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줄 이상 못 읽는 에르핀을 위한 공략

: 1관 치명타 4개 -> 공격력:체력 2:1 비율로 찍어서 1관 공체보드 다 칠하기 -> 2관 공보드 15개 칠하기 -> 1관 치저 다 칠하기 -> 2관 치저 15개 칠하기 -> 1관 치명치피 다 칠하기 -> 2관 치명치피 15개씩 칠하기 -> 2관 공보드 더 칠하기

이러한 순서대로 칠하면 현재 메타에서 최고효율은 아니더라도 중상타는 침


06.16 추가) 프론티어 정규시즌이 나오고 중요도가 높아짐

1관 공체보드 이후 1관 치명,치피,치저or치피저 다 칠하고 2관 공보드로 넘어가는 게 프론티어 순위 올리기에는 도움이 될 것



뉴비용 기초 개념과 1관 공략
(유저제작) 보드 정리 사이트


트릭컬에서 가장 중요한 스펙업 수단인 황크보드

칠하기만 하면 모든 사도의 스펙이 쑥쑥 오른다

장비 8랭 5강은 모든 유저가 다 하기 때문에 결국 경쟁 컨텐츠는 이 황크보드를 얼마나 칠했냐로 갈린다

그래서 이걸 도대체 어떻게 칠해야 되는가 공략글도 많고 질문글도 많은데

유저 수준이 상향평준화되어 2관을 찍어야 될 사람들이 많아졌고, 2관은 들어가는 비용이 비싸기 때문에 잘 선택을 해야 하는데

개개인의 선택이 다름 -> 질문이 올라왔을 때 개개인의 답변이 다름이 되어버림 

그래서 이를 보완하기 위한 공략글을 작성해야겠다 싶었고, 따라서 존나 자세하고 길게 쓸 거임 각오하셈

근데 쓰는 사람이 더 힘들지 않음? 왜 님들이 각오해야됨 내가 각오해야지 ㄹㅇ


목차

1. 기초지식 2. 공격력 3. 방어력 4. 치명/치피 5. 치저/치피저 6. 체력 7. 보드 찍는 순서 8. 결론


1. 기초 지식


침략(스테이지): 핵불맛 최고난이도는 서버 1위도 다 못 깸. 순한맛만 다 밀면 되니까 제쳐두자

줘팸터(pvp): 상대보다 치명 관련 수치가 더 높은 사람이 아주 많이 유리함

대충돌: 공격력과 체력을 기본으로 갖추고, 치명/치피/치저or치피저를 최대한 올려줘야 함

프론티어: 대충돌보다 치명/치피/치저or치피저를 덜 요구함

- 정확히는 프론티어는 사도의 스펙도 중요하지만 사도의 스킬과 스펠, 아티팩트 등 모든 게 다 중요한 가장 어려운 컨텐츠이기 때문에, 스펙이 가장 중요한 대충돌보다는 비교적 스펙이 덜 중요하다고 느껴지는 것임. 


유저가 추정한 대미지 공식은 다음과 같음

공격력 x 스킬계수 x 성격상성 x 피해량 x 치명피해량 x 0.8 

공격력은 상대 방어력의 48%를 넘기면 된다 ( =방어력은 상대 공격력의 약 2배를 넘겨야 작동한다)

치명타는 상대 치명저항에 따라 최소 약 5% ~ 최대 약 80% 확률로 터짐

치명피해는 치명타가 터졌을 때, 상대방 치명피해저항에 따라 1.15배 ~ 4배

(갤펌) 공컷 수치 계산

치명타 피해 계산

치명타확률은 확률인 탓에 알아내기가 개빡세서 아직 연구가 덜됐음

최소 5% 최대 80% 이것도 정확하진 않음. 최대치인 80%는 거의 맞는 거 같은데 최소치인 5%는 모르겠다

아닌 거 같으면 직접 연구해서 보여주셈 부탁함,, 개어려움,,


(안봐도됨) 3월 기준 2관 공략

(안봐도됨) 4월 기준 치저 공략


2. 공격력


공격력이 증가할수록 딜이 증가하는 건 다른 게임들과 동일함

그러나 트릭컬의 특이한 방어력 계산 때문에 공격력 수치에 따른 효율이 달라짐

공격력이 상대 방어력의 48%보다 높을 때 최대 대미지가 들어감

공격력이 상대 방어력의 48%보다 낮을수록 딜이 처참하게 깎임(-90%)

