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공부 하기 싫어서 조금씩 모아봤음

시작하기 전에
-어원이 불분명한 것들은 약간씩 틀렸을 수 있음. 자료의 출처가 인터넷인 만큼 너무 맹신하지 말고 재미로 보길 바람.
이름 뜻 틀렸을시 니가 맞음.

1 루시아

Lucia라는 이름은 라틴어 Lux에서 파생된 여성형 이름이고 '빛' 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음.
라틴어권 이름임. 가끔 세례명으로도 씀. 한국어 정식 표기는 "루치아"
가수 심규선 예명이 루시아임



2 루나

Luna, 너나우리 다알겠지만 달이라는 뜻임.
달이 스스로 빛나는 존재가 아니라 태양빛을 받아 빛나는 존재라는 것과, 언니인 루시아의 이름이 "빛" 이라는 걸 생각하면 상당히 묘한 이름임.
노렸나



3 리

Lee는 한자권에서(특히 한국 중국) 꽤 흔한 성씨라고들 알고 있겠지만 사실 영어권에도 Lee라는 성이 있음 ㅋㅋㅋ
리는 코드네임이고
본명인 "모리안" 은 까마귀의 여신 모리간에서 따온 거라고 생각되는데 확실치는 않음.



4 리브


liv라는 이름은 확실치는 않지만 life에서 파생된 이름으로 추정. 혹은 북유럽의 hlíf라는 이름에서 파생되었다는 이야기도 있음.
노르딕(북유럽권) 이름이라더라. 검색해보면 노르웨이 사람이 제일 많이나옴.


5 카무이


카무가 원본인데 왜 카무이부터함???
ㄴ카무이라는 이름은 명확한 한자가 있고 유래도 명확한데 카무는 도저히 뜻을 찾을수가 없더라...

카무이는 신위. 즉 신의 신비한 힘이나 위엄을 뜻하는 말임. 아이누어인 카무이<에서 왔는데 아이누 전통의 정령이나 수호신 등을 뜻함.
카무이 전무 대신위도 이거임 빅 카무이
영어표기는 kamui. 참고로 카무는 camu임.



5-2 카무

영어표기는 camu.
뜻은 잘 안나옴. 영문위키랑 이름사전 뒤쟈봤는데도 안나옴...




6. 크롬

크롬이라는 단어 자체는 크로뮴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음. 도금이나 합금 재료로 자주 쓰이는 금속. 가수 신해철 가명도 크롬이었음.

본명인 랭스턴 스미스에서 랭스턴은 지명에서 따온 영국 이름임. 스미스도 흔한 성인데 blacksmith, 대장장이에서 따온 이름이고, 둘다 꽤 유서깊은 이름이라서 지역명이나 직업에서 따온게 많음



7. 반즈


사실 반즈라고 하면 서양권 성 barns부터 떠올릴 수 있는데 거기서 음차를 따왔는지는 몰라도 반즈의 이름 한자는 만사형통의 만사(萬事) 와 한자가 같음
이걸 이용한 드립도 굉장히 많이 침. 14챕터에서도 크롬이 만사 조심하라고 하니까 "응? 뭘 조심하라고?" 하는 장면이 있음
영어 표기가 barns 가 아닌 wanshi고 일본어권에서도 만사를 일본어로 읽은 banzi 정도로 읽는 거 보면 반즈의 이름은 확실히 萬事가 맞는듯
왜 한국어에서 반즈가 됐는지는 불명



8. 베라

vera. 슬라브권 이름으로 뜻은 "진실됨"
어원은 고대 그리스의 성녀 피데스에서 온다고 함.
참고로 이 성녀 피데스의 어머니가 성녀 소피아임



9. 21호


실험체 21호라서 21호임.
숫자에 별다른 뜻은 없는데 발음이 21-아이니(널 사랑해) 랑 비슷하다고 하긴 함



10. 녹티스


noctis. 라틴어 nox(밤) 의 속격 단어임.
뜻이
1. 밤의
2(비유). 혼란스러움. 무지함. 어두움

이라서 인명으로는 잘 안 쓰이는 듯 함.



11. 비앙카

bianca, 유럽계 이름이고 "하얗다" 라는 뜻을 가지고 있음. 참고로 워낙 유서깊은 이름이라 국적마다 배리에이션이 살짝씩 다른데 bianca는 이탈리아어, 루마니아어 이름임.

블랑카. 블랑쉐, 블란쳇<이런 이름들 들어봤으면 이쪽 파생 이름일 가능성 높음


12. 카레니나

슬라브권 이름. 소설 '안나 카레니나' 로 유명함. 솔직히 이거때문에 이름 뜻 찾느라 뒤지는 줄 알았음.

순수함. 정결함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음. 캐서린/카렌이라는 이름의 배리에이션 중 하나이기도 함.



