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킨 이뻐서 사긴샀는데, 정작 쓰지도않고 백년천년 묵히면 맘이 참 뭐하더라


그런 당신을 위해 준비했습니다, 영전 이프리트 원스쿼드!


난 스킨안사줬는데 딴거 쓰고싶은게 있었슴 ㅎㅎ;


혹시 시라유리 스킨 쓰고싶은 사람은 이쪽으로.



이하 편성

스킨이 써보고 싶었던 아우로라. 근데 얘 왜 링보가 없냐?

아우로라는 보너스까지 고려하면 높은 수치의 주유+공뻥을 해주고,

역시 보너스까지 감안하면 치명타, 행동력 15퍼센트를 뿌린다.


여기까지만 보면 뭐 나쁜건아닌데 이걸 굳이 써야하나싶은 정도의 유닛임. 그럼에도 아우로라를 채용한 이유는 하나 더있는데 좀 이따 살펴보자.


-용-. 근데 얜 또 왜 템이없냐?

든든한 버프를 뿌리고 이프리트에겐 추가로 더뿌린다. 이제 와서 용스킬 모르는 사람은 없을거같아서 패스


메인딜러. 고회피 철충은 레모네이드로 다 처리한다는 마인드로 적중은 양심만큼만 줬음. 그래도 인게임 적중버프를 130이상 받기때문에 때릴놈은 다 때린다.


이게 아마 익숙하지 않은 장비일건데,

라운드 시작시 방어막이 걸려있다면 그걸 해제하고 공행 20퍼라는, 높은 수치의 버프를 끌어온다.

아까 넘어갔던 아우로라 2패시브는 매라 주변 아군에게 방어막을 뿌리므로, 에너지전환기와의 궁합이 매우 좋음.


에너지전환기ㅡ아우로라 연계는 침수모듈ㅡ아쿠아마냥 생각은 자주 해봤던건데, 정작 쓸일은 없다가 이번에 각이 보이길래 넣어봤음.


라이터

행뻥도 뿌리고 보호도 하고 하는데 주된목적은 라이터. 

패시브로 화속저깎을 뿌리고 레모네이드 중장보너스로 소소한 속저깎을 더땡겨오기때문에, 용버프까지 받으면 한랭지 철충들을 2스 한번에 빈사, 심지어는 킬까지 따내는 기염을 토한다.


-레-

중장보너스로 무친 행력을 보여주고, 경장보너스로 적에게 받피증을 뿌림. 얘도 에너지 전환기를 껴줬는데,

이게 중장행력이냐? 가슴이 웅장해진다...

거기에 알파는 21스쿼드기때문에 무용의 2스를 추가로 받으므로, 게임 내내 AP가 마르질않는다. 에팩보다 에너지전환기가 효율 더 높음.


용에게 에너지 전환기를 주지않은 이유는 걘 에팩이 더 좋아서기도 한데, 에너지전환기 강화해놓은게 두개밖에 없었기 때문. 애초 템도 안챙겨줬는데 효율 따지는게 무슨 의미가 있겠냐만.




이하 운용법


1라. 이프리트 포격

2라. 아우로라 이프리트에게 2스, 무용 2스, 이프리트 포격

3라. 반복.


이프리트의 AP 소모량보다 회복량이 많기때문에, 포격을 계속 쏴재껴도 이프리트의 AP는 오히려 늘어난다. 5라운드쯤에 AP 20 찍혔던거같은데 기억은 안난다.


또한 무용버프와 아우로라버프는 지속시간이 2라운드로 모두 중첩이 되기때문에, 꼬박꼬박 열심히 써주자. 포격은 발사가아닌 착탄시 데미지를 계산하므로 버프타이밍 계산안해도 돼서 편함.



1.

점화기믹은 블랙웜으로 날먹하면 되긴하는데

애가 감정모듈 제거하면서 지능도 같이 제거한건지 땅찍는법을 모른다. 꼬울뿐이지 크게 상관은 없으니까 걍 진행하셈.



2.

26층 칙커맨더는 이뱀 스킬이 죄 보호무시니까 적당히 때려잡자. 왜 상관없는덱 할땐 맨날 날먹웨이브 나와 주는지 모르겠음;



3.

할애비가 옛날얘기를 해줄게요 홀홀홀


2.0이전은 범위공격엔 반격이 터지지 않았음. 아예 안터지는건 아니고 타겟으로 찍히지만 않으면 안터지는거였는데 뭐 아무튼.

