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캐릭터가 목표를 '이루는 것'보다, 목표를 향해 '노력하는 것'을 더 중요시 해라.


2.  작가로서가 아닌 관객의 입장에서 무엇을 더 재밌어할지 생각해야 한다. 작가와 관객은 서로 매우 다를 수 있다. 


3. 스토리에 주제를 가지고 있는 것은 중요하다. 하지만 스토리를 다 쓸 때까지 그 스토리가 어떤 것인지 정확히 알 수 없다. 그러니 다 적었다면 다시 적어라. 


4. 어느 옛날 __가 있었다(캐릭터 소개). 매일 __(일상의 반복). 그러던 어느 날 __(사건의 시작) 그것으로 하여 __(사건에 의한 사건). 그것으로 하여 __(사건에 의한 사건) 결국 __(결말). 이야기의 뼈대. 


5. 이야기를 단순화시키고 한 가지 요소에 집중해라. 캐릭터를 합치거나 불필요한 요소는 버려라. 처음에는 중요한 것들을 놓친다는 생각이 들 수 있어도 한층 자유로워 짐을 느낄 수 있다. 


6. 주인공에게 시련을 줘라. 주인공이 좋아하고 잘하는 것은 무엇인가 생각해 그 반대의 것을 줘 힘들게 하라. 그리고 그것을 어떻게 헤쳐나갈 것인가를 생각하라. 


7. 중간보다는 엔딩은 미리 결정해 두어라. 엔딩을 생각하는 것은 상당히 힘든 일이니 미리 생각해야 한다.


8. 완벽하지 않아도 좋으니 이야기를 끝마쳐라. 완벽하게 하고 싶겠지만 그냥 넘겨라. 다음에 잘하면 된다.


9. 막혔을 땐 스토리 다음 단계에 '일어나지 않을 일'의 리스트를 만들어라. 많은 경우의 재료를 모을수록 좋은 아이디어가 생겨 막힌 것이 쉽게 뚫린다.


10.평소 좋아했던 이야기를 생각해 보라. 그 이야기는 당신의 일부이기도 하다. 당신이 무엇을 좋아하는지 알고 있어야 한다.


11. 아이디어를 종이에 써라. 아무리 좋은 아이디어라도 머리 속에만 두면 다른 사람의 피드백을 얻을 수 없다. 


12. 머리 속에 맨 처음의 아이디어는 버려라. 그리고 두 번째, 세 번째도… 뻔한 아이디어는 버려라. 그렇게 최종적으로 나온 아이디어에 자기 자신이 놀랄 것이다. 


13. 자기 입장이 뚜렷한 캐릭터를 만들어라. 당신은 소심하고 얌전한 캐릭터가 마음에 들지 몰라도 관객들 입장에서는 최악의 캐릭터이다.


14. 왜 이 스토리를 전해야 하는지 생각하라. ‘관객들에게 전하고 싶은 믿음, 가치관이 있는가?’이것이 바로 스토리의 심장이다.


15. 만약 당신이 스토리 속의 캐릭터라면 이 상황에서 어떤 감정을 느낄 것인가 고민하라. 진심을 담아 감정과 상황을 풀어내면 믿기 힘든 순간도 설득력 있게 느껴진다. 


16. 그래서 뭘 얻게 되지? 주인공의 행동과 태도를 결정하는 근본적인 이유를 만들어라. 동시에 주인공이 실패하게 된다면 겪을 리스크도 알려줘라.


17. 어떤 작업이든 낭비되지 않는다. 지금 잘 안 풀린다면, 그냥 그 상태로 두고 다른 걸 해라.나중에 다른 작업을 하다가 막힐 때 다시 보면 유용한 도움이 될 것이다. 


18. 마음에 손을 얹고 스스로를 돌아보라. 호들갑을 떨지 않고 최선을 다해 글을 쓰고 있는지.이야기를 쓴다는 것은 늘 새로운 도전이어야 한다. 진부한 것을 예쁘게 포장하는 것이 아니다. 


19. 캐릭터를 사건에 휘말리게 하는 '우연'은 좋은 것이다. 하지만 캐릭터를 사건에서 빠져나오게 하는 '우연'은 사기다.


20. 내가 싫어하는 영화의 한 배경을 골라 나라면 '어떻게 재구성하면 좋을 지' 연구해 본다. 


21. 스스로가 추구하는 상황이나 캐릭터를 확실히 해라. 스토리는 쿨하게 쓴다고 잘 쓴 것이 아니다. 당신이 주인공이라면 어떻게 하겠는가? 


22. 내 스토리의 본질은 무엇인가? 스토리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무엇인가? 바로 그곳에서부터 이야기는 만들어진다.


념글간 긴 소재글이든 인생작이든 요런 수칙 포함되는 게 좀 많더라

 1, 4, 5, 7, 8, 13, 16, 19 번만 잘 지켜도 수작은 나올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