공격력이 부족할 때는 0순위로 올려줘야 하지만, 공컷을 넘겼을 때부터는 아주 정직하게 딜이 올라감. 즉, 효율이 떨어짐

치명타로 딜 400% 증가할 때 그만큼 공보드에 투자하면 딜 30% 증가한다 생각하면 효율 차이가 이해될 것임


대충돌 기준, 장비까지 다 낀 인게임 기준으로

15층은 공격력 5~6만을 넘겨야 함

18층은 공격력 5~8만을 넘겨야 함

21층은 공격력 8~12만을 넘겨야 함

(대충돌 시즌, 보스마다 물공/마공컷이 계속 변하기 때문에 대략적인 수치이니 주의)


따라서 15층을 깨려면 공보드 30개 이상, 18층50개 이상, 21층70개 이상이라고 대략적으로 말할 수 있겠음

보스마다 컷이 다르고, 사도 기본 스탯마다 다르고, 아티팩트도 다르고, 랭작/호루라기/보크보드 등 유저마다 달라지는 부분이 있기에 정확한 수치를 알려주는 게 불가능함은 양해 바람

(보드 n개는 1관+2관 다 합쳐서 말하는 것임. 모든 유저가 올콜렉을 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저렇게 말해야 함)

메인딜이 키디언같이 기초공이 낮다든가 뉴비라 랭작이 모자란다든가 하면 공보드 더 칠해줘야 함

이 경우 필요한 공보드는 대략 15층 40개, 18층 60개, 21층 75개

2관 15개 칠하라고 맨 위에 써놓은 것도 1관 47개 + 2관 15개에 올콜렉 못했을 거 고려해서 여유 둔 것임 

아무튼 변수가 많으니까 직접 때려보고 공컷 걸린다 싶으면 공보드 더 칠하셈 


3. 방어력


방어력은 상대 공격력의 약 2배를 넘겨야 작동함. 그 미만은 0과 동일함

그런데 상대 몹 공격력은 지나치게 높고, 우리가 올릴 수 있는 방어력은 한계가 있어서 올리지 말란 것임

방어력이 중요한 메타가 오려면 상대 몹 공격력이 갑자기 수십, 수백분의 일로 줄어들어야 함

다만 물마방을 강화하면 전투력이 굉장히 잘 오르기 때문에 몸 부풀리기!!! 같은 느낌

2관 물마방 올클까지 하면 방어력이 한 15만 되는데 그정도면 이제 줘팸터에서 딜컷 걸어버릴 수 있음. 그게 다임


4. 치명타, 치명피해


치명타는 상대 치명저항보다 높으면 최대 80% 확률로 치명타가 터짐

(상대 치저보다 약 3000 정도 높아야 최대로 터진다고 추정)

치명피해는 상대 치명피해저항보다 높으면 최대 4배 대미지가 들어감

(상대 치피저보다 약 5500 정도 높아야 최대로 터진다고 추정)

그러나 상대 저항보다 낮으면 0과 동일함

여기가 바로 폐사구간. 내가 3월쯤에 쓴 에 치명타 올리는 구간은 게임이 재미없어지니 조심하라고 썼었는데

요새 진짜로 그 구간에 접어든 유저 중 일부가 접어버리더라... 슬퍼


이런 폐사구간을 넘기면서까지 치명치피를 찍어야 하는 이유는, 적 체력이 뒤지게 높기 때문임

수억 단위의 체력을 깎기 위해서는 치명타를 터트리지 못하면 덱 여러개를 갖다 박거나 공보드를 엄청 많이 찍는 수밖에 없음

같은 개수의 황크를 투자한다고 했을 때, 공보드에 투자하면 딜이 조금씩 조금씩 오르지만 치명치피에 투자하면 어느 순간 딜이 확 뛰기 때문에 치명치피를 찍는 게 좋음

