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글벙글 발화 파티조합 가이드

https://arca.live/b/genshin/87078717


위 작성했던 발화팟 가이드글에서

재미없는 이론과 분량 때문에 생략할 수 밖에 없었던

영상자료들에 대한 부가설명들을 이곳에 정리함.


재미있을만한 파티 위주로 선별했으니

충분히 흥미스러울 것이라 생각함.

아님말고



목차

1. 베넷 6돌 발화팟

1-1. 카즈하 온필드

1-2. 원마베넷 온필드

1-3. 원마레이저 무지개팟

1-4. 북두 온필드 무지개팟

2. 불딜러 온필드 발화팟

2-1. 클레 온필드

2-2. 다이루크 온필드

2-3. 원마연비 온필드

2-4. 요이미야 온필드

3. 카즈하/진 발화팟 (전환발화)

3-1. 진+베넷

3-2. 카즈하+베넷

4. 향릉+베넷 증발화팟

4-1. 모나 온필드

5. 토마 발화팟

5-1. 토마 온필드

5-2. 토마 오프필드 (코코미)

6. 향릉 (1불) 발화팟

6-1. 향릉 온필드 연소증발화






1. 베넷 6돌 발화팟



1-1. [큰일을 하는 사람]


[카즈하 온필드 : 확산 발화팟]


카즈하 [3.8나선 카행콜베] (vs 도금여단2x2)

(카2 행6 콜6 베6)

<카즈하 도금4 / 콜레이 제례활5_숲기4>

 <풀영상 - 카행콜베> (접기)


[3.8전반 : 카행콜베]


재미 원탑 카즈하 온필드 발화팟.

카즈하가 온필드에서 유연하게 몹몰이도 할 수 있는 구조임.

원폭은 베넷장판이 끝나갈 때 쯤 불전환으로 사용해서

서폿 사이클 굴릴 때도 발화가 일어나게 할 것을 추천함.


- 사용한 사이클 -

< 콜레이 E - 행추 EQ평E평 - 베넷 Q평 - 콜레이 QE - 카즈하 평E 평평평평x2 E 평Q >


1회전도 앞에서 발화를 일으키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베넷E로 불부착을 시킨 뒤 카즈하 Q로 시작하면 됨.

< 베넷 E - 카즈하 EQ - 콜레이 E - 행추 EQ평E평 - 베넷 Q평 - 콜레이 QE - 카즈하 평E 평평평평x2 E 평Q >




1-2. [따봉맨도 합니다]


[원마베넷 온필드 발화팟]


원마베넷 [4.0나선 베나야피] (vs 코펠리우스)

(베6 야2 피6 나2)

<원마베넷 교관4 / 호박나히다>

 <풀영상 - 베나야피> (접기)


[4.0후반 : 베나야피]


번개섭딜이 구성된 '과증발화팟'

번개반응으로 원핵생성을 억제하던 연소를 쉽게 제어할 수 있어서 씨앗이 풍부하게 나옴.

또한, 번개딜러와 풀딜러가 촉진/발산 반응까지 낼 수 있어서 전체적인 파티DPS가 아주 좋음.


- 사용한 사이클 -

< 베넷 E - 나히다 EQ - 야란 EEQ평 - 베넷 Q평 - 피슬 E평/Q - 베넷 평E 평평평x2 평E · · · >



원마베넷 [4.0나선 베나야벤] (vs 다수전)

(베6 야2 나2 벤0) <원마베넷 도금4>

 <풀영상 - 풇라행북ㅣ베나야벤> (접기)


[4.0나선 : 풇라행북ㅣ베나야벤]


다수전을 위한 몹몰이 발화팟.

다수전에서 다량의 몹몰이가 가능한 벤티/카즈하가 들어간 구성이

모든 발화팟 중에서 클리어타임은 가장 빠름.

단, 반대로 1:1 보스전에서는 힘이 가장 빠질 수 있는 구성임.


- 사용한 사이클 -

< 베넷 E - 나히다 EQ - 벤티 EQ - 야란 EQ평E평 - 베넷 Q평 E 평평평x2 평E · · · >




1-3. [자폐아]


[원마레이저 : 무지개팟]


원마레이저 [3.8나선 레행나베] (vs 산호의수호자)

(레6 행6 나2 베6)

<레이저 도금4 / 베넷 교관4>

 <풀영상 - 레행나베> (접기)


[3.8후반 : 레행나베]


발화,연소,증발 + 만개,촉진,발산,감전,과부하

만개트리거 중, 오직 레이저만이 가능한 파티로 유명함.


