두 최상옵으로 붙었을 때 나오는 105점(11.66 x 9). 

치치 딜기댓값

치확/치피에 따른 딜기댓값 공식은 치확x치피+1이고, 1은 상수니까 치확x치피로 두 치치 중 뭐가 좋은지 알 수 있어. 혹은 치치를 목표로 하는만큼 더 파밍하면 딜이 몇% 오를까를 알 수도 있지.

<ex : 85/130 vs 70/160 => 11050 vs 11200. 후자가 더 강하다. 딜 기댓값으로 환산하면 2.1050 vs 2.1200, 후자가 0.7% 더 강함.> 

주의할 점으로 비교 시 치치 버프가 있는지 확인하고 있다면 더해서 비교해야해.

치치는 1:2비율이 수학적으로 가장 효율이 좋지만, 비율이 극단적이지 않다면 1:2와 효율이 큰 차이가 나지 않으니 1:2에 너무 신경쓰지 않아도 돼. 관련글) https://arca.live/b/genshin/24354309

마사노리

복잡한 계산보다는 직접 때려서 확인하는게 간편한 법. 이나즈마 타타라스나 지역에 위치한 마사노리가 허수아비로 제격이야. 마사노리의 내성은 물리 -20%, 나머지 6속성은 10%로 물리에 약한 걸 제외하면 기본적인 내성을 가지고 있어. 월렙에 따라 레벨이 올라서 박히는 딜이 점점 줄어들기 때문에 커뮤니티에서 마사노리 관련 딜 언급할 때는 월렙 8이 기준이 돼. 

딜 계산기

가장 확실하고 정확한 방법이자 성유물뿐만 아니라 모든 원신 비교의 종착역 계산기. 캐릭터 스펙과 조합, 버프, 적같은 조건을 입력하면 딜이 얼마나 나올지 자동으로 계산해주고 현재 상태에서 무기/성유물 세트별 딜 변화와 부옵 효율도 비교해줘. 짱짱 편하고 좋으니 적극 애용하길바람.

https://genshin.aspirine.su - 계산기 사이트

https://arca.live/b/genshin/31578836 - 계산기 사용법

계산기 사용법 내용보완 (계산기 사용 전에 꼭 보고가기)

반드시 알아야하는 내용 두 가지를 보충해볼게.

사이트 좌측 마지막탭에 가보면 "Import from Showcаse"라는게 있는데 자신의 캐릭터 진열장에 있는 캐릭터들을 그대로 옮겨주는 기능이야. 계산기를 본격적으로 사용하기 전에 저걸로 주력 캐릭터들을 다 등록해놓고 가면 수고가 엄청 많이 줄어들어.

성유물 가방. 성유물을 등록해놓고 가방에서 클릭해서 착용하는 방식이야. 초록색으로 뜬게 장착되었다는 표시. 성유물(Artifacts)탭에 가보면 성유물 옆에 가방이 있을텐데 그걸 누르면 여기에 등록 돼. 위에 방법이랑 연계하면 성유물을 쉽게 등록할 수 있겠지.

계산기 쓰면서 제일 귀찮은게 성유물 등록인데 소개해준 이 두 가지를 알면 직접 등록할 일이 별로 없어져. 나는 계산기 처음 쓸 때 이걸 몰라서 많이 귀찮았어.


II. 성유물 파밍하기

성유물 파밍을 45부터 하는 이유

원신의 여러 레진 컨텐츠들 중에서 성유물 비경은 최고레벨 보상을 먹는 시기인 90렙 이전에는 효율이 크게 낮아.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RcuniapqS6nOP05OCH0ui10Vo3bWu0AvFbhgcHzTybY/edit#gid=2061598189

이전에 말했듯이 4성은 나중가면 안써서 5성만이 성유물 비경 레진 효율의 기준이 되는데, 위 링크의 drop rate 표에서 성유물 부분을 보면 40 구간의 한판당 5성 기댓값은 0.38개로, 45 구간의 기댓값 1.07에 비해 약 35%의 효율을 보여줘. 동시기 다른 레진 컨텐츠(돌파, 특성, 지맥, 보스)는 최고레벨 보상에 비해 60~80%의 효율을 보여주기 때문에 그 컨텐츠들에 비해 레진 효율이 두 배 낮은 거지. 게임하면서 주우는 성유물을 강화해서 쓰고 레진은 다른 곳에 투자해도 충분히 쌔기 때문에 낮은 효율을 감수하고 성유물 비경을 돌 메리트가 없어. 

 

성유물 비경에 약한레진을 다 박아도 괜찮을까?