그러나 치명과 치피를 모두 올려야 4배 대미지가 들어가는 것이기 때문에 황크가 2배로 들게 되는 부분은 주의


게임 초반부에 치명보드 4개만 찍고 넘어가라는 것은 게임 초반 순한맛의 적들이 치명피해저항이 0에 가깝기 때문임

그러나 순한맛 벗어나서 경쟁컨텐츠에 진입해보면 치명치피보드는 찍은 것과 안 찍은 것이 동일한 상황이 발생함

줘팸터에서는 비슷한 수준의 유저와 싸우는 상황에서는 1관 치명만 찍어도 유효하고 

프론티어도 어차피 마라맛 같은 거 못 가니까 아슬아슬하게 컷을 넘길 수 있겠지만

가장 순위에 신경쓰게 되는 대충돌에서는 1관 공체보드만 찍어도 되는 15단계조차 1관 치명치피로는 모자람

1관 치명을 찍으나 마나 별 차이가 없다는 말과 1관 치명은 다 찍어야 한다는 두 말이 동시에 나오는 이유가 바로 이 부분


대충돌 기준, 장비 다 낀 인게임 기준으로

15층은 치명치피 4~6만을 넘겨야 함

18층은 치명치피 7~9만을 넘겨야 함 

21층은 치명치피 9~12만을 넘겨야 함

(대충돌 시즌, 보스마다 컷이 변하기 때문에 주의)


따라서 15층에서 4배로 딜을 넣으려면 치명치피보드 10개씩, 18층20개씩, 21층30개씩 찍으면 된다고 대략적으로 말할 수 있겠음

이것도 역시 보스마다, 사도마다, 템마다, 유저마다 달라지기 때문에 정확한 수치를 알려주는 게 불가능함에 주의

때려보고 치명타 터지는지 / 치명피해 4배딜 잘 들어가는지 직접 확인하고 조절하셈


그런데 이건 장비를 낀 기준이란 말임? 공격력과 다르게 장비들은 대부분 치명이나 치피 중 하나만 올려줌

보라색 아티팩트들은 치명타가 많고(림낫, 실라화살, 단도, 날씨는맑음)

파란색 아티팩트들은 거의 비슷하고(치명-마법서, 감투 / 치피-지팡이,성배)

녹색은 치명피해가 압도적으로 많고, 흰색은 송곳이랑 비수가 있음


그리고 8랭작 끝낸 기준으로 치명타가 1천이나 더 높으며,

치명은 상대 치저보다 3천쯤 높으면 되지만 치피는 상대 치피저보다 5천쯤 높아야 함


따라서 치명피해보드는 치명타보다 2~3개쯤 더 찍어야 비율이 맞음


5. 치명타 저항, 치명 피해 저항


치저가 상대 치명보다 높으면 약 5% 확률로만 치명타가 터짐

치피저가 상대 치피보다 높으면 치명타가 터져도 1.15배 딜만 들어옴

상대 치명치피보다 내 저항이 3000 이상 낮으면 0과 동일하다고 보면 됨

치저가 충분히 높다면 치피저가 필요할 일이 거의 없고, 치피저가 충분히 높다면 치저가 필요할 일이 거의 없으므로

치저나 치피저는 둘 중 하나를 골라서 몰빵해야 함. 안 그러면 황크를 2배로 낭비하게 됨


프론티어 출시 이후, 적 보스의 딜이 무지막지하게 높아져서 갑자기 중요해진 치저와 치피저임

그 전까진 체력만 올리면 충분히 버텨진다~ 싶었지만 이젠 치저or치피저 모자라면 1분도 못 버티고 전멸함

공격력과 치명치피를 암만 올려봤자 상대 보스 평타에 하나씩 죽어가면 뭐 어쩔 것임,,


그런데 프론티어 보스나, 크르브르스 땅찍기+우다다, 크레용사용 횡베기 등 강력한 광역딜이 요즘 많기 때문에

탱커뿐만 아니라 중, 후열 딜러와 서폿들도 충분한 저항 스탯을 올려줘야 함

탱커만 버텨주면 된다면 탱은 기본 저항 스탯이 높고 템도 몰아주면 되지만, 

딜러와 서폿까지 저항을 챙겨야 하니 템으로 커버가 힘듦. 즉, 황크를 더 많이 발라야 함

(치저는 피코라 쓰면 되긴 하는데 드론, 고모구지 같은 애들만 상대할 수 있고 광역기는 커버 불가능)


