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353&aid=0000004831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353&aid=0000004832 


노태우 정권에서 통합군 체제로 바꾸려고 한 이후 2011년도에 통합군 편제로 변경하는 것이 논란이 되었다. 

이 형태로 변경할 경우 군령권, 군정권 전반에서 합동참모본부가 육참총장, 공참총장, 해참총장을 지휘하는 형식으로 변경이 되고, 

이로 인하여 양방지휘식에서 수직지휘식으로 바뀌게 된다. 


그런데 여기서 문제가 생긴 것은 2가지였는데 첫 번째로 이렇게 되면 기존에 육참, 공참, 해참도 어느 정도의 권한을 가지던 것을, 

합동참모의장이 인사권까지 완벽하게 장악하게 됨으로써 권한의 1인집중 문제가 발생한다는 것이었고,

두 번째는 대한민국의 고유의 육방부 성향으로 인해 합동참모의장의 경우 당시 이명박 정권이었음을 기준했을 때 

비육군 출신이 단 한 번만 임명되고 거의 육군 고정보직이 의심되던 수준이었기 때문에 육군이 해공군을 사실상 예하로 두게 될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고 한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는가?

1안) 아니 미친;; 존나 반대;;

2안) 군의 지휘체계를 통합한다는 측면에서 찬성

3안) 군의 지휘체계를 통합한다는 측면에서 찬성이나 육방부를 막기 위해 합참의장을 반드시 3군이 순환하도록 한다.

4안) 군의 지휘체계를 통합한다는 측면에서 찬성이나 육방부를 막기 위해 합참의장을 최소 일정 횟수 이상은 연속으로 비육군 출신으로 임명하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