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월 ##일 장소 : 닥터의 로봇연구실2 -


분해작업 참가자 : 포츈, 드론, 램파트, 사령관

보조참가자 : 스팅어

감독관 : 닥터, 스카디



1. 외관 분석


같이 참가한 드론을 토대로 만들어진 철충이다. 드론과 비교하면 추진부스터 부분과 미사일 발사부에 강화외골격이 장착되었다.

이외에는 드론의 철충화된 형태인 스카우트와 동일하다. 외관으로는 드론가 차이가 색 말고 없다.



2. 기본 기능분해


외관의 강화 외골격은 분리가 가능했다. 외골격 분리후 모습은 스카우트와 큰 차이는 없었다. 다만, 외골격 접촉부위가 색이 하얀색으로 변해있었다.

외골격은 단순한 백금재질의 금속덩어리였다. 철충의 성분과는 아무런 연관성이 없었다.


외골격 이후 분해는 스카우트의 분해과정과 동일했다.


드론의 분해와도 완전히 같았기 때문에, 연결 회로 제거만 해주면 미사일 발사를 하지 않는다


분해과정중에 감염체 철충 유충이 발견되었지만 바로 스카디에 의해 파괴되었다. 파괴직후 포츈이 즉각 측면에 비치된 특수소각기로 소각시켰다.



3. 완전분해


기본분해 이후 완전분해를 실시하던 도중 역장 관련 버튼으로 의심되는 것을 건드려서 대규모 역장이 발생했다.


이후 분해과정중에 이 버튼이 역장 전개 버튼이였다.


스펙터의 역장 전개기는 화이트쉘의 역장과 비슷했다. 하지만 메커니즘이 완전히 달라서 따로 복제를 해야한다.


칠러와 비슷한것 같지만 다르고, 테스투도와도 비슷하지만 달라서 분해의 가치가 충분한 장치라서 파괴되지 않게 조심히 다루었다.


나머지 기능중 미사일은 기존 드론의 미사일과는 다르게 교란 미사일이 탑재되어있었다.


일반 드론의 미사일과는 확연하게 다른 미사일이라 충분한 연구 가치가 있어서 뇌관 제거후 바로 닥터에게 인계되었다.



4. 실험


역장 전개시의 성능이 본체와의 분리 이후에도 동일한지 실험하였다.


참가자 램파트에게 적용한 결과, 동일했다.


교란미사일의 위력을 실험하였다.


참가자중 드론과 램파트의 전투모듈 중 교전거리 측정모듈이 일시적으로 마비되었다.


일정시간이 지난후 해제되었다.



5. 장치 구조 분석


몸체에는 미사일 강제발사 버튼이 탑재되어있었고, 코어부분은 기본적인 운행에 대한것이 탑재되어있었다.


드론과 완전히 동일하고, 철충에게 감염된것빼고는 차이가 없어서 바로 분해 후 재조립했다.



6. 분해 이후 후처리 : 이상없었음.



특이사항 : 분리시킨 각 장치는 복제에 실패하여 보관중, 미사일은 복제에 성공하였음.


=====================

머리아파 뒤지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