45되자마자 성유물 비경에 가진 약레 60개 전부 박고 시작해도 되나 고민이 될 수 있는데, 약레를 다 쓴 뒤로도 레진은 계속 생기기 때문에 약레를 어떻게 분배할지는 유저 취향껏 선택해도 된다고 생각해. 성유물 파밍은 운빨 스펙업이다보니 옵션에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거같은 유저라면 돌파, 특성, 레벨업을 먼저 진행하고 성유물 파밍을 하는게 좋아.

비경을 돈다면 무한 버스를 받지 않는 이상 혼자 돌 수 있어야하는데, 45 이전까지 성유물을 포함한 육성을 꾸준히 잘 해왔다면 그럭저럭 돌 수 있을거야. 돌기 어렵다면 커뮤니티에서 버스를 구하거나 다른 스펙업부터 하고 와야겠지. 혼자 돌 때 클리어타임은 (비경 진행에 익숙해졌을 때를 기준으로) 1분 30초 ~ 2분은 나와야 쾌적할 거야.

어떤 성유물 비경을 돌지 정하는 것도 중요한데, 처음에는 비경에서 주는 2가지 5성 성유물 모두 꽝이 없고 상대적으로 좋은 비경을 추천해. 단풍의 정원(절연/시메)랑 빈다그나르의 정상(얼음/몰락)이 대표적이지. 이런 비경의 성유물은 여러 캐릭이 활용할 수 있다보니 리스크가 훨씬 적고 스펙업을 괜찮게 할 수 있어.


성유물 비경을 돌 때 알아두면 좋은 것

농축레진 - 리월 평판 3레벨 보상. 40레진을 써서 만들 수 있고 2판치 보상을 한 번에 먹게 해주는 아이템이야. 만들때 5개 수량 제한이 있고 보상은 두 판 도는거랑 똑같은데 시간이 훨씬 절약 돼. 수정나비 한 마리 잡기보다 비경 한 판 도는게 더 오래 걸리니 비경이나 지맥을 돌때는 부담없이 농레로 바꿔서 파밍해주자. 

수정나비 파밍처 : https://arca.live/b/genshin/22701474

성유물 파밍 중이라면 5개 만들고 5판 돌고 반복하면되고 버스타는 경우에도 5판 넘게 돈다면 농축레진 다 쓸 때마다 마을에 합성대 한 번씩 다녀오면 돼. 버스기사도 마을 다녀오는거 신경 안 쓸거고 오히려 농레없이 깡레진으로 도는 걸 알면 충격먹고 얼른 만들어서 오라고 할 가능성이 높아.


삼공식 영양키트 - 몬드 평판 5레벨 보상. 재료는 도마뱀 꼬리 20개/혼돈의 회로 50개/전기 수정 20개가 필요해. 일반적인 RPG의 회복물약을 쓰듯 회복/부활음식을 인벤토리를 열지 않고도 사용하게 해줘.


도핑 - 혼자 돌 때 중요한 도핑이야. 원신에서 도핑은 음식과 포션이 있어. 음식은 공격력과 치확을 동시에 올려주는 비옥야채쌈, 선도장을 많이 사용하고 비옥야채쌈이 가성비가 좋아서 많이 써. 도핑은 남아돌기도 하고 성유물 파밍 시기가 원생에서 도핑을 젤 많이하는 시기일테니 아끼지말고 먹어주자. 포션은 거의 쓰지 않는 도핑이라 음식만 알아둬도 문제없음. 


포?션

잘 언급되지 않는 포션도 있는데, 포션은 속성 피해를 올려줘. 버프는 공격/방어/유틸(스태미나)/포션 4가지가 따로 적용돼서 음식이랑 같이 쓸 수 있어. 음식과 비교해서 재료 수급이 귀찮고 개별 원소의 딜만을 늘려주기에 선호되지 않아. 내가 원신하면서 포션을 써본적이 호기심에 써본 1~2번이 다인 것 같아. 다른 사람은 아닐 수도 있지만 커뮤니티에서도 포션 언급을 거의 못봐서 역시 아무도 안 쓰나 봐.

즉 재료 얻는게 다소 귀찮지만 음식과 달리 게임하면서 쓸 일이 없는건데 성유물 파밍 기회에 포션 재료가 있다면 만들어서 다 써버리는걸 추천..하고 싶지만 불피증 물약말고는 다 게임하면서 필요한 재료를 요구하더라. 자료 수집한 김에 포션별 사용재료 중 다른 중요한 용도가 있는 재료들을 적어둘게. 재료 노가다를 하면 만들 수 있긴 하겠지만 대단한 시간 단축을 가져다주지도 않으니 그냥 음식만 만들어서 도는게 효율이 좋아보여.