13. 와타나베

일본의 ㅈㄴ 흔한 성씨임. 헤이안 시대부터 있었던 유서깊은 성이기도 함. 우리의 와저씨는 渡辺이라고 표기하는데 이외에도 발음만 같고 한자가 다른 성씨가 몇개 더 있음.

얼마나 흔한 이름이냐면 호구조사할때 보통 5~6번째로 흔한 성씨라고 함.
한국으로 따지자면 김이박최정강<이쯤에 들어가는 성이란 거임.


진짜 코리안 로컬라이징하면 이런 느낌임
망각자 리더 정씨



14. 나나미


마찬가지로 일본어권 이름. 성씨와 이름으로 둘다 쓰이는 이름임. 성씨로 쓸 땐 七海로 표기함. 중국어 음성에서 치셰<정도로 들리는 거 보면 우리의 노노미도 七海가 맞을 듯

반즈 다음으로 이름개그가 등장하는 캐릭터 중 하나인데. 요성지좌 대사 중 73은 가장 완벽한 숫자야! 뭐 이런 말이 있는데. 일본어로 73은 '나나미쯔/나나미' 라고 읽힘




15. 곡


곡. 曲이라는 한자 외자 이름인데 악곡 할때 그 곡임.
음악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음




16. 포뢰

포뢰는 어원이 조금 복잡함.
다들 구룡야항이 최종통치자 곡 아래의 구룡파(용의 아홉 아이)가 맡아 통치하던 거 기억함?
전체적으로 구룡의 테마가 용생구자, 즉 용의 아홉 아이라는 전설의 동물들에게서 따와서 그럼.

그중 포뢰蒲牢 는 울기를 좋아하는, 용보다 조금 작은 생물임. 고래를 무서워한다고 함(포뢰버젼 이름이 유운경몽-떠도는 고래의 꿈이었던 이유)

그래서 종이나 북 위에 조각된 용은 대부분 포뢰라는 얘기가 있음. 특히 그것을 치는 채가 고래 모양이라면 100% 포뢰가 모티브임.


17. 함영


한자 이름이고. 머금을 함 자에 꽃부리 영 자를 사용함.
꽃부리를 머금었다<라는 예쁜 이름임. 흔하지는 않은 것 같지만...




18. 창위

떳떳할 상 자에 깃 우 자를 사용함.
마찬가지로 자주 쓰이는 이름은 아닌 것 같음. 본 적이 없음
한국어로 상우<라는 이름은 꽤 자주 본것도 같은데 같은 한자를 쓰는지는 모르겠음. 아마 아닐거임





19. 하카마

Haicma
HAICMA라고 뭐 긴..거의 약자였는데 이건 잊어버림. 찾으면 글 수정해놓겠음.



20. 세레나

serena. 영미권 이름이고. 라틴어로 '고요함' 을 뜻하는 세레누스<에서 파생된 여성형 이름임.




21. 아이라


aira. 미국 원주민계 이름으로 "바람의" 라는 뜻이 있다고 함. 근데 이건 출처가 뭔 이상한 name search 사이트라서 정확하지 않을수도 있음.


22. 소피아


sophia
그리스어로 지혜를 뜻하는 이름임. 성녀 소피아가 어원임. 하나님을 아는 지혜. 참된 지혜라는 뜻이 있으며 세례명으로도 많이 쓰임.
참고로 성녀 소피아에게는 세 딸 피데스, 스페스, 카리타스가 있었는데 이중 '피데스' 가 베라의 어원이라는 말이 있음.



23. 로제타


rosetta. 원래 이탈리아어로 '작은 장미' 라는 뜻임.
현대에 와서 새로운 뜻이 추가됐는데, 지식/기술분야에서는 고대 이집트 상형문자 해독에 큰 기여를 한 '로제타 스톤' 을 기리는 이름으로도 자주 사용됨.
macOS에서도 로제타라는 이름의 기능이 존재하고. 동명의 혜성탐사선도 있음





24. 롤랑

roland. 중세 샤를마뉴 12기사중 수좌이며 오를란도라는 이름으로도 불림. 이탈리아의 작품 '광란의 오를란도' 가 12기사 롤랑의 이야기임.

현대에 와서는 프랑스권의 남성이름으로 주로 쓰임. 동명인물로는 프랑스 철학자 롤랑 바르트가 있음.


25. 노안

noan

성경의 noah에서 기원된 이름이며 휴식. 평화. 안정 등의 뜻이 있다~ 라는 얘기가 있음
이것도 아이라랑 마찬가지로 요상한 찌라시 사이트 발이므로 믿을만한 건 못되는 듯함.


26. 밤비나타

이탈리아어로 정직하게 '어린 소녀' 라는 뜻임.
어원은 어린아이를 뜻하는 bambino+ 여성형 -ata



참고-위키피디아

재밌게 보셨길 바람
위에도 써뒀지만 틀렸을 시 니 말이 맞음.