- 사용한 사이클 -

<레이저 E - 나히다 E평Q - 행추 EQ평E평 - 베넷 Q평 - 레이저 E Q 평E 평평평x2 평E · · · >




1-4. [패링전사]


[북두 온필드 : 무지개팟]


북두 [3.7나선 북나야베] (vs 성해짐승2x2)

(북6 야2 나2 베6)

<북두 쇄석1_절연4 딜세팅>

 <풀영상 - 북나야베ㅣ알행클시> (접기)


[3.7나선 : 북나야베ㅣ알행클시]


촉진,발산,만개,감전,과부하 + 증발,연소,발화

북두 온필드 파티 중 가장 강력했던 파티.

위 원마레이저 무지개팟과의 차이점은

북두가 딜세팅이기 때문에 발화와 만개는 보조적으로 사용되고,

촉진/발산 격화반응을 주력으로 사용한다는 것임.


- 사용한 사이클 -

< 북두 E - 나히다 E평Q - 야란 EQ평E평 - 베넷 Q평 (E평) - 북두 E평Q 평평평평x2 >

(북두 E 타이밍은 패링을 위해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2. 불딜러 온필드 발화팟



2-1. [잊혀진 폭탄마]


[불딜러 온필드 : 더블 하이드로 증발화팟]


클레 [4.0나선 클야행나] (vs 코펠리우스)

(클2 야2 행6 나2)

<클레 음유5재_공퍼2+2 / 호박나히다>

 <풀영상 - 클야행나> (접기)


[4.0후반 : 클야행나]


불딜러의 증발을 위한 이중 물부착 구조.

발화팟에서 1물 환경은 풀부착에게 자주 잡아먹혀서

특히 클레나 호두같은 강공계 불딜러는 증발을 먹기가 힘듦.

이를 해결하는 방향이

[야란+행추][야란/행추+카즈하(물전환)]와 같은 2물 구성임.


- 사용한 사이클 -

<클레 E - 나히다 EQ - 야란 E(증발) - 행추 EQ평E평 - 야란 Q평E평 - 클레 EQ 평강x3 평평평강>




2-2. [숲튽훈]


[불딜러 온필드 : 베넷 증발화팟]


감동좌 [4.0나선 다야나베] (vs 코펠리우스)

(다0 야2 나2 베6)

<장훈이형 쇄석1재_공퍼2+2>

 <풀영상 - 다야나베> (접기)


[4.0후반 : 다야나베]


베넷으로 불딜러 강화하는 증발화 방향.

이 파티는 파티사이클 상 베넷이 야란보다 먼저 배치되어야함.

<나히다 EQ - 베넷 Q - 야란 EQE>

만일, <야란-베넷> 순서로 배치하면 연소+불 강부착으로 시작해서

'행추'나 '야란2돌'이라 할지라도 이 불을 끌 수가 없음. (역증발만 발생.)

그러니까, <베넷-야란> 순서로 해야 불딜러를 위한 증발환경이 만들어짐.


- 사용한 사이클 (베넷6돌) -

<나히다 EQ - 베넷 Q - 야란 EQ평E평 - 다이루크 E 평평 E 평E 평Q 평평평평 · · · >

베넷이 6돌이라서 다이루크가 원폭을 뒤에 써주었지만,

베넷 6돌 미만은 다이루크가 선궁을 써서 자체 불인챈트를 시켜야함.




2-3. [사창가 변호사]


[불딜러 온필드 : 2풀 발화팟]


원마연비 [4.0나선 연야풇나] (vs 코펠리우스/다수전)

(연6 야2 풇4 나2)

<원마연비 도금4 / 호박나히다>

 <풀영상 - 연야풇나> (접기)


[4.0후반 : 연야풇나]


무난한 2풀 구성의 발화팟.

본래는 기초적인 [풀행자+요요] 2풀 구성을 보여주려고 했었는데,

호박나히다 힐만으로도 운용하는걸 보여주고 싶은 욕심에 파티가 저렇게 된 것.