바위피증

콜라피스 - 각청, 중운, 종려의 돌파 재료 및 바위 눈동자 공명석(하나당 5개) / 보물찾기 나침반(30개, 1회성) 재료

물피증

연꽃받침 - 요리재료 (비옥야채쌈, 태평성대, 연밥계란찜)

얼음피증

수정코어 - 농축레진

바람피증

민들레씨앗 - 진과 유라의 돌파 재료 및 바람 눈동자 공명석(하나당 5개) 재료

도마뱀 꼬리 - 삼공식 영양키트(20개, 1회성)

번개피증

전기 수정 - 삼공식 영양키트(50개, 1회성)


옵션기본정보

캐릭터 스텟창에서 체력/공격력/방어력을 보면 하얀색 수치와 초록색의 +수치가 존재하는데, 하얀색은 %옵션의 기반이 되는 캐릭터의 기초 스텟이야. 이중 기초공은 무기에서도 얻을 수 있어서 기초공은 캐릭터 기초공 + 무기 기초공으로 정해져.

깡스텟은 수치만큼 그대로 더해지는 옵션인데 뉴비 시절처럼 기초스텟이 낮지 않은 이상 %옵션에 비해 무조건 밀리기 때문에 비선호되는 옵션이야. '깡스텟/기초스텟'을 해서 %스텟으로 전환하여 옵션을 비교할 수 있어. <ex :기초공이 700일 때, 깡공 23 = 공퍼 약 3%>

 

공격력&치명스텟 : 심플하게 딜이 강해지는 옵션. 저스펙일때는 치명스텟의 효율이 안좋아서 공격력이 치명스텟보다 우선되는 옵션이지만 공격력은 높아질수록 효율이 많이 떨어지고, 반면 치명옵은 효율이 꾸준히 상승하다 효율최고점인 70/140 이후로도 효율이 크게 낮아지지 않으며(극히 높은 경우 제외), 원신에서 공격력은 성유물 외에 챙길 수 있는 수단이 많아 5성 성유물을 파밍하는 시기가 되면 치명스텟보다 위치가 낮아져. 

원소충전효율 : 원소에너지 획득량을 %로 올려주는 옵션. 원충이 부족하면 파티 딜싸이클이 원활하게 굴러가지 않아 캐릭터들 e를 한 번 더 쳐야하고 큰 딜로스로 이어지는 불상사가 생겨. 캐릭과 조합마다 디테일한 원충이 달라서 원충요구치를 알려면 키우는 캐릭의 흔히 알려진 적정 원충을 찾아보거나 연월같은 곳에 파티를 직접 데리고 가서 실전운용해보면 돼.

원소마스터리 : 원소반응의 딜을 올려주는 옵션. 증폭(증발, 융해)반응을 활용하는 딜러(불딜러, 융해팟 얼음딜러)들과 일부 바람 캐릭터가 챙겨야하는 옵션이야. 야에도 e딜이 괜찮게 올라서 치치공에는 밀리지만 쓸만해. 그 외 원마 영향 받는 캐릭터들에게 원마란 없는 것보단 나은 정도. 

먼저 딜러들에게 원마는 수치가 높아질수록 효율이 빠르게 떨어지며 캐릭과 조합에 따라 일반적으로 80~200, 많으면 300까지 챙기면 괜찮은 옵션이야. 원소반응이 발생했을 경우만 관여하는 것이기에 공치치같은 옵션과 효율 비교시 딜사이클에서 원소반응의 비중을 고려해야함을 주의해야 해.

원마와 서포팅 능력이 관계있는 설탕/카즈하, 확산딜이 중심이 되는 벤티/사유의 원마 세팅은 원마가 1순위옵션이라서 원마를 최대한 챙기게 돼.


자투리 성유물 

캐릭터가 성유물을 낄 경우 4세트옵을 맞춰 끼는 경우, 2세트옵을 두 가지 끼는 경우가 존재해. 어느 경우든 4부위를 제외하고 한 부위가 남게되어 세트 옵션에 관계없이 해당 부위에서 가장 좋은 옵션을 가진 성유물을 껴줄 수 있어. 이 공략글에서 필요한 개념이지만 딱히 유저들 사이에서 불리는 명칭은 없어서 나는 이를 '자투리 성유물'이라고 임의로 정의할게. 보통 파밍이 어려운 성배와 왕관이 마지막으로 남는 부위가 되고 이 때문에 내가 파밍하는 성유물을 끼는 캐릭터가 쓰지 않는 주옵이여도 부옵이 좋다면 미래에 자투리 채우기용으로 남겨두는 것이 추천돼. 몇 개나, 어디까지 남길지는 유저의 재량대로 처리.

 

성유물 강화

5성 성유물은 부옵션이 3개 혹은 4개로 시작하고, 유저들은 이를 초기옵이라고 불러. 4강마다 옵션이 4개 미만이라면 옵션이 하나 더 붙고, 옵션이 최대 갯수인 4개에 도달하면 이미 있는 4가지 옵션 중 무작위로 하나가 한 번 더 붙어서 수치가 증가해. 이렇게 수치가 오를 때 총 4가지 수치 중 하나가 랜덤하게 결정돼서 붙게 돼. 