그러다가 이게 2.0 넘어오고 전투 매커니즘 대대적으로 뜯어고치면서 바뀐건데, 문제는 2.0이전 파밍 1티어는 에키나앤덱이었단 말임.

에키나앤은 중파메이가 필수적이었는데, 중파메이가 반격을 처맞는다? 통발 터지는거임.


요새야 가연점이 많이 높아졌는데 당시는 2.0이라는 대격변을 앞두고 있기도했고, 사람들이 많이 예민해져있어서 민심좀 화끈해졌었음.

그거 때문인진 몰라도, 스마조에서 메이를 포함한 모든 착탄형스킬에 달아준게 '반격해제'임.


결국 메이 1스에 반격처맞는건 변함없지만, 2.0이후엔 에키나앤이고 뭐고 전함대 포격개씨가 다 쓸어담았기때문에 별탈없이 넘어갔음.


아무튼 이뱀은 악수맨을 겁낼 필요가 없단 소리에요 홀홀홀


레모네이드 받피증으로 한번에 죽여도 되고 걍 여러번쏴서 죽여도 됨.



4.

둠이터가 포격덱의 카운터가 됐던 이유는 포격덱 특성상 첫 2~3라운드 정도에 무친화력이 나오는대신 이후엔 화력그래프가 급격히 떨어져서 그런건데, 이 덱은 꾸준한 화력이 나온다.

딜 기댓값은 이뱀 2스보다 1스가 더 높으므로, 포격은 딜탐 전턴에 예약걸어놓고 딜탐때 1스로 후드려까자.



5.

디스트로이어는 보다시피 2라에 턴을 잡아버리므로, 포격으로 잡을 순 없다. 또 받피감무시가 없는 이뱀으로선 물칙을 잡는것도 쉽지않음.

다만 이뱀은 나름 지원기라고 액티브 스킬에 높은 수치의 턴밀을 갖고 있는데, 침수대신 이걸로 턴을 밀어주면 됨.


한놈씩 턴밀어주고 잡다보면 한놈만 남아 배리어를킨다.


흑츙의 디벞덕분에 한놈정도는 레이저 맞아줘도 안죽으니까 대충 잡으면 됨


6.

굶이터는 흑츙으로 한번에 불붙이고 박쥐랑 칙엠페러정도까지만 잡으면 위협요소가 전혀없음

막말로 오토눌러놔도 깨긴깰거같은데, 괜히 이뱀이 얻어맞아서 아우로라 버프 효율떨어지면 기분나쁘니까 손컨하자.

굶이터만 볼땐 걍 1스로 패는게 좋음.



7.

네스트또한 한놈만 노리면 되므로 1스를 쏘면 되는데, 네스트 아랫자리 가디언을 잡고

이뱀 1스 두방 먹여주면 죽는다.




이하 후기


포격덱이긴한데, 포격덱이 아닌 느낌임.


포격덱이라 하면 흔히 떠올리는 이미지는 그냥 시밤쾅해서 맞는놈은 다 죽인다 그런 느낌인데, 이뱀은 캐릭터 고증인지 데미지가 온건하다.


굳이 비교하자면 셀주크 데미지가 일반 매머드라면 이뱀 데미지는 한랭지 매머드같은 느낌? 감이 잘 안온다고?

그런 당신을 위해 준비했습니다 셀주크 원스쿼드!


암튼, 데미지가 안나와서 늘어지는거 빼면 놀라울정도로 안정적인 덱임. 데미지 안나온단것도 뭐 포격치곤 안나온다 그거지 약한건 아니다.

기본적으로 중장 탱커에, 레모네이드와 용이라는 1티어 서포터들을 죄 우겨넣었으니 안정성이 높지않은게 이상한걸지도 모르겠음. 근데 하고 보니까 이 덱 1보호기 4지원기네

거기에 이뱀스킬에 달려있는 AP깎이 생각보다 큰 도움이 된다. 악수맨 암것도 못하고 포격처맞다 죽는꼴보면 속이 다 후련함.


암튼 플탐이 좀 길어질뿐이지 줠라 안정적이고 괜찮은 스쿼드니까 이뱀스킨 써보고싶으면 함 해보셈. 개인적으론 아우로라 에너지전환기 콤보를 드디어 써볼 수 있어서 재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