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이 글은 다중 원소 부착 상태에서의 원소반응 우선순위와는 관련이 없음을 밝힘

또한 이 내용은 게임 전략으로써의 가치는 상당히 떨어질 것으로 보임

이전 확산과 관련해서 이것저것 해보고 찾아보고 읽고 하다 까먹고 있었는데, 실험과 함께 결과를 남기고자함


이 글 내용과는 별개로 지금까지 알려진 정보와 응용법을 나열하면

1. 확산반응을 통한 확산틱은 원소를 부여함

(과부하, 초전도, 개화는 원소부여없는 원소뎀으로 이후 원소반응을 못함, 내성영향은 받음)

2. 확산틱은 트리거로써 증발, 융해 / 과부하, 초전도, 감전, 연소, 개화, 만개, 발화 / 촉진 반응이 가능함

3. 증발, 융해 / 촉진의 경우 원소마스터리의 영향을 다시 받아 피해가 증가함

4. 촉진의 경우 기본 확산뎀 868에 기본 촉진뎀 1664이 더해지며, 서로 독립된 원마 증가량이 적용됨

ex. 카즈하 기초 원마 115 / 확산뎀 증가 87.1% / 촉진뎀 증가 43.8%

 => 확산뎀 1624 / 촉진뎀 2393 / 합 4017

 => 내성 10% 적용 시 3615뎀


촉진 관련 내용을 추가함

촉진까지 터질 걸 예상하거나, 아는 사람은 매우 드물 것

얼음확산틱에 신학 깃털이 반응하지않는 건, 평강낙공EQ 데미지가 아니기 때문, 중운 C1도 반응하지않음




이제 본론임


먼저 실험 이해에 관한 정보들

- 카즈하 90렙 무인검, 성유물x

- 내성 10% 확산 1462, 초전도 1218, 과부하 4873, 감전 2924, 증폭 1.5배 2656, 2배 3542

- 내성 -20% 쇄빙 4872, -60% 쇄빙 5279

- 실험은 원소 1U 부여 후, 카즈하 E 홀드로 바람2U 확산을 함

- 확산은 0.5배의 원소반응배율을 가지며, 몹의 원소는 남지않음(미부착 상태에서 보기 위함)

- 추가로 미부착몹이 포함되어있음 (확인 용이)

- 1U 이하 원소를 바람 2U로 확산 시, 확산게이지는 바람이 아닌 아우라를 따라감

- 확산게이지 최대치는 1.95U

- 1U의 원소는 부착세 이후 0.8U, 감쇠에 의해 초당 약 0.0842U씩 줄어들고, 확산 시 게이지는 약 0.1053U 차이가 나게 됨

- 5초 이후 확산 시 게이지는 약 1.4237U

- 원소부여 간격이 5초라면 원소간 약 0.5263U 차이가 남

- 원소부착이 사라지기 직전에 확산을 해도 최소 1U의 게이지를 가짐

- 원소부여 텀에 의한 원소량 차이는 무시할 수 없으나, 결과로 보아 무시해도 무방해보임



2원소 동시 부착


불/얼음 확산


불 이후 얼음 1.9초 차이, 확산게이지 0.2001U 차이, 얼음게이지가 높음

불 - 불틱 얼음틱 / 얼음잔여

얼음 - 얼음틱 불틱 / 불잔여

미부착 - 융해표시 / 불틱 얼음틱 / 불잔여 / 융해뎀x

부여순서를 바꿔도 결과는 같음

불 이후 얼음 간격을 최대한 늘려도 불이 남음


물/불 확산

불/얼음 확산과 동일, 물틱이 습기만 부착할 뿐


번개/불 확산


번개 이후 불 2.2초 차이, 확산게이지 약 0.2253U 차이, 불게이지가 높음

번개 - 번개틱 / 불틱 / 과부하틱 / 불잔여

불 - 불틱 / 번개틱 / 과부하틱 / 번개잔여

미부착 - 과부하 표시 / 번개틱 / 불틱 / 과부하틱 / (불잔여)