즉 5성 성유물은 4옵 시작일 경우 4+5 = 9개의 옵션 기회가 주어지는 셈이야. 이 9개 중 몇개가 내 캐릭터의 유효옵으로 붙어줄지가 중요하겠지. 4옵 4유효옵 성유물은 3옵에 유효옵이 하나뿐인 성유물보다 4번의 기회가 더 있다고 볼 수 있어. 

https://genshin-impact.fandom.com/wiki/Artifacts/Stats?so=search - 자세한 수치정보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onshinproject&no=4204155 - 더더욱 자세한 수치정보

https://genshin-substat-chart.vercel.app/ - 옵션붙은 횟수에 따른 부옵 수치범위


성유물 경험치

5성 성유물은 20강까지 총 27만 경험치가 필요.

경험치 보너스를 제외하면, 90성유물 비경 한 판을 돌 때 얻을 수 있는 성유물 경험치는 5성 미포함/포함 각각 10700/14767. 따라서 농레 기준 25판(1000레진)/18판(720레진)당 20강 성유물을 하나 만들 수 있고 5성 없이는 성유물 강화가 힘듦을 알 수 있어.

강화 재료(성유물)를 구하는 대표적 방법인 폐지런은 약 7만 성유물 경험치를 줘. 노강화 5성 성유물을 10~11강할 수 있는 수치로 꽤 많은 양이야. 매일 돌지않아도 2일에 한 번씩 10분만 투자해서 한달에 20레벨 성유물을 4개 추가로 만들 수 있어서 5성을 모두 반환하는 걸 선호하는 유저라면 폐지런을 틈틈이 돌아서 강화재료부족을 많이 커버할 수 있음.

폐지런 하는법

https://arca.live/b/genshin/58538616 - 폐지런 하는 법

https://arca.live/b/genshin/35322615 - 폐지런 관련 짤팁

 

III. 성유물 선별

이 글을 작성한 원인이 된 선별파트야. 성유물을 선별하는 기준은 유저 상황과 성향에 따라 시시각각 변화하다보니 딱히 정형화된 기준이 없어. 난 확률과 유저들의 성유물과 옵션별로 쓰는 캐릭터를 조사해서 선택에 도움을 주려고 해. 또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내 나름대로 기준을 세워봤어. 성유물이 언제, 얼마나 필요한지에 따라 선별 기준이 달라지기에 이 필요에 대한 유저의 개인판단과 아래 내용을 복합적으로 고려해서 선별을 진행하면 돼.


성유물과 확률

성유물 파밍계산기

https://grumd.github.io/genshin-artifact-farm-calculator/

내가 목표로 하는 주옵과 최소 부옵 수치를 적으면 그 성유물을 먹을 확률을 알려주는 계산기야. 내가 목표로 하는 성유물을 먹으려면 몇 판 돌아야할지를 알 수 있고 생각보다 절망적인 확률에 좌절하기에도 좋아.

사용법
예시를 통해 알아볼까... 호두 줄 마녀 치확뚝, 부옵으론 치피 15% 이상인걸 먹을 확률을 구해보자.

'Accept both artifact sets from a domain' 는 성유물 비경에서 나오는 두 가지 종류의 성유물 모두 목표인지를 물어보는 항목이야. 마녀뚝만 목표니까 체크해제.

밑에는 성유물 종류, 주옵, 부옵과 부옵수치. 부옵/부옵 수치부분만 설명해보면 내가 성유물에 기대하는 최소 부옵을 입력하면 돼. 난 치피 15 이상이기만 하면 되니 하나만 입력하고 끝. 이제 Calculate 버튼을 눌러 결과를 보자.

확률 3가지와 그래프 하나를 던져줬어.

Chance of getting an artifact with these stats : 주옵/부옵 조건을 만족하는 성유물을 먹을 확률 (부옵 수치 제외)

Chance of upgrading to desired numbers : 이때 그 성유물이 20강을 해서 부옵 수치 조건을 만족할 확률.

Total chance in one run (20 resin) : 결론적으로, 일반레진으로 한 판 돌았을 때 내가 원하는 성유물을 먹을 확률.

그래프는 누적되는 레진 소모량에 따라 조건에 맞는 성유물을 먹을 확률을 나타내. 그래프에 커서를 가져다대면 더 자세한 정보가 나와.


결과를 해석해보며 더 자세히 알아보자. 

우선 성유물을 먹었을 때, 그게 치피 부옵이 붙은 마녀 치확뚝일 확률이 0.32%(1/312)

이렇게 치피 부옵 마녀 치확뚝을 먹었을 때, 이걸 20강해서 치피 15%이상이 나올 확률이 30.89%(1/3.333...)