대충돌 인게임 기준

15층은 5만, 18층은 8만, 21층은 11만 정도를 넘겨야 함

(시즌, 보스마다 다름 주의)


따라서 15층에서 덜 아프게 맞으려면 치저 or 치피저 10개, 18층에서 25개, 21층에서 40개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면 됨

이것도 역시 보스, 사도, 템, 유저마다 달라지기 때문에 정확하지 않음에 주의, 직접 맞아보고 개수 조절하셈

(치저치피저는 특히나 자료가 모자라기 때문에 덜 정확함)

다만 오븐장갑or슬라임쿠션 / 중량조끼 / 다이아몬드 팔찌 / 로네의 건틀릿 등의 아티팩트를 1~2개씩 중, 후열 딜러들에게 끼워주는 것으로 필요한 보드 개수를 확 줄여줄 수 있음


5-1. 그럼 치저와 치피저 중 뭘 골라서 찍어야 하느냐


ㄱ. 보스의 치명이 치피보다 낮아서 (드론, meow 등) 치저가 더 좋다는 말이 3월에 나왔고 그땐 진짜로 치명이 많이 낮았는데

요즘은 치명치피 비슷한 수치로 내주는 것 같음. 내가 치피저 몇만인데 뚫린다~ 라고 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그보다 수치가 낮은데 치피저 잘 작동된다 하는 사람도 있고 해서 데이터가 확실하진 않음. 아마 치피저로 막아도 대미지가 뒤지게 높아서 뚫린 걸로 착각한 게 아닐까 싶긴 한데 당사자도 아니고 당사자들은 스샷 영상 하나도 안 가져오니까 확실하겐 모르겠음


ㄴ. 그다음 치저보드 개수가 치피저보다 많다는 점, 치명보드 개수가 치피보드 개수보다 적다는 점도 있었는데 이거는 신캐가 계속 나오면서 개수가 맞아지고 있음


ㄷ. 피코라가 치저버프가 있기 때문에 더 낫다는 점도 있었는데 보스가 광역기를 때려버리니 피코라로는 커버가 안 됨


ㄹ. 원래는 1관에 치피보드가 없어서 치피저보드가 pvp에서 많이 좋아, 치피저보드를 찍는 게 주류였는데 에피드에서 치저보드로 메타를 강제로 바꿔버린 것임


ㅁ. 치명타처럼 치저가 치피저보다 랭작 수치가 더 높은 건 사실


ㅂ. 치피저가 유효한 구간이 더 길지만, 결국 상대 치명이나 치피보다 높여야 한다는 점은 동일


ㅅ. 치저는 높여도 5%쯤 확률로 뚫리고, 치피저는 높여도 1.15배로 딜을 맞음

이번 대충돌 21단계는 치저로 막아도 한대맞고 뒤질라 한다는데 1.15배로 맞으면 더 아프겠지


ㅇ. 2관 보드를 잘 살펴보면 치피저가 치저보다 찍기 쉽고, 저렴하고, 효율적임

가는 길이 대체로 짧아 보크와 골드가 덜 들며, 치저는 특히 체력 황크보드로 길이 막힌 캐릭이 있음


ㅈ. 블랑셰, 리스티, 버터 등 확정 치명을 가진 사도들이 있고 이는 적 보스몹이 확정치명을 들고 나올 가능성도 있다는 뜻


결론은 치저가 조금 더 우세한 상황이지만, 치피저도 나쁘지 않음

이미 치피저에 몰빵했다면 지금 와서는 지우개질 할 필요는 없고, 오히려 나중에 치피저메타가 다시 올 수도 있음

하지만 치피저에서 치저메타로 드리프트 했을 때 유저들 기분이 많이 나빴었는데 그걸 또 꺾는다? 에반데...


