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BT+ 채널

작성자의 조사에 대한

    공간적 범위: 대한민국

    시간적 범위: ~ 2021년도

    조사 방법: 나무위키 '성소수자 관련 문서' 틀과 작성자의 경험

    주의사항: 

                작성자가 성전환수술을 아직 받지 않은 바이젠더 범성애자이므로 아직 접하지 못한 정보나 특정 커뮤니티만의 용어 등은 수록하지 못했음.

               설명이 한 문장 이상일 경우 문장과 문장을 구분하는데에는 마침표를 사용하였고 설명의 마지막 문장에 해당하는 문장의 경우는 마침표를 생략했음. 본 게시글도 마찬가지의 규칙으로 작성함.

               영어 철자가 적히지 않은 용어는 게시글 게시 이후 수정을 통해 추가할 예정. 영어 철자 추가보다 누락된 용어를 수록하는게 더 중요하므로 영어 철자 추가는 후순위 작업임.

               특정 아젠다나 이데올로기에는 부합하지 않는 용어도 전부 수록했음. 성소수자에 대한 멸칭은 순화 대상이 아니라 배제 대상이므로 고의누락함.




성소수자 -> 한국어.

레즈비언(Lesbian) -> 여성 동성애자

게이(Gay) -> 동성애(혹은 동성애자. 넓은 의미) 남성 동성애자(좁은 의미)

바이섹슈얼(Bisexual) -> 양성애(양성애자)

트랜스젠더(Transgender) -> X(성전환자라는 대체용어가 한 때 조명받았으나 비수술  트랜스젠더가 제외되는 문제가 있음.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진단 기준으로 사용하는 DSM-5에는 '성전환증'으로 등재되어있음. '성전환증'은 따지고 보면 질병 취급이라 부적절)

퀘스처너리 -> X

인터섹스(Intersex) -> 간성(이외에도 양성구유, 남녀한몸, 남녀추니 라는 말이 나무위키에 등재되어있으나 필자가 들어본 적이 없음)

무성애(Asexuality) -> 한국어

범성애(Pansexuality) -> 한국어

BDSM -> X


------여기까지가 나무위키 '성소수자 관련 문서'에 적힌 주요 분류------


주요 분류만 해도 두 개가 한국어 단어가 없는데 이하 용어는 한국어인 경우가 더더욱 적음


젠더퀴어 -> X

    바이젠더 -> X(병원 진단이나 과학적 분류나 모두 트랜스젠더의 분류중 하나이나 위키 서술상 여기에 위치함)

    안드로진 -> X

    뉴트로이스 -> X

    에이젠더 -> X(기존 분류된 젠더중 해당사항 없음과 동시에 해당 분류가 고유한 젠더임을 표방함)

    팬젠더 -> X

    트라이젠더 -> X

    데미젠더 -> X

    델리시아(보이) -> X(외국 신문 사설을 읽다가 '델리시아' 라고만 적은 사설을 본 기억이 있어서 '보이'부분을 괄호처리 함)

    젠더플루이드 -> X

    젠더리스 -> X(젠더적 개념을 전혀 가지지 않은 경우.)


양성애 하위분류

    호모플렉시블 -> X

    헤테로플렉시블 -> X


다성애 -> 한국어.

크로스드레싱 -> X

에세머 -> X


------아래는 용어 관련 정리------


퀴어 -> X

커밍아웃 -> X

오픈리 -> X

아우팅 -> X

얼라이 -> X

동성혼 -> 한국어

성전환 -> 한국어

성전환 수술 -> 한국어

성별정정 -> 한국어

호르몬 대체 요법 -> 한국어

혐오증 관련 단어

    호모포비아 -> 동성애 혐오

    바이포비아 -> 양성애 혐오

    트랜스포비아 -> X

    TERF -> X(페미니즘 용어이나 성소수자 배척을 원칙으로 하기에 적어는 놓았음)

DADT -> "묻지 않으면, 말하지 않는다."(한국어 번역) -> 안물안궁

프라이드 플래그 -> X(경우에따라 '무지개 깃발'로 대체 가능. 의미가 완전히 일치하지 않음)

프라이드 퍼레이드 -> X

포스트젠더리즘 -> X(직역하면 '후기 성 정체성 이론'. 의미가 완전히 일치하지 않음)

핑크 워싱 -> X



------이미 존재하는 한국어 단어들을 편의상 영어 약칭으로 바꿔 사용하는 경우------


호르몬 대체 요법 -> HRT

성전환 수술(외부성기성형) -> SRS 혹은 G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