호박나히다로 좀 더 안정적으로 운용하고자 한다면,

행추를 사용해서 피해감소와 우렴검과 함께 2힐을 고려해볼 수도 있음.


- 사용한 파티사이클 -

< 연비 E - 나히다 EQ - 야란 EEQ평 - 풀행자 E평Q평 - 연비 Q평(강) E평(강) 평평강or평평평x4 >

연비 평타로도 주변 원핵들을 어느정도 제어할 수 있어서

원마연비 경우엔 미처 트리거 못시킨 원핵에 한해서만 강공을 써주면 됨.




2-4. [연월 호소인]


[요이미야 : 버프 보호막/힐 증발화팟]


요이미야 [3.2나선 요야나디] (vs 침식 다수전)

(요0 야2 나2 디6)

<요미 녹슨활5재_시메4>

 <풀영상 - 요야나디> (접기)


[3.2전반 : 요야나디]


빙결로 물을 잡아두고 확정융해를 일으킬 수 있는 증발화팟.

풀반응에 의해 물이 완전히 죽기 전에 빙결로 물을 잡아두어서

요이미야가 확정적으로 융해까지 먹을 수 있는 구조임.

단, 보스전에서는 빙결이 안통하기 때문에 DPS가 하락함.

디오나6돌은 교관4까지 달아줘서 최대의 원마버프도 노려볼 수 있음.


- 추천 사이클 -

<요이미야 Q - 디오나 E - 나히다 EQ - 야란 EQE/EEQ - 디오나 EQ평 - 요이미야 E 평평평평평x3>

디오나 사이클은 위처럼 섭딜들에게도 보호막을 씌워주는 운용을 해줄 수 있음.


요이미야 [3.3나선 요나행북] (vs 침식 다수전)

(요0 행6 북6 나2)

<요미 녹슨활5재_시메4 / 호박나히다>


슈퍼아머 과증발화팟.

행추+북두를 통한 피해감소+경직저항 떡칠과

북두의 체인라이트닝+발화로 다수전에 가장 힘이 좋은 조합임.

하지만, 물부착이 남아나질 않아서 요이미야의 증발 발생률은 발화팟 중에서 가장 낮음.


- 추천 사이클 -

<요이미야 Q - 나히다 EQ - 행추 QE평E평 - 북두 EQ평 - 요이미야 E 평평평평평x3>





3. 카즈하/진 발화팟 (전환발화)


3-1. [진간장]


[풀딜러 온필드 : 카즈하/진 전환발화팟]


[4.0나선 나야진베] (vs 코펠리우스)

(나2 야2 진6 베6)

<진 도금4 / 베넷 교관4>

 <풀영상 - 나야진베> (접기)


[4.0후반 : 나야진베]


베넷 장판을 활용한 전환발화 구조.

카즈하처럼 몹몰이는 해줄 수 없지만,

불방구 간격이 빨라서 짧은 시간 내 많은 발화가 가능.

단점이 있다면, 파티사이클이 장판 안에서 제한되기 때문에

웨이브형 몹 배치에 취약함.


- 사용한 사이클 -

< 나히다 E - 베넷 E - 나히다 Q - 야란 EEQ평 - 베넷 Q평(E평) - 진 EQ평 - 나히다 E 평평평강 평평평E · · · >



3-2. [또즈하]


카즈하 [4.0나선 나야카베] (vs 다수전)

(나2 야2 카2 베6)

<카즈하 도금4 / 베넷 교관4>

 <풀영상 - 나야카베> (접기)


[4.0후반 : 나야카베]


발화계 메이저 파티.

강력한 몹몰이를 통해 최대한 많은 적들에게 발화를 입힐 수 있음.

베넷이 6돌인 경우, 카즈하가 온필드에 나오게 되는 [카나야베] 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음.

단, [카야나베]도 1:1전에서는 원핵생성을 위해 나히다를 온필드로 사용하는 것이 적합함.


- 사용한 사이클 -

< 나히다 E - 베넷 E - 나히다 Q - 야란 EEQ평 - 베넷 Q평 - 카즈하 E평Q평 - 나히다 E 평평평강 평평평E · · · >






4. 향릉+베넷 증발화팟


4-1. [아스트로지스트 모나 메기스토스]


[물딜러 온필드 : 향베 증발화팟]


모나 [4.0나선 모나향베] (vs 검귀)

(모5 나2 향6 베6)

<모나 절연4 / 원마향릉(키타인5재) 도금4 원충 172>


물딜러 온필드의 향베 증발화팟.

