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사이트 찾아보는데 각청-피슬 관련해서 기다리는데 안 올라오는거 같길래 올려봄.

계산값은 걍 대충 이정도 나오겠다 대략적으로만 가늠한 거라 정확하지 않음.


일단 영상부터 가져옴.



각사카베


각청 6돌 회광1 번분2/시메2 80/200

사라 6돌 천날

카즈하 6돌 서약1 원마920

베넷 Q13



각피콜카


각청 6돌 회광1  회광1 번분2/시메2 80/200 원마 21

피슬 극지1 악단2/시메2 73/184 원마 143

카즈하 6돌 서약1 원마920

콜레이 40렙 종탄1 왕실


세팅이 최적 세팅이랑 정말 많이 차이나는데 (30% 정도로 예상) 딜이 각사카베랑 비교해도 전혀 낮지가 않음.

오히려 난 이쪽이 더 높다고 생각함.



이런 결과값이 나오는 과정, 각청과 미코의 격화 효율 관련해서 적어보려고 함.


먼저 격화 반응은 풀+번개가 뭍으면 활성 상태가 되면서 풀+번개가 공존함.

지속시간은 풀1A + 번개1A 기준 7.5초 정도 지속되고, 활성 상태에서 풀/번개 반응이 나오면 추가 데미지가 들어감.

추가 데미지는 신학 깃털/운근 깃발류의 데미지이고, 공식에서는 해당 위치에 들어가서 계산됨.

(공격력 * 모션값 + 추가데미지) * (치명타) * (피해 보너스) *  (내성) * (방어력)


원소 반응이 발생해야 추가 데미지가 들어가는 방식이라서 번개 캐릭터들을 쭉 보면 생각보다 번개 부착을 잘 못하는 캐릭터들이 많음.

자세한건 다른 챈럼이 정리한거 참고하면 좋음.

 [원소반응] 주요 번개 메인/서브딜러 공격 시 격화 반응 간격


각청이 번개반응 관련해서는 한손검 기본 ICD (평,강 ICD 공유) 를 가지고 있는걸 감안해도 굉장히 부착을 잘하는 편임.

각청의 온필드 8초 eqe평강*4 동안에 총 번개반응이 11회 발생시킬 수 있음.

각청 1돌 해도 E 한번에 2회밖에 안터짐. EQE평강*4 기준 원소반응이 10회 발생함.


Q 한번에 4번,

E 한번에 3번의 반응이 터짐.

E 한번에 2번의 반응이 터짐.



여기선 각청을 번분으로 쓴다고 가정하고 ee평강q평강평강ee평강으로 했음.

24초로 비교해보면 각청 vs 미코의 번개 반응 횟수는 24회 vs 12회이지만




미코는 원마를 올려도 손해를 안보는 구조에, 우월한 피증으로 각청대비 횟수는 낮아도 배율이 높아서 효율은 거의 비슷하게 나옴.


- 카즈하 피증 40%

- 각청/미코 피증이 평타/전투스킬/원소폭발/실시간 변화 너무 귀찮아서 걍 통합으로 적용했음. 적어도 미코가 더 이득본 구조임.


그런데 번개 원소반응 파티에서 정말 중요한 캐릭터가 하나 있음.



피슬인데 번개 반응이 나올 때마다 번개가 떨어지고, ICD가 없어서 매번 격화 반응마다 터짐.



진짜 단순하게 24초동안 번개관련 원소반응 횟수 * 피슬 4돌파 패시브의 격화 추가 데미지임. 

각청 쪽이 28회 반응해서 33만, 미코 쪽이 12회 반응해서 15만이 추가로 나왔고,

각청-피슬 패시브 vs 미코-피슬 패시브를 합쳐서 계산해보면




단순히 각청의 반응 횟수가 더 높아서 격화 반응을 각청이 더 잘 받는다는 결과가 나옴.



그리고 내가 생각하는 현재 최적화 각청 파티 세팅은

각청 - 4번분 (E 횟수 증가, 격화 배율 증가) 

피슬 - 절현 4뇌명

콜레이 - 종탄 교관 (1재 +100, 교관 +120, 4돌 +60)

카즈하 - 2돌 서약 청록 (2돌 +200, 원마1000 피증 +40%, 서약1재 피증+16%)





두번의 사이클에서 격화 + 피슬 패시브 데미지만으로 116만이라는 수치가 나와버림.


피슬의 E, Q, 오즈, 6돌 추가타, 카즈하 번개전환까지 포함하면 걍 쌤.





한방컷 내고 싶었는데 카드빨 안 받고는 내 스팩으로 한방컷은 안나더라 ㅎㅎ;



각사카베랑 비교해서 가장 큰 장점은

원소폭발이 중요하지 않아서 걍 저정도 딜량이 꾸준하게 나온다가 가장 큰 장점같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