결론적으로 일반레진으로 한 판 돌았을 때 치피 15% 이상 마녀 치확뚝을 먹을 확률은 0.106%(1/943). 농레는 x2.

500판이 기댓값이라니.. 하지만 치피 15% 이상 마녀뚝이 목적이 아니라 마녀 졸업이 목적이니 이 뚝을 먹지 못해도 졸업하는 경우의 수가 몇 개 더 있어서 좌절할 필요는 없어.

우선 1. 치피가 15% 미만이지만 체퍼나 원마가 잘 붙은 경우 2. 치피가 없지만 체퍼원마가 비틱으로 붙은 경우 그리고 나는 현재 성배랑 왕관을 파밍하는상황이라서 3. 좋은 마녀 불성배를 먹어서 뚝을 마녀아닌 더 좋은 뚝으로 바꾸기까지 총 3가지 경우가 더 있지. 이 셋도 많이 낮은 확률이겠지만 그래도 총 4가지 경우의 확률을 합하면 500판보다 낮아지는거지. 셋까지 확률을 구해버려서 결론을 낼 수는 있지만 생략.


마지막으로 종류 상관없이 전설로만 내려오는 치피 40+ 치확뚝을 먹을 확률은 어떨까?

먹을 확률은 비경 한 판당 0.0000575%(1/1,739,130).


유효옵 기대강화횟수 확률테이블

성유물 비틱점수별 표 색상 정보
40점50점60점70점80점


남은 강화 횟수가 5일 때 A개의 유효옵에 B번 붙을 확률 (초기4옵) [이하 표 3개 모두 % 생략]

A/B012345
124402691.50.1
23163131163
30.11.59264024

남은 강화 횟수가 4일 때 A개의 유효옵에 B번 붙을 확률 (4강)

A/B01234
132422150.4
262538256
30.45214232

남은 강화 횟수가 3일 때 A개의 유효옵에 B번 붙을 확률 (8강)

A/B0123
14040155
212383812
35154040


성유물 선별은 확률문제라고 생각해. 유효옵이 치피하나뿐인 꽃깃도 치피몰빵에 최상옵으로 떠준다면 치피가 40짜리 준수한 성유물이 나와. 하지만 성유물 강화는 모라와 강화재료가 계속 들기 때문에 효율을 고려해서 이걸 노리고 강화하는 유저는 거의 없지. 이 표는 그런 효율에 관해 정리해놓은 거라고 보면 돼. 

확률 외에는 유효옵 하나를 성유물 점수 10점으로 계산해서 유효옵 갯수에 따른 성유물 점수를 나타낸 색상을 넣어놨어. 참고 목적으로 넣은거고 기본적으로는 확률에 집중해주면 돼. 아무래도 유효옵간 차등이 존재하다보니 낮은 점수가 높은 점수를 이기기도 하니까.

남은 강화 횟수 4, 3 테이블은 이전 강화가 유효옵에 붙지 못했다는 가정하에 점수를 구분했어. 이전 강화에서 유효옵에 붙었을 경우에 표 보는 법은 예제 마지막 부분을 보면 돼.


사용예제



초기4옵이니까 1번 테이블로.

치피치확이 유효옵이라면 유효옵은 2개, 데이터에서 2행 부분을 보자. 

2행 부분을 해석하면 이 성유물을 20강했을 때 30점 이하일 확률 : 19(3+16)%, 40점(일 확률) : 31%, 50점 : 31% 60점 : 16% 70점 : 3%. 이제 결과 해석은 유저 목표에 따라 다른데 '40점 정도만 해도 절하고 쓸 상황'이면 (31+31+16+3 or 100 - 19)81%확률로 목표를 만족함을 알 수 있어. 비슷하게 한 번 더 해보면


(초기3옵) +4이므로 2번 테이블로.

치피공퍼를 유효옵으로 보고 목표 점수는 50점이라면 유효옵이 2개니까 데이터에서 2행에 4열이상(3) 부분을 보면 되겠다. 

50점일 확률이 25%, 60점일 확률이 6%니까 20강을 했을 때 31% 확률로 성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어. 즉 저런 꽃깃을 3개 강화하면 목표 수준의 성유물을 하나를 먹을 수 있다는 의미지. 추가로 유효옵 4번 중 3번 이상 반드시 붙어야하니 치확공퍼가 2번 빗나가면 더 강화를 진행할 필요없이 버리면 된다는 거도 알 수 있어.


마지막으로 표는 4강, 8강일 때 이전에 유효옵이 붙지 않다는 가정을 깔고 있어. 그럼 4강이나 8강에서 이미 유효옵에 한 두번 붙은 상태면 어떻게 할까? 그냥 10점씩만 유효옵붙은만큼 올려주면 돼. 위에 성유물이 초기3옵이 아닌 초기4옵이었고 4강하면서 치명타 피해에 한 번 붙었다고 생각해보자. 여전히 목표 점수는 50점. 아까는 목표 점수를 위해 유효옵이 3번 붙어야했지만 이제 2번만 붙으면 되니 2행 3열이상 부분이 목표를 달성할 확률이 돼. 38+25+6 = 79%.


