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ngdomCome: Deliverance OST - Brotherhood of Bravery

노래 존나 좋으니 들어라.


위대한 가문을 상징하는 것은 무엇인가?

조상 대대로 전해 내려오는 문장인가? 아니면 웅장한 성인가? 

그도 아니라면 소유자의 격을 높아주는 번쩍이는 검과 갑옷, 혹은 그 권위에 충성하는 이들인가?

 

이 모든 것이 그 가문의 권위와 힘을 보여주는 척도일 것이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이 한 곳에 모을 수 있어야 진정으로 그 가문의 힘을 실감할 수 있을 것이다.

바로 언덕 위의 웅장한 성을 포위한 저 펄럭이는 군기들처럼 말이다.

 

때는 황제께서 대관식을 하시고 11년차 되던 해, 제국의 황제이자 요한나 아일랜드의 영주, 괌의 공작, 오르카의 왕이요 정력가이자 철충심왕이신 철남투스 1세에 반기를 든 펙스 왕국의 왕, 레모네이드에 충성하는 영주의 성을 황제파의 군대가 포위한 상황이었다.

 

마치 바닷속의 청어때처럼 은빛 비늘과 지느러미를 번쩍이며 대열을 갖춘 군세는 당당하게 자신들의 군기를 휘날리며 전진하고 있었으며 후열의 진지에는 거대한 트리뷰셋(하단에 위치한 무게추를 이용해 돌을 날리는 후기형 투석기)이 무려 3대나 조립되고 있었다.

 

거대하고 웅장한 성을 포위한 그보다 더 거대하고 웅장한 군세를 황제께서는 동원하신 것이었다. 

 

굳건하게 버티는 성을 향해 철권은 전진한다.

북소리처럼 울리는 발소리가 공기를 가득 채우고 땅을 울린다.

일촉즉발의 상황, 갑작스럽게 황제파의 군세가 멈춰선다. 

 

방진의 선두에 선 황제의 충성스런 신하이자 스틸라인의 영주인 마리경은 홀로 대열에서 이탈하여 성벽 바로 아래로 전진한다.

화살이 아닌 짱돌을 던져도 위험한 거리임에도 개의치 않고 전진하던 마리경은 당당하게 외친다. 

 

“주의 가호가 함께하길, 용맹한 팩스의 백성들이여! 대군의 앞에서도 주군을 향한 충성을 자랑스럽게 내보이며 저항하는 그대의 충심은 실로 숭고하다. 그러나 그대들이 진정으로 충성하여야 할 분은 정당한 제국의 황제이신 철남투스 1세 뿐이시다! 항복한다면 자비로우신 황제 폐하께서는 군세를 돌려 반역자들을 향해 나아가실 것이며, 거절할 경우 그대들을 반역자로 간주하고 공격할 것이다!” 

 

그녀의 말을 잠자코 듣던 영주는 그녀에게 지지 않겠다는 듯이 당당한 어조로 말한다.

 

“주의 가호가 함께하길, 용맹한 황제 폐하의 신하들이여! 우리의 충심을 존중해주는 그대들의 뜻과 자비심에 깊은 존경과 감사를 표하는 바요! 그러나 우리 가문은 펙스 왕국에 충성하고 있으며 공성전 시작 시점으로 40일간 저항하기로 맹세하였소! 귀족으로써 맹세를 어기는 불명예를 떠안을 바에 죽는 것이 낫다는 것은 그대들 또한 동의할 것이요!”

 

그러자 마리경은 눈썹을 찌푸리며 말을 이어간다.

 

“그 말을 그대로 폐하께 전해도 되겠나?”

 

“그러시오.”

 

영주의 말이 끝나기 마리경은 무섭게 말머리를 돌려 되돌아가고 잠시동안 정적이 흘렀다.

짧았던 깃대의 그림자가 점차 길어지던 그때, 저 멀리서 성난 숫소의 울음소리 같은 뿔나팔 소리가 들려오고, 곧이어 그보다 큰 병사들의 함성이 “와아아!”하고 울려 퍼진다.  

