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 스브 시스템공학개론


목차

1. 이 부록이 존재하는 이유

2. 보스별 특이 내성

 2-1. 악령•열풍

 2-2. 악령•한파

 2-3. 이율배반의 서약

 2-4. π•순정

3. 비 효율 부위를 지닌 보스들의 대미지 감소 비율

 3-1. Type.II 인증 기갑, Type.II 인증 기갑•레버넌트

 3-2. 닐

 3-3. 옐로샤의 눈물



1. 이 부록이 존재하는 이유


일부 보스에 대해서 대미지 계산 공식을 통해 나온 값과 실제 값이 다를 때가 종종 발생함.

그 이유는, 몇몇 보스가 가진 내성은 일반적인 내성표와 상이하며,

비 효율 부위의 존재로 인해 대미지가 일정비율 절감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임.



보스들의 경우 항상 '전투 정보'를 잘 확인하는 것이 좋음.



2. 보스별 특이 내성



 : 내성 -10%    : 내성 -5%   : 내성 -0%


기존에 우리가 알고 있던 이 내성표는 몇몇 보스들에 대해서는 항상 같지 않음을 보임


2-1. 악령•열풍

악령•열풍의 경우 기본적으로

화염 유형 대미지 내성이 +80% 존재하며 (화염 유형 공격에 대해 적 내성 계수 = 1 - (+0.8) = 0.2)

혼돈 유형 대미지 내성이 0%임.

그 외의 원소 유형에 대해서는 기존 내성표와 동일함



2-2. 악령•한파

악령•한파의 경우 기본적으로

얼음 유형 대미지 내성이 +80% 존재하며 (얼음 유형 공격에 대해 적 내성 계수 = 1 - (+0.8) = 0.2)

혼돈 유형 대미지 내성이 0%임.

그 외의 원소 유형에 대해서는 기존 내성표와 동일함



2-3. 이율배반의 서약

이율배반의 서약의 경우 기본적으로

KP 유형 대미지 내성이 +40% 존재하며 (KP 유형 공격에 대해 적 내성 계수 = 1 - (+0.4) = 0.6)

혼돈 유형 대미지 내성이 -20%,

번개 유형 대미지 내성이 0%,

얼음 유형 대미지 내성이 0%임

그 외의 원소 유형(화염)에 대해서는 기존 내성표와 동일함



2-4. π•순정

π•순정의 경우 기본적으로

KP 유형 대미지 내성이 +40% 존재하며 (KP 유형 공격에 대해 적 내성 계수 = 1 - (+0.4) = 0.6)

화염 유형 대미지 내성이 -20%,

얼음 유형 대미지 내성이 0%,

번개 유형 대미지 내성이 0%,

혼돈 유형 대미지 내성이 0%임.

기존 내성표와 동일한 원소가 없음.



3. 비 효율 부위를 지닌 보스들의 대미지 감소 비율


일부 보스들은 '비 효율 부위'를 가지고 있으며 이 부위에 사격 혹은 스킬 공격을 명중할 경우 각종 버프의 영향을 무시하고 

정직하게 대미지가 일정 비율로 감소되는 특징이 있음.

즉, 대미지 계산 공식으로 구한 이론값에서 추가로 일정 계수를 곱해줘야 함.

한 가지 이상한 점은 스킬의 경우 어떤 보스는 비 효율 부위를 명중시켜도 일반 부위를 맞춘 것과 동일하게 간주되는 경우가 존재함.

그리고 스킬의 종류에 따라 다르기도 함.

일관성을 찾기가 매우 어려우므로 실험을 통해 알아내는 방법 밖에 없음.


그리고 비 효율 부위에 공격이 적중할 경우 대미지의 색깔이 칙칙해지는 시각적 효과가 있음

좌측 상단의 4160 대미지는 혼돈 유형 [실신]효과로 인한 대미지로, 도트딜 효과의 특성상

비 효율 부위, 약점 부위로 인한 대미지 증/감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일반적인 혼돈 대미지의 보라색을 띄며,

혼돈 유형의 사격의 경우 비 효율 부위 명중으로 인해 대미지가 감소되었으며 이로 인해 색깔이 좀 더 어두워짐을 볼 수 있음.


도트딜 효과 말고도 이런 부위별 대미지 증/감 영향을 받지 않는 건
5시에라의 보조 스킬로 인한 대미지 전달 효과,

에너지 부여 효과에 의한 추가 대미지(스킬 판정) 등이 있음.

추가로, 보스 중 '조셉하드'의 경우 약점 외의 부위를 명중할 경우 사격이든 스킬이든 모두 대미지 색깔이 칙칙하지만 실제로는 대미지 감소가 없을 뿐더러 전투 정보에도 비 효율 부위에 대한 언급이 존재하지 않음. 아마도 비 효율 부위 명중으로 인한 대미지 감소 효과가 0%인 것으로 추측됨.



3-1. Type.II 인증 기갑, Type.II 인증 기갑•레버넌트



노란 체력으로 표기되는 '파괴 가능 부위', 부위가 파괴된 후 약점이 드러났을 때의 '약점 부위'(사격시 100% 크리티컬)를 제외한

모든 부위가 '비 효율 부위' 이며

이 보스에 대한 비 효율 부위 명중으로 인한 대미지 감소 효과는 50%임.

즉, 비 효율 부위 명중시에는 대미지 계산 공식으로 나온 값에 0.5를 곱하면 구할 수 있음.


대부분의 경우 스킬 명중 시 비 효율 부위에 명중한 것으로 간주됨.


3-2. 닐


가끔 이렇게 피복이 완전히 벗겨진 경우 그 벗겨진 부위는 '약점 부위' 이며 이런 부위를 제외하고,

모든 부위가 '비 효율 부위'임.

이 보스에 대한 비 효율 부위 명중으로 인한 대미지 감소 효과는 50%임.

즉, 비 효율 부위 명중시에는 대미지 계산 공식으로 나온 값에 0.5를 곱하면 구할 수 있음.


일반적으로 단일 공격 스킬 명중시 부위의 영향을 받으며 다중/지정/범위 공격 스킬의 경우 일반 부위에 명중한 것으로 간주됨(대미지 감소 없음).



3-3. 옐로샤의 눈물


머리(약점 부위)와 몸통을 제외한 

모든 부위(구체 표면)가 '비 효율 부위'임.

이 보스에 대한 비 효율 부위 명중으로 인한 대미지 감소 효과는 80%임.

즉, 비 효율 부위 명중시에는 대미지 계산 공식으로 나온 값에 0.2를 곱하면 구할 수 있음.


일반적으로 스킬을 비 효율 부위 조준 후 명중시 비효율 부위에 명중된 것으로 간주되며(대미지 감소 있음),

그 외의 부위를 명중시 일반 부위에 명중한 것으로 취급됨(대미지 감소 없음) 

범위 공격 스킬의 경우 가능한 한 일반 부위를 우선으로 명중시킴(대미지 감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