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정치학 채널

Fortna, V. P., 2004, 'Does Peacekeeping Keep Peace? International Intervention and the Duration of Peace after Civil War', International Studies Quarterly, vol. 48, no. 2, pp. 269-292

이 논문에서는 1944년부터 1997년까지의 모든 내전에 대한 통계를 기준으로 하여 분석했을 때 총 115건의 내전 중 41건의 내전에 국제적으로 인력이 파견되었으며, 평화유지군이 존재하는 경우 또 다른 전쟁이 발발할 가능성을 55퍼센트 이상 감소시킨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Gilligan, Michael & Sergenti, Ernest. (2008). Do UN Interventions Cause Peace? Using Matching to Improve Causal Inference. Quarterly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3.

이 논문에서는 UN의 개입이 진행중인 전쟁의 단기 종전 등에 영향을 끼치진 않지만, 개입 후 평화의 장기화에는 인과 관계를 가지고 영향을 끼친다고 말합니다.


Beardsley, K. (2012). UN intervention and the duration of international crises. Journal of Peace Research, 49(2), 335–349.

이 논문에서는 국련이 군사적으로 개입할 시 한쪽이 일방적으로 승리할 가능성을 감소시키며, 외교적으로 개입할 시는 분쟁당사자들이 협상을 할 가능성을 높인다고 말합니다. 둘을 혼합해 개입한다면 분쟁을 거의 즉각적인 전략적 교착 상태로 만들어놓는다고 하고요.


HULTMAN, L., KATHMAN, J., & SHANNON, M. (2014). Beyond Keeping Peace: United Nations Effectiveness in the Midst of Fighting.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108(4), 737-753.

Beardsley, K., & Gleditsch, K.S. (2015). Peacekeeping as Conflict Containment. International Studies Review, 17, 67-89.

이 두 논문에서는 평화유지군이 무장분쟁지역에서 분쟁당사자들을 억제할 수 있음을, 특히 지상병력의 수가 그를 뒷받침한다고 말합니다. 지상병력은 지역을 통제하고, 분쟁 당사자들을 분리하여 그 행동을 방해하며, 신뢰할 수 있는 군사적 위협을 가해 불확실성을 줄입니다.


Hegre, Håvard; Lisa Hultman & Håvard Mokleiv Nygård (2019) Evaluating the conflict-reducing effect of UN peacekeeping operations, The Journal of Politics 81(1): 215–232.

이 논문에서는 통계적 모형을 기반으로 하여 추정해봤을 때, 강력한 권한을 가진 평화유지군에 2천억 달러를 투자했다면 평화유지군이 없는 경우에 비해 무력 충돌 가능성이 2/3 정도로 낮아진다고 말합니다.


Bara, C. (2020). Shifting targets: the effect of peacekeeping on postwar violence. European Journal of International Relations, 26(4), 979–1003.

이 논문에서는 전후 평화에서 국련 경찰도 주요한 역할을 한다고 말합니다. 국련 평화유지군은 전투원들의 공격에 대해 효과를 가지지만, 전후의 사상자에는 무력분쟁뿐만 아니라 치안 또한 영향을 미치기에 그 공백을 메꿀 수 있는 민간 경찰들 또한 중요하다는 것이죠.


Pushkina, D., Siewert, M. B., & Wolff, S. (2021). Mission (im)possible? UN military peacekeeping operations in civil wars. European Journal of International Relations.

이 논문에서는 군사적 작전만 수행한 평화유지임무 32번을 분석한 결과 성공이 분쟁 당사자들의 협력과 그들에 대한 외부 지원의 부재에 달렸다고 말합니다. 이 논문은 가장 최근에 나온 논문으로, 위의 나온 논문들의 내용을 어느 정도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으니 일일이 보기 귀찮으면 이거 하나만 읽어도 족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