꽃과 깃털

꽃은 HP, 깃털은 공격력이 고정 주옵션이라서 부옵만 비교.

꽃깃 선별 기준을 어떻게 세울까하다가 쓸만한 꽃깃의 점수 기준을 50점으로 잡고, 내 꽃깃과 파밍이 그럭저럭 되어있는 다른 원신 유저들의 꽃깃을 조사하며 만들었어. 유저들이 쓰는 대부분의 꽃깃은 '치확+치피', '치확or치피+유효옵 2개이상' 조건을 만족하는 성유물에서 나오고 '치확or치피+유효옵 1개'는 10~20개 중 하나꼴로 보이는 느낌이야. 

부옵판정의 커트라인 기준은 파밍하는 성유물을 낄 캐릭터들이 끼고 있는 성유물에 따라 계속 올라가. 파밍을 굉장히 오래한 유저는 4옵 시작 치치+@외엔 다 갈아버리기도 해. 이미 너무 좋은걸 가져서 잘 붙는 걸로는 부족하고 초기옵까지 따라오지 못하면 쓸 수가 없는 거야.

이 판정표는 원신에서 선별을 가장 많이 하게 될 일반적인 딜러들의 성유물 부옵 판정표야. 서포터들과 일부 특이한 특성을 가진 캐릭터들을 선별할 때는 유저 재량에 맡길게.


시계/성배/왕관

부위별 주옵션

시계/성배/왕관 공통주옵션 – 공%, 방%, HP%, 원소마스터리

시계주옵 – 원소충전효율

성배주옵 – 원소/물리피해증가

왕관주옵 – 치확, 치피, 치유보너스

 

꽃과 깃털과 달리 주옵에서 옵션이 나뉘는 특성상, 부옵션을 좋게 챙기는 것이 훨씬 힘들어. 꽃깃과 동일한 수준의 옵션을 뽑는데 수십배 어렵다는 계산결과가 있을 정도야. 상황이 여의치 않다면 유효옵이 아예 없고 주옵만 맞는 성유물을 울며 겨자먹기로 쓰기도 해. 구체적인 선별 기준은 아래 내용에서 디테일하게 정리해뒀어.

여러 주옵이 있지만 공시계/원충시계, 피증성배, 치치뚝이 가장 많이 쓰이고, 나머지 옵션은 캐릭터가 특정 스텟을 계수로 가지는 특성을 가진 경우, 딜러가 아니라서 딜 관련 옵션이 중요하지 않은 경우, 옵션 불균형이 일어난 경우에 사용하게 돼. 


자주 쓰이지 않는 주옵션의 사용처와 선별 방법

딜러 메이저 주옵을 제외한 나머지 주옵션들의 사용처와 선별 방법을 정리한 파트야. 공통 주옵션만을 다뤘고 원충, 피증, 치치 및 치유 주옵은 시계/성배/왕관 각각에서 따로 서술.

아래에 언급된 캐릭터가 쓰는 성유물이 아닌 다른 성유물을 파밍할 때, 자투리 채우기용으로 어떤 성유물을 남겨놓으면 좋을지 다뤘어. 모든 캐릭터의 사용 성유물을 조사하여 작성했고 선별 기준은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교집합을 묶어서 고민해가며 세워봤어. 쓰는 캐릭터를 같이 정리해두었으니 내가 세운 기준이 별로라도 이 내용이 도움이 될 거야.


주옵이 공% - (공시계 제외) 치치 아니면 갈

라이덴, 모나, 아야카, 소, 진, 사유, 신학, 치치가 사용. 치치원이 베스트.

공시계는 아래 시계 부분에서 후술.

공성배, 공왕관을 사용하는 캐릭터

공성배는 라이덴, 모나(절연 or 원충시계), 아야카(피증서폿 여부와 회광에 따라), 소(청2검2)가 상황에 따라 사용.

또한 진, 사유가 사용할 수 있다. 그 외에 난 피증 성배만 어떻게든 썼지만 옵션 좋은 공성배는 범용적으로 대충 주기 좋다고 함.

공왕관은 아야카만 상황에 따라 사용.

신학과 치치는 공성배와 공왕관 둘 다 사용한다. 치치는 치유뚝을 사용할 수도 있음.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onshinproject&no=3662893 - 아야카 공성배/공왕관 효율



주옵이 방% - 치치 아니면 갈

응광, 종려를 제외한 모든 바위 속성 캐릭터와 신염이 사용. 방시계 치치만 킵하고 나머지 방퍼주옵은 싹 다 갈아버려도 무방하며 이는 유저 재량에 따름. 치치원이 베스트. 방퍼 주옵을 사용하는 캐릭터들은 모두 껍데기를 종결 성유물로 사용함.