 

저 뒤에서 대기하고 있던 트리뷰셋들이 마치 바위를 던지는 거인처럼 거대한 팔을 크게 휘둘러 육중한 바위를 던진다.

바람을 가르며 거대한 바위들은 성벽에 충돌하여 천둥과도 같은 소리가 '쿵!' 하고 울린다.

아직 성벽은 굳건하나 트리뷰셋을 점차 조정하여 성의 취약점을 노릴 것은 저명한 사실이다.

 

안타깝게도 시간은 황제의 편을 들고 있었다.

트리뷰셋을 막지 못하면 머지않아 성벽에 구멍을 낼 것이고, 성벽에 구멍이 나면 저 대군이 홍수처럼 밀려들 것이다.

그렇다고 항복하자니 수도의 가족들과 명예가 위험했다.

최소한 40일은 버텨야 재산과 명예 모두 지킬 수 있는 것이었다.










---------------------------------------------------

대회에 쓸까 하다, 장편인데다가 적어도 중반까지는 돌입해야 올릴 자격이 있는 것 같아서 일단 프롤로그는 여기다 올린다.

근데 어차피 수상은 못할거고 참가에 의의를 두자니 다른 놈들은 열심히 쓰는데 나만 이리저리 간보는것 같기도 해서 그냥 참가 안할까 생각중.


일단 시대적 배경은 15세기 초~중기인 후스전쟁 시기를 바탕으로 하고 있어.

이 시기는 대략 중세 중반쯤 되는 시기로 트렌지셔널 아머에서 플레이트 아머로 넘어가는 시기이고 본격적으로 화약무기가 도입되기 시작하는 시기야.

사회상으로는 보헤미아의 왕이자 신성로마제국의 황제이자 성군인 룩셈부르크 가문의 카를 4세가 죽고 그의 아들 벤체슬라스가 왕위를 이어받지만 재임기간동안 개똥싸서 그 이복동생이자 헝가리의 왕인 지기스문트가 황제의 자리를 넘보다가 벤체슬라스가 죽고 지기스문트가 작위를 이어받지만 종교계혁가 얀 후스가 이단으로 몰려 처형당해서 후스전쟁이 일어나는 드라마틱한 시대임.

레모네이드와 철남충의 대립은 이런 시대상에서 따왔고 철남충의 칭호는 리처드 1세하고 앙리 4세한테서 따옴.

근데 철남충 칭호에서 호색한이라는 말이 나오는데 이건 욕이 아니라 칭찬으로 중세시대에는 남성성은 과시해야 마땅한 속성으로 봐서 남성성을 과시하기 위해 갑옷의 주지가리개를 진짜 주지모양으로 만들거나 여자 밝히는걸 자랑으로 여기는 등 마초적인 문화가 강했음. 당장 위에서 언급한 앙리 4세도 아내를 갈아치운데다가 일생동안 거친 여인의 수가 50명에 달할 지경이었지만 매우 큰 국민적 지지를 받았음.


그리고 트리뷰셋에 대해 설명하자면 하단에 돌을 채워넣은 무개추를 장착해서 고정을 풀면 투석구가 달린 팔이 서도록 해서 돌을 날리는 후기형 투석기인데, 이렇게 생김


인력으로 날리는 기존의 투석기와는 다르게 쏠때마다 같은 힘이 작용되기에 때린 곳을 또 때릴 수 있음. 


미나는 다음화에 등장할거고 티아멧경도 같이 등장할 예정이야. 

어느정도 써놨으니 별일 없으면 아마 내일 오후에 올릴 듯.

그리고 내가 예전에 올린 줄거리하고 유사하지만 좀 다르게 흘러갈거야.


몇놈이나 봐줄지 모르겠지만 봐줘서 고마워.

글고 필력 씹창이라 미안해. 다 내가 이과충이라 그래.

그리고 나중에 이거 완결낼 수 있으면 몽구스 용병단이나 그냥 나이트 땡컨, 캐노니어 가문 이야기도 쓰고 싶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