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66장이고 그전까진 칠아웃베이스로 adamw로 해서 했었음

먼 쑈를 해도 써먹을수가없더라고. 기괴한그런건아닌데 얼굴이 맘에안들어서.. 


구매한로라세팅을 참고해서 옵티마이저든 lr이든 나머지값 많이바꾸고 베이스모델도 바꾸고...


그랬더니 대충 어 이거 진짜중요한건 리피트x에폭이고 그다음에 배치사이즈도 중요하구나란걸 깨달음

그래서 몇개더뽑았더니 adetailer써도 안써도 만족할만한 결과가 나왔음...


이렇게되니까 그전까지 똥꼬쇼해도 50퍼도 안되는결과물이 나온이유가뭘까 싶긴 하더라..  모델의 문제였을까 혹은 옵티마이저의 문제였을까..


혹시나 AdamW 로 이것저것바꿔봐도 안나오는 사람이 있다면 DadaptationAdam 을 추천

이거하고 러닝레이트 싹다1로하고ㅇㅇ


저러면 배치사이즈늘려도 러닝레이트 늘릴수가 없는 문제가있는데(그만큼학습이 빨리되서 러닝레이트도 늘려줘야한다는 얘기가있음)

오히려좋아

배치값만 바꾸고 실험해서 나은결과를 뽑을수가 있더라고. 변수가 적어짐

그래서 한번 a100빌려서 배치 10까지 돌려볼까 고민중임 구매한 로라세팅이 배치 10이더라...


신기한게 그 로라세팅이 30장 66리피트 1에포크 10배치인데

내가지금 잘나온것들이 66장인데 5리피트 7에포크에 배치2, 배치6임

스텝수가 크게 차이가안남.. 실제로 리피트줄이기전에도 2000근처에서 ㄱㅊ게 나오더라고

옵티마이저의 특성인가? 


리피트는 많이하는게 독인거같은 느낌이었음 인물로라의 경우?

베이스모델도 중요한거같고...

알파값은 안건드려봤는데 시간나면 건드려봐야겠다


정보글써주고 질문답해주는 챈러들 너무감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