6. 체력


체력은 아주 정직한 스탯인데, n인덱 구성 시너지와 줘팸터 체력보너스가 적용된다는 장점이 있음

1관 체력 정도는 다 찍어놔야 든든함

단, 2관 체력을 찍기엔 급한 스탯이 너무 많아서 우선순위가 밀림

이번 21단계 크레용사용 딜이 치저로 막아도 뒤지게 아프다는 점에서 2관 체력도 나중 가면 어느정도는 찍어줘야 하겠지만

우리한테 그런 날이 오려면 몇달은 있어야 하니 일단은 급한 것부터 하자


7. 보드 찍는 순서


사실 공체치명치피치저치피저 죄다 찍어야 하는 게 정답이지만 우린 가진 황크가 얼마 없으니 순서를 자꾸 묻게 된다

1번에서 설명했듯이 컨텐츠마다 중요한 보드가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사람마다 취향따라 찍는 순서가 다르니 걍 하나하나 다 설명하겠음. 알아서 골라보셈


공통

겜 시작 직후 치명보드 4개

- 초반 순한맛 밀 때 치명보드는 아주아주 효율이 좋음. 공컷도 안 걸리고 적 치피저도 낮고 적 딜도 그렇게 쎄진 않으니 치명이 유효함. 그래서 얼마 전까지도 1관 치명 싹 다 찍고 넘어가라고 했지만, 초반을 넘으면 갈수록 필요 치명이 급격히 높아지게 되어 안 찍은 것과 차이가 없기 때문에 4개만 적당히 찍고 넘어가자는 게 정설로 바뀌었음


공격력:체력 2:1 비율로 올리며 1관 공체보드 다 칠하기

- 공격력 올려서 공컷 넘겨야 하고, 체력 올려서 버텨야 함


선택지

ㄱ. 2관 공보드 더 올리기

장점 - 대충돌, 침략, 프론티어 등에서 더 높은 스테이지의 공컷을 넘겨 딜을 넣어볼 수 있음

단점 - 공컷 넘긴 이후로는 효율이 떨어짐

"공컷을 넘기지 못하면 아무것도 할 수 없다! 공컷 넘겨도 공보드는 칠할수록 반드시 강해진다! 어떤 경우에도 확실하게 효과를 보는 공보드를 올리자! 치명치피 못 터트려도 덱 여러개를 들고가면 된다!"


ㄴ. 치명/치피보드 칠하기

장점 - pvp에서 더 쎄게 때릴 수 있고 대충돌과 프론티어에서 더 많은 딜을 넣을 수 있음

단점 - 대충돌 15단계 이후는 1관 치명치피로는 부족함, 치명과 치피를 동시에 올려야 해서 컷 넘길 때까지 강해진다는 체감이 없어서 지루함, 컷을 넘기지 못하면 안 찍은 것과 동일함

"pvp에서 버티는 놈들 뚫어야 한다! 대충돌이랑 프론티어는 체력이 억단위인데 치명치피 안 올리면 클리어가 힘들다! 1관만 칠해도 프론티어에선 어느정도 통한다!"


ㄷ. 치저or치피저 찍기

장점 - pvp에서 덜 아프게 맞을 수 있고, 대충돌과 프론티어에서 안 죽고 버틸 수 있음

단점 - 딜이 모자라서 pvp에서 타임아웃으로 질 수 있고, 대충돌에서 덱을 여러개 써야 하며, 프론티어에서 딜이 모자랄 수 있고, 컷을 넘길 때까지 강해진다는 체감이 없어서 지루함, 컷을 넘기지 못하면 안 찍은 것과 동일함

"프론티어 meow, 16지 광기 드론, 16지 활발 고모구지에 맞고 비명횡사를 해놓고도 아직도 저항을 안 찍어? 일단 버텨야지 때릴 수 있지 않냐! pvp에서도 순위 방어가 잘된다!"


이거 쓰고 있는 내가 생각했을 때 효율적인, 공->치저 빌드

1관 공체 올클 이후, 18단계 공컷을 넘기 위해 2관 공보드를 15개정도 더 찍어준다. 공컷 걸리면 암것도 못하거든

그다음 치저에 몰빵한다. 대충돌 in3000을 안정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거기까지 안정적으로 올라가야 하는데, 치저를 올리면 15~17지는 공보드만으로도 딜이 크게 부족하지 않다. 프론티어도 대충 비슷함. pvp에서도 치명 많이 안 찍은 애들 상대로 죽지 않는다. 다만 pvp 순위 올리기가 힘들겠지만 그정돈 포기한다. 치명치피 2개 동시에 올리는 것보다 빠르게 pvp에서 강해질 수 있음

2관 치저를 15개쯤 찍으면 1관까지 합해서 20개를 넘기고, 그정도면 대충돌 18단계 클리어를 노려볼 수 있다. 일단 버틸 수는 있으니 덱 2~3개와 대여까지 총동원해 어떻게든 몸을 비틀어 딜을 넣으면 된다.