잔여원소가 안보이는 건, 표시 전에 사라지는 것으로 보임

부여 간격을 늘리면 게이지 높은 원소가 잔여함

부여순서를 바꾸면 정확히 반대


얼음/번개 확산

번개/불 확산과 동일


물/번개 확산


물 이후 번개 2.4초 차이, 확산게이지 0.2527U 차이, 번개게이지가 높음

번개 - 습기 / 번개틱 / 물잔여

물 - 물틱 번개틱 / 번개잔여

미부착 - 습기 / 물틱 번개틱 / 번개 물잔여 /감전표시x 감전뎀x

부여순서를 바꿔도 결과는 같음

감전반응 소모없이 물게이지 번개게이지를 동시에 갖고 있는 신기한 모습


얼음/물 확산


얼음 이후 물 1.9 차이, 확산게이지 0.2001U 차이, 물게이지가 높음

물 - 물틱 얼음틱 / 얼음잔여

얼음 - 습기 표시 / 얼음틱 / 물잔여

미부착 - 습기 빙결 표시 / 얼음틱 / 빙결



개인적 결과 해석

1. 원소부착몹은 확산으로 원소소진 이후 다른 몹의 원소가 남음

2. 원소부착몹은 확산으로 원소소진을 해도 본래 부착 원소가 반응에 참여하는 경우가 있음

2. 미부착몹은 모든 원소의 영향을 동시에 받음

3. 융해, 증발은 표시만 뜰 뿐 증폭 적용이 되지않음

4. 감전은 표시도 데미지도 적용이 되지않음

5. 과부하, 초전도의 경우 한 단계를 더 거치는 반응으로 보여지며, 2번에 의해 모든 몹에 반응이 일어남

6. 확산에 의한 동시부착에 우선순위는 없는 것으로 보임

7. 반응 표시와 데미지 표시는 별개임(데미지 표시가 더 정확할 것, 그래야할 것)


융해, 증발 / 과부하, 초전도 처럼 한 단계가 더 있다고 보는 것에 대한 증거 => 촉진

단일 몹 활성 상태에 번개 부착 이후 확산 시, 촉진딜이 적용되지않음


개인적 결론

1. 확산에 의한 동시부착에 우선순위는 없으나, 각 원소끼리의 반응은 전부 일어나는 것으로 보여짐

2. 이때 원소소모 또한 원소반응배율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임

3. 반응 표시와 데미지 표시 및 계산은 별개의 매커니즘을 갖는 것으로 보임

4. 데미지 계산 속에서 융해, 증발은 동시 부착으로 적용되지않음

5. 반응 표시, 데미지 표시 및 계산 속에서 감전은 동시 부착으로 적용되지않음(반응 없이 2원소가 존재)

6. 데미지 표시 및 계산 속에서 초전도, 과부하는 4, 5번 대비 한 단계가 더 있어 항상 적용되는 것으로 예상됨

7. 4과 6의 차이는 데미지의 합산표시냐 별개의 표시냐의 차이, 단일 몹 대상 번개확산딜 촉진이 이를 뒷받침함

8. 계산 단계가 적은 반응 융해, 증발, (감전)

9. 계산 단계가 많은 반응 초전도, 과부하 (빙결)



3원소 동시 부착

2원소 결과에 따라 반응은 가능한 전부 일어날 것으로 보고, 원소량 차이에 따른 잔여원소는 고려하지않겠음

원소소모량을 고려하여 부착 순서를 정함

반응표시는 다소 무시함


불/번개/얼음 확산


10배 느리게


모든 몹 - 번개틱 얼음틱 불틱 / 초전도틱 과부하틱

번개 - 융해표시 융해뎀x


물/불/얼음 확산


10배 느리게


모든 몹 - 불틱 얼음틱

물 - 물틱 / 융해표시 융해뎀x

불 - 빙결

얼음 - 증발표시 증발뎀x

미부착 - 융해 증발 표시 융해 증발뎀 x


얼음/번개/물 확산


10배 느리게


모든 몹 - 얼음틱 번개틱 / 초전도틱

얼음 - 습기

번개 - 습기

물 - 물틱 / 빙결

미부착 - 습기


물/번개/불 확산


10배 느리게


모든 몹 - 번개틱 불틱 / 과부하틱

물 - 물틱

번개 - 습기 증발 표시 증발뎀x

불 - 습기

미부착 - 습기 증발 표시 증발뎀x



번외 4원소 동시 부착


얼음/물/번개/불 확산 (지형 불을 이용)


10배 느리게


습기or물틱, 불틱, 얼음틱, 번개틱, 초전도틱, 과부하틱은 모든 몹에 들어감

물몹 제외 전부 빙결 후 쇄빙까지 들어가는 모습

쇄빙은 초전도 내성깎이 적용됐음



개인적 궁금증과 추가 결론

1. 최대 2틱의 초전도틱이 1틱만 뜨는 경우들이 생김 => 원소량의 차이 탓?

2. 빙결의 경우도 이따금씩 달라짐 => 원소량의 차이 탓?

3. 추가 결론 없음



나히다 E 트리거 방식을 이용한 추가 실험 결과

1. 증발, 융해는 데미지 적용만 없을 뿐, 원소반응으로 취급함 (나히다 E틱 반응)

2. 감전은 원소반응 자체가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보임 (나히다 E틱 반응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