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흑인 페미니스트 벨 훅스.

흑인분리구역에서 태어나 스탠퍼드 대학을 졸업한 당시 흔치 않았던 흐긴 여성 엘리트 여성 중 하나다. (1950년대에 태어남)

대학생 시절부터 페미니스트 활동을 했는데 주로 백인 꼴페미년들과 싸우는 게 일이었던 모양이다.




이 아지매의 어록들을 하나씩 살펴보면


페미니즘 이론 대부분을 만들고 구체화하는 백인 여성들은 백인 우월주의, 계급에 따른 심리적 영향, 인종차별주의, 성차별주의, 자본주의 환경에서 자신들이 차지하는 정치적 위치의 인종차별적 정치역학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백인 꼴페미년들 입으로는 페미 페미 거리면서 하는 짓 보면 차별주의자랑 별반 다르지 않더라)


여성들이 페미니즘 저술활동을 하고 노동 평등을 추구하는 페미니즘 운동에서 성과를 내 세력과 명성, 돈을 얻을수록 기회주의에 사로잡혀 집단 투쟁을 하자는 호소의 기반은 약해졌다. 가부장제, 자본주의, 계급차별, 인종차별에 반대하지 않는 여성들이 스스로를 페미니스트라 칭했다.

(페미년들 돈이랑 권력 좀 만지면 여성문제 바로 외면해버리는 속물년들뿐임)


흑인 여성들을 침묵시키려는 백인 페미니스트들의 시도에 대해 다룬 글은 거의 없었다. 회의실, 강의실, 거실과 같은 사적인 공간에서도 흑인 여성은 혼자서 백인 여성 집단의 인종차별적 적개심에 맞서야 하는 경우가 많았다.

(백인 페미년들 인종차별 개오짐)


특권층의 페미니스트 대다수는 다양한 집단의 여성들을 대상으로 말하거나 대화하거나 대변할 능력이 없다. 그들은 성, 인종, 계급 억압이 서로 밀접한 관계임을 이해하지 못하거나 진지하게 받아들이기를 거부하기 때문이다.


용기 내어 성차별적 억압에 정직한 태도를 보이고, 반대하고 저항하겠다고 선택한 남자들은 자신들이 고립된 사실을 깨닫게 된다. 그들의 정치의식은 반페미니스트 남성들과 여성들에게 멸시당하며, 페미니즘 운동에 참여한 여성들에게 무시당한다.

(지들한테 도움 되는 남페미들도 페미들은 배척한다)



말하는 거 들어보면 래디컬 페미니즘 진영이 아니라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 진영임을 알 수 있다

기립하시오 당신도 이것은 인터내셔널이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