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족이 같은 포켓몬이면 교배기를 옮길 수 있어서 후천적으로도 교배기를 배울 수 있음.

예시는 속이다를 자력으로 못 배우는 어흥염에게 속이다 옮기기.


1. 유전기를 받은 개체를 생성한다.

    예) 암컷 어흥염과 수컷 냐옹을 교배하여 속이다를 얻은 냐오볼.

        부모 성별은 중요한게 알로 태어나는 포켓몬은 암컷을 따라감.

2. 유전기를 받은 개체를, 옮길 대상과 같은 진화체까지 진화시킨다.

    예) 속이다가 있는 냐오볼을 어흥염까지 진화시킨다.

3. 속이다를 지니지 않은 어흥염의 기술을 한 칸 이상 비우고, 속이다를 지닌 어흥염의 기술은 속이다를 제외하고 가능한 한 비워둔다.

4. 둘을 맡기고 걸음 수를 채운다.

5. 시간 절약 보험 차원으로 리포트를 작성한 후, 돌려받는다.



찾아보니 이 후천적 교배기는 성별이 상관없다고 함.


교배기 찾는 방법은 https://pokemon.fandom.com/ko/wiki/%EB%8C%80%EB%AC%B8 포켓몬 팬덤위키에서 해당 포켓몬을 검색하고, 배우는 기술(8세대)로 들어가고, 교배로 배우는 기술 목록에서 확인 가능.


이렇게 확인 가능.

2번 이상 교배해야하는 경우도 있는데,


예시를 들어보자면 해피너스의 지구던지기가 있다.

해피너스의 교배기(8세대)


입치트의 교배기(8세대)



판짱의 교배기(8세대)



괴력몬의 자력기(8세대)


수컷 괴력몬 ♡ 암컷 판짱(기술 배치 최소로)

    로 수컷 판짱 알까고,

수컷 판짱(지구던지기 외 기술 지움) ♡ 암컷 입치트(기술 배치 최소로)

    로 수컷 입치트 알까고

수컷 입치트(지구던지기 배운 상태) ♡ 해피너스(기술 배치 최소로)

    로 알을 깐 뒤, 해피너스까지 진화시키고

해피너스(지구던지기 배운 상태) & 해피너스(기술배치 최소로)

    로 맡기고, 걸음 수를 채우면 지구던지기를 좌 해피너스에서 우 해피너스에게로 복사할 수 있음.




마지막으로, 야생에서 노란 오라를 지닌 포켓몬(또는 낚시 장소)가 있는데, 얘들는 높은 개체값을 지녔고 교배기를 배운 경우도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