아야토나 타탈이 대표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구성.

나는 원마향릉으로 테스트 했지만, 기존 딜세팅으로 사용해도 좋음.

연소+화륜으로 불부착이 거세서 물딜러의 증발에 치중되어 있는 증발화 구조임.

나히다 온필드의 [나야향베] 경우엔 야란이 증발을 가져가는 형태.


- 사용한 사이클 -

< 모나 E - 나히다 E평Q - 베넷 QE - 향릉 QE - 모나 평Q 평평평 (E) 평평평 · · · >






5. 토마 발화팟



6-1. [카미사토 집사]


[원마토마 온필드 : (+캔디스) 2물 발화팟] <호박나히다>


토마 온필드 [3.6나선 토야캔나] (vs 3검귀)

(토6 야2 캔2 나2)

<용학토마 원충130 도금4 / 페보캔디스 교관4 / 호박나히다>

 <풀영상 - 알라행북ㅣ토야캔나> (접기)


[3.6나선 : 알라행북ㅣ토야캔나]


토마의 원충부담을 줄이기 위한 온필드 배치.

토마의 리필 보호막들이 연소,발화 자해딜로부터 보호를 잘해줘서

호박나히다로도 파티유지력이 좋은 편.

키타인이면 원충을 아예 안챙기는 방향으로도 가능할 듯 함.


원핵을 많이 생성하고 싶으면 이러한 2물 구성보다는

아래와 같이 번개캐릭이 구성된 [과증발화팟]이나 [무지개팟]이 좋음.

(+번개섭딜 구성의 과증발화팟)

(+시노부 구성의 무지개팟)


- 사용한 사이클 -

< 나히다 EQ - 야란 EQ평E평 - 토마 EQ평 - 캔디스 EQ평 - 토마 평평평x3 E 평평평 >




6-2. [염전주]


[물힐러 온필드 : 무지개팟]


토마 오프필드 [4.0나선 코나토라] (vs 검귀)

(코1 나2 토6 + 원마덴)

<키타인토마 원충168 도금4 / 라이덴 도금4>

물힐러 온필드의 무지개팟.

원마덴 자리에는 시노부를 넣어도 잘 돌아감.

번개캐릭이 들어가면서 연소를 제어할 수 있게되어

원핵생성량이 1:1에서도 아주 좋은 편.

라이덴 E틱이 0.9초라서 만개 빈도가 더 높을 줄 알았는데,

의외로 토마가 발화로 다 가져감.


- 사용한 사이클 -

< 코코미 E - 라이덴 E - 나히다 E평Q - 토마 QE - 코코미 Q 평평평x5>





6.향릉 (1불) 발화팟


7-1. [짱릉]


[원마향릉 온필드 : 중운 구성의 연소증발화]


향릉 온필드 [4.0나선 향행중나] (vs 다수전)

(향6 행6 중3 나2)

<키타인향릉 원충160 도금4 / 호박나히다>

 <풀영상 - 향행중나> (접기)


[4.0후반 : 향행중나]


향릉의 원충부담을 줄이기 위한 온필드 배치.

연소증발화를 유도할 수 있다는 바람/얼음/바위 중,

중운의 얼음인챈트를 통해 향릉이 얼음부착으로 연소를 자극시키는 구조임.

풀캐릭은 백출이 정배인 구성인데, 내가 백출이 없어서

[행추+호박나히다]의 2힐 구조로 테스트 했던 것.


단순하게 원핵을 많이 생성하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번개캐릭이 구성된 [과증발화팟], [무지개팟]도 좋다고 봄.

(+번개섭딜 구성의 과증발화팟)

(+시노부 구성의 무지개팟)


- 사용한 사이클 -

< 향릉 E - 나히다 E평Q - 행추 EQ평E평 - 향릉 Q - 중운 EQ평 - 향릉 E 평평평평 (위급시 나히다 Q) 평평평평 · · · >






230929 본챈에 업로드 완.


발화팟에 미쳤던새끼 연월영상 모음

https://arca.live/b/genshin/875211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