이제 18단계도 깼으니, 줘팸이랑 프론티어 순위도 올리기 위해 치명치피를 올리자. 18단계 치명치피컷도 넘겨서 편하게 깨면 이제 다시 공보드를 올리며 더 높은 단계에 도전할 준비를 하자.


공격은 최선의 방어, 공->치명치피 빌드

1관 공체 이후, 18단계 공컷을 넘기 위해 2관 공보드를 좀 더 찍어준다

대충돌 in3000은 어느정도 하니까 이제 1관 치명치피치저를 찍는다. pvp와 프론티어에서 강해졌다!

이제 2관 치명치피를 올려보자. 치명치피를 다 올려야 해서 치저 먼저 올리는 것보다 느리긴 하지만, pvp에서 죽창딜을 꼽을 수 있으니 만족한다. 찍다보니 드디어 18단계 치명컷을 넘겼다. 적 딜이 쎄든 말든 가비아 무적과 단도 무적으로 버티고 딜 넣으면 된다!

이제 18단계도 깼고, 치명컷은 넘겨놨으니 딜을 더 올리려면 공보드를 올려야 한다. 내가 줘팸터 이 구역 죽창맨이 된다!


나는 현타 느끼고 싶지 않다, 치명 전부 유기하는 공체 빌드

치명치피치저 모두 컷 못 넘기면 안 찍은 것과 동일하다며? 그럼 1관도 걸러도 되네?

1관 공체 이후, 공컷을 넘기기 위해 공보드, 버티기 위해 체력보드를 마구마구 올린다.

pvp는 털리지만 상관없어. 프론티어는 대충돌보다 in3000 더 쉬워! 

대충돌? 좀 아프고 적 체력도 너무 많지만 이건 게임이 잘못된 거지 내가 약한 게 아냐! 

중요한 건 나는 보드를 찍을 때마다 착실하게 강해지고, 난이도가 무지막지하게 높은 적을 상대할 땐 오히려 내가 더 쎄다는 점이다!


나는 잘 모르겠다. 그냥 in3000 안 해도 되고 즐겜이나 할래

공격력 체력 물방 마방 치명 치피 치저 치피저 골고루 보이는 거 다 찍고 최애캐는 3관보드도 다 찍어주면서 맘대로 한다.

게임은 재밌으려고 하는 건데 그렇게 공략보며 효율따져가며 하면 재밌나? 난 스토리 재밌어서 트릭컬 한다! 


나는 겜잘알이다. 나는 누구보다도 효율적으로, 최소한의 비용으로 최대의 이득을 얻겠다!!

내 공격력과 이번 대충돌 보스의 공컷을 비교하며 공보드 개수를 조절한다. 체력은 딱 나한테 필요한 만큼을 계산해서 개수를 조절해 찍는다. 치저를 올리면 체력이 낮아도 되니 직접 때려보며 치저컷을 구해 치저보드 개수를 조절한다. 

공보드보다 치명치피보드가 딜이 더 많이 오른다고? 아티팩트 종류를 정해놓고 리트를 할 테니 정확히 필요한 수치만큼의 치명치피만 찍는다. 이건 나만이 할 수 있고 누구도 나보다 겜을 효율적으로 할 수 없어! 할배들 겜 열심히 하지도 않네... 내가 직접 연구해서 새로운 공략 쓴다! 단언컨대 이게 최선의 코스다!


8. 결론


가장 중요한 스펙업 수단인 황크를 먹을 수 있는 기회가 매일 주어지기 때문에(별사탕)

트릭컬은 접지 않고 계속 하면 할배가 폐사해서 내 순위가 오르고, 그 할배 복커하면 내 밑으로 들어온다

순서나 효율 같은 거 어차피 큰 차이 없으니까 너무 신경쓰다가 지쳐서 폐사하지 말고 적당히 볼땅기고 스토리보면서 즐겜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