방어 주옵 성유물을 사용하는 캐릭터

방시계는 응광과 종려를 제외한 모든 바위 속성 캐릭터가 사용.

방성배/방왕관은 운근(유효옵 방퍼/원충뿐)만 사용. 이러한 이유로 갈아도 무방.

종결 기준이 아니라면 검투이무기노엘과 고로가 방성배, 알베도가 방왕관(여명신검 시절에는 메이저픽)을 사용함.

드물게 방어팟에서 신염이 방방방을 끼고 보호막서폿으로 채용됨.



주옵이 HP% - 깡체원충 or 치치 아니면 갈

호두, 코코미, 야란, 베넷과 토마, 종려, 디오나, 연비, 닐루가 사용. 깡체원충이랑 치치 외에 초기3옵 치명 + 공퍼 + 깡체or원충도 킵할만한 거 같아.

체력 주옵 성유물을 사용하는 캐릭터

체시계는 호두(마녀/시메), 코코미(조개), 야란(절연)이 사용. 베스트는 각각 치치원마 / 원충공퍼깡체 / 치치원.

체성배는 서폿코코미가 사용. 베스트는 위와 같음.

야란은 스펙과 성유물 상황에 따라, 특히 원충 시계일때 체성배나 체왕관을 채용하기도 한다. 베스트는 위와 같음.

베넷도 체성배와 체왕관을 사용. 체왕관은 치유뚝에 밀리나 체왕관으로도 힐량이 충분하여 많이 쓰임.

토마(천2절2/왕실), 종려(천암/반암/왕실), 디오나(왕실), 서폿연비(천2절2/왕실), 닐루(천+몰or도/숲)은 체체체를 사용. 토마, 디오나, 연비는 원충시계를 쓰기도 하며 종려는 체체체 외에 체체치, 체바피 세팅도 사용함.


서폿바바라도 체력 성유물을 쓰지만 바바라는 세팅이랄게 없으므로 생략.



주옵이 원소마스터리 - 시계는 치치, 원충 아니면 갈, 성배/왕관은 우선 부옵 관계없는 킵 추천.

설탕, 카즈하, 6돌사유, 벤티, 시노부, 사이노, 도리, 모든 풀캐릭터(~타이나리)가 사용. 원마시계는 사용되는 부옵풀이 다양. 원마성배와 원마왕관은 그 자체만으로 희귀하여 부옵까지 보기 매우 어려움.

원마 주옵 성유물을 사용하는 캐릭터

설탕, 카즈하, 6돌사유, 벤티(넷 다 청록), 시노부(천암/왕실)은 원원원을 사용하이브리드 세팅의 6돌 사유라면 성배에서만 원마를 채용하기도 함. 

부옵은 넷 다 원충이 유효옵이고 카즈하, 사유, 벤티는 딜욕심이 있다면 치치공도 챙김. 

원마시계는 호두(마녀/시메), 사이노(번분/도금)이 사용.

도리(매우다양), 풀행자(숲), 콜레이(숲/왕실/교관)은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옵션을 사용하며 모든 부위에서 원마가 채용될 수 있음. 

타이나리(도금/악단)는 원마시계, 원마성배를 사용할 수 있음. 


설탕, 호두(치치체), 시노부(체원)을 제외하고 모두 치치공원이 베스트. 


키우는 사람이 드문 리사도 원마 세팅에서 원원원을 사용함.



조건을 만족하지 않지만 3옵이라 4강각이 보이는건 나는 최대한 거르는 편이야. 그거까지 다 킵하면 수가 너무 많아지고 비효율적이라는 느낌이 들거든. 


시계


공시계는 딜러가, 원충시계는 원충이 부족한 섭딜/서폿이 사용해. 

공시계는 쓰는거 대부분이 치명옵 + 원충 or 원마(원마가 유효옵일 때)인거랑 치치에서 나와.

원충시계는 많은 수요에 비해 확률이 10%밖에 안돼서, 뉴비라면 되도록 킵해놓는게 좋아. 유효옵이 하나뿐인거라도 쓰는 모습이 자주 보여. ‘절연원충시계’가 가장 파밍하기 거지같기로 유명. 

 

성배


대부분의 캐릭터가 깃털과 공시계를 기반으로 이곳저곳에서 공격력을 잘 챙기므로 피증 성배를 사용해. 

확률이 5%이니만큼 자피증성배는 정말 얻기가 힘들어서 성유물 파밍 초기에는 같은 세트옵의 4성 성배라도 쓰는걸 고려할 정도로 귀해. 따라서 좀 쌓인게 아니라면 부옵에 관계없이 가지고 있는게 추천 돼.


