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릭터별 타격횟수 및 강인도 피해 정리(노가다)

강인도 피해 1위 캐릭터 일반공격편

요약 있음

전투 스킬 관련 글을 쓰기 전에 이전 글에서 얘기한대로 청작에 대해 간략하게 다뤄보려고한다. 다만 청작의 강평은 단타이기 때문에 전투 포인트 소모량 대비 강인도 피해량만 보려한다. 비교 대상은 음항이다. 음항을 고른 이유는

1. 전투 포인트를 소모해 강화 일반 공격을 얻는 공통점이 있고

2. 강인도 피해가 어느정도 비슷하기 때문이다. (불구인 켜진 청작 기준)


비교해 볼 대상은 다음과 같다.

1. 음항의 1단 강평 vs 불구인을 얻었지만 패를 못맞춘 청작의 평타

2. 음항의 2, 3단 강평 vs 청작의 강화 평타(불구인o, x)

*청작과 음항의 우위가 역전될 때까지 계산했고 사이클이 아닌 단일 행동만 비교했다. 청작의 불구인 추가 공격은 연속 행동이기에 단일 행동으로 간주했다. 또한 청작은 6돌 효과로 강평 발동시에도 전포를 회복할 수 있지만, 음항도 필살기로 역린을 얻기에 둘 다 고려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1번 상황은 불구인을 얻을때까지 전투 스킬을 사용했고, 2번 상황은 불구인을 얻거나 얻지못했다고 정해놓고 패를 맞출때까지 전투 스킬을 사용했다고 가정했다.

청작의 매커니즘에 대한 자세한건 청작에 대한 모든것 - 페나코니 개정판 - 이글을 참고

본문에서 알아야 할건 세가지다.

1. 청작의 강화 공격은 같은 모양의 패 4개를 모았을 때 활성화 된다.

2. 전투 스킬은 전포를 1씩 소모하며 패가 완성되면 사용할 수 없다. 

3. 4돌효과로 전투 스킬을 사용할 때마다 24%의 확률로 '불구인'이라는 버프를 획득할 수 있다. 불구인의 효과는 추가 공격을 발동하는 것인데 이 추가 공격은 패가 완성됐다면 강화 공격을, 아니라면 일반 공격을 한번 더 날리는 것이다. 추가 공격이기 때문에 즉시 발동하는 연속 행동이다.


본문에 나오는 표에서 N회는 청작이 전투스킬을 N번 사용했다는 뜻이다. 

전포 대비 강인도 피해는 (강인도 피해)/(소모한 전투 포인트 개수)


음항의 1단 강평 vs 청작 불구인 평타

 이렇게 묶은 이유는 둘 다 단일공격이면서 총 강인도 피해가 같기 때문이다. 

불구인o, 단일1단 강평1회2회
전포 대비 강인도 피해606030

이 경우에는 불구인을 한번 만에 얻지 못하면 청작이 약세다. 물론 청작이 전포가 0이 되기전에 공격을 날리는 건 드문 경우이고 정 안되면 필살기를 사용해서 확정으로 패를 얻는 방법도 있기 때문에 그리 현실적인 비교는 아니다. 그래서 조금 더 들어가서 패를 언제까지 못맞추면 청작이 열세인지 알아보자. 청작의 강평은 확산이기 때문에 정확한 비교를 위해 단일몹일때와 3인몹일 때를 따로 비교했다.

*단일 대상으로 불구인을 얻지 못한 강평은 강인도 피해가 위와 동일하기에 제외했다.

 

불구인o, 단일1단 강평1회2회3회
전포 대비 강인도 피해601206040

 

불구인x, 3인1단 강평1회2회3회
전포 대비 강인도 피해601206040

위 두경우는 모두 3회부터 청작이 열세가 된다. 즉 2회안에 패를 맞춰야 하는데 상황에 따라 다르겠지만 꽤 운이 따라줘야한다. 거기다 첫번째 경우 2회안에 불구인이 나올 확률은 약 42%이기 때문에 좀 더 까다롭다.


불구인o, 3인1단 강평1회2회3회4회
전포 대비 강인도 피해60180906045

이 경우 4회부터 청작이 열세가 되는데 3번 정도면 패를 맞추는데는 해볼만하지만 불구인이 3번 안에 나올 확률이 약 56%이기 때문에 거의 엄대엄이라 볼 수 있다.   

음항의 2, 3단 강평 vs 청작 강평

둘 다 확산형이므로 3인몹 기준으로만 계산했다.

불구인x, 3인2단 강평3단 강평1회2회3회
전포 대비 강인도 피해75801206040

불구인이 켜지지 않으면 한번에 패가 맞춰지지 않는 이상 청작이 열세다. 한번에 패가 맞춰질 가능성은 거의 없기 때문에 어지간해선 청작이 이기기 어렵다. 물론 확률이기 때문에 운이 좋다면 굉장히 강력해질 수 있다. 하지만 운이 없다면...

 

불구인o, 3인2단 강평3단 강평1회2회3회4회
전포 대비 강인도 피해75802401208060

불구인이 켜진다면 3회안에 패를 맞추면 음항보다 우세하거나 동률이다. 역시 3번 정도면 패를 맞춰볼만 하지만 불구인이 켜질 확률이 약 56%이기 때문에 이번에도 엄대엄이라고 볼 수 있다. 


결론 : 그래서 누가 이긴거임?

 청작이 여캐니까 청작 진땀승이라 말하고 싶지만 아무래도 음항의 강인도 피해는 전포가 부족하지 않다는 가정하에 확정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우세하다고 봐야한다. 다만 운이 좋은 청작은 전포 소모량 대비 강인도 피해가 아무도 따라올 수 없는 수준이기 때문에 고점은 청작이 높지만 평균적으로 음항이 더 강력하다고 보는게 정확할 것이다.


세줄 요약

1. 고점은 청작

2. 평균은 음항

3. 정실은 삼칠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