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원 전, 수메르의 도시국가 우루크를 다스렸던 반신반인의 왕. 단순히 전설이 아니라 실제로 존재했다고 여겨지는 인물로, 인류 최고(最古)의 서사시 길가메쉬 서사시에 기록된 영웅왕. 2/3가 신, 1/3이 인간이라는 높은 신격을 지녔고, 이 세상에서 그를 당할 존재는 없어서 이 세상의 모든 것을 손에 넣은 초월자로서 완성되어 있었다.

백성을 돌보지 않는 폭군이었지만, 엘키두란 친구를 얻고 나서 그의 행동은 조금씩 변화되어 간다. 엘키두는 길가메쉬의 압정에 괴로워하던 사람들의 소원에 의해 여신 아루루가 만들어낸 "신이 만든 자"이다. 엘키두와 길가메쉬는 만나야 할 운명이었기에 만났고, 서로를 강렬하게 의식했다. 처음에는 엔키두를 적으로서 두려워하던 길가메쉬였지만, 얼마 되지 않아 둘은 서로를 이해하고, 대등한 존재로서 협력하여 나라를 다스리기에 이르렀다. 길가메쉬는 엔키두와 함께 숲의 파수꾼 - 신의 짐승 훔바바를 이기고, 지상에서 가장 뛰어난 왕으로서 온갖 재물을 손에 넣는다.

이 때의 길가메쉬는 눈부시고 강대해서 신들조차 눈을 뗄 수 없는 존재였다. 그 길가메쉬에게 한 여신이 사랑에 빠졌다. 풍요의 여신 이슈타르는 완벽한 왕인 길가메쉬에게 구혼을 했지만, 그는 이것을 깨끗이 거절했다. 이슈타르가 얼마나 바람둥이이고 잔인하며, 남자를 망가뜨리는 마녀인지 알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슈타르는 길가메쉬에게 모욕당했다고 격노하며, 보복으로 아버지 "아누 신"에게 하늘의 황소를 풀어놓을 것을 재촉하여 기어코 일을 저지르고 말았다. 하늘의 황소는 당해낼 자가 없는 신의 짐승이기 때문에 지상에는 7년 동안 기근과 파괴가 찾아왔다. 길가메쉬와 엘키두는 함께 협력해서 하늘의 소와 맞서 싸워 멋지게 격퇴시켰다. 여신의 체면은 다시 말이 아니게 된 것이다.

이슈타르의 분노는 당연히 가라앉지 않았고, 그녀는 둘 중 한쪽의 죽음을 신들에게 요청했다. 인간이 신의 짐승을 죽이는 것은 죄이기 때문이다. 이슈타르의 소원은 받아들여지고, 둘 중 한 사람, 신에게 만들어진 엘키두는 그 명에 거역할 수 없어서 천천히 쇠약해지다가 죽게 되었다.

그것이 길가메쉬가 몰락하는 계기가 되었다. 자신보다 뛰어났을지언정 뒤떨어지지 않는 힘을 가진 유일한 친구 엘키두조차 죽는다는 사실에 길가메쉬는 충격을 받은 것이다. “죽음”의 불안에 초조해하던 길가메쉬는 결국 불로불사를 얻기 위해 명계로 떠나게 된다. 긴 여행길, 수많은 고난 끝에 길가메쉬는 불로불사의 묘약을 손에 넣는다. 하지만, 돌아오던 길에, 목욕을 하고 있던 틈에 뱀이 묘약을 마시는 바람에 불로불사를 잃고, 비탄에 잠긴 채 이 세상을 떠났다. 뱀이 탈피할 때마다 새로운 몸으로 다시 태어나는 것은 길가메쉬의 묘약을 빼앗아 마셨기 때문이라고 일컬어지고 있다.


페스나 캐릭터 마테리얼에서 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