왕관(=뚝)


대부분의 캐릭터가 치확/치피, 그 중에서도 특히 치확뚝이 자주 사용돼. 기본 치명수치가 5/50이라 1:2를 기준으로 치확을 치피보다 20(=치피 40)만큼 더 챙겨야하는게 주된 이유고 반드시 치확을 챙겨야하는 페보 무기의 존재도 이유 중 하나야.

치유뚝은 현재 원신에서 베넷, 바바라, 치치, 코코미 넷 만이 종결로 사용해. 원충만 붙어 있어도 잘 쓰고 코코미가 그나마 부옵을 좀 보는 편이야. 코코미를 키운다면 체퍼원충에 공퍼깡체가 곁다리로 붙는게 베스트. 일반적인 서폿힐러들은 필요한 힐량컷이 낮아 치유뚝없이도 충분한 경우가 많아. 그래서 치유뚝은 코코미를 키우지 않는다면 원신을 하면서 아예 쓸 일이 없을 수도 있어. 왕실이랑 조개 치유뚝이 모든 치유뚝 중에서는 많이 쓰여.


관련 자료와 참고한 자료

본문에 들어가 있는 링크는 제외했음

취소선은 지워진 글을 나타냄

관련 자료

원신 데미지 공식 총정리

https://arca.live/b/genshin/59146063

미래를 고려한 성유물 선별법

https://arca.live/b/genshin/36477144

원마 가이드(심화)

https://arca.live/b/genshin/48105269

왜 원신의 장비는 성유물일까? (Q10. 참조)

https://arca.live/b/genshin/43400315


참고한 자료

일부를 제외한 모든 원신 캐릭터 개별 문서

https://namu.wiki/w/%EC%9B%90%EC%8B%A0/%EC%BA%90%EB%A6%AD%ED%84%B0

주옵/부옵 확률 정리글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onshinproject&no=2270311

성유물 경험치 정보

https://genshin-impact.fandom.com/wiki/Artifact_EXP

공치치 관련정보

https://arca.live/b/genshin/9040546 (치치공 효율)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onshinproject&no=1874806 (치치효율)

https://arca.live/b/genshin/21615665 (공치치 그래프)


캐릭터 관련

호두 - 원마 효율과 치치체 효율

https://arca.live/b/genshin/22508463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onshinproject&no=1767282

연비 - 서포터연비

https://arca.live/b/genshin/41731393

야란 - 절4 vs 몰2천2

https://arca.live/b/genshin/50771320

사유 - 하이브리드 세팅

https://arca.live/b/genshin/46280297

벤티 - 공바치 vs 원원원

https://arca.live/b/genshin/46651748

알베도 - 방퍼와 다른 옵션 효율 비교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onshinproject&no=2136170

고로 - 고로가이드

https://arca.live/b/genshin/40453898


아카이브

https://arca.live/b/genshin/34253510 - 수메르 이전 폐지런 하는 법



글 업데이트 내역

(인게임 업데이트 내용) | (글 변경 사항)

1.0.1~1.0.9

오타 수정 및 글 다듬기

성유물 점수 예시 오류 수정

모든 링크 새탭에서 열기로 수정

성유물 파밍계산기 예제 마지막 부분 확률 수정

HP% 주옵 사용 캐릭터 추가 


1.1.0 (22/08/28)

글 업데이트 내역 추가

풀 원소 캐릭터 출시로 성배 주옵션 확률 변경 |  

1.5버전까지 업데이트된 성유물 세트들이 반환 리스트에 추가됨 | 성유물 반환 및 5성 성유물 처리 내용 개편


1.1.1 (22/08/29)

글 다듬기

표 가독성 향상 (유효옵 기대강화횟수 확률테이블 제외)


1.1.2 (22/09/15)

수메르 출시 | 폐지런 하는 법 신루트로 변경

이제부터 글에서 빠진 외부 링크는 자료 - 아카이브 탭에 남게 됨


1.1.3 (22/09/23)

글 다듬기

폐지런 루트 링크 관련 실수 수정

관련 자료 추가 및 지워진 글 취소선 처리


1.1.4 (22/10/19)

풀 원소 도입, 신캐릭 출시(~닐루) | HP%, 원소 마스터리 사용 캐릭터 데이터 갱신.


예정

풀 원소가 도입되면서 원소 마스터리에 관한 내용이 많이 바뀔 것으로 보임.



공략글 쓰기 왜 이렇게 힘들어

다 읽어준 사람은 감샤. 피드백 환영


23.02.18 | 원신 점점 흥미 떨어지다가 이제 접어서 이 글도 업뎃 완전히 중단됩니다. 오랫동안 봐주시